[학위논문]가상현실(VR)기반 입원 아동 안전사고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virtual reality(VR) based safety incident prevention program for hospitalized children원문보기
본 연구의 배경 및 연구목적은 입원한 아동은 낯선 환경과 미성숙한 인지 능력으로 입원 기간 동안의 안전사고의 발생률이 높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입원 아동에게 안전사고 예방 교육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입원 아동에게 흥미와 몰입을 유발하는 가상현실(VR)을 교육 수단으로 이용하여 학습에 대한 이론에 입각한 교육 중재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이 검증된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황학습 이론에 입각하여 ‘가상현실 기반(...
본 연구의 배경 및 연구목적은 입원한 아동은 낯선 환경과 미성숙한 인지 능력으로 입원 기간 동안의 안전사고의 발생률이 높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입원 아동에게 안전사고 예방 교육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입원 아동에게 흥미와 몰입을 유발하는 가상현실(VR)을 교육 수단으로 이용하여 학습에 대한 이론에 입각한 교육 중재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이 검증된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황학습 이론에 입각하여 ‘가상현실 기반(VR) 입원 아동 안전사고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입원 아동이 입원 안전 지식, 입원 안전 인식, 입원 안전 실천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은 경기도 소재 W 병원의 소아과 병동에서 입원 치료 중인 입원 아동과 입원 아동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에 각각 33명으로 배정하였다. 자료수집은 2021년 4월 1일부터 2022년 3월 31일까지 시행되었다. 실험군에게는 입원 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및 예방 전략에 대한 사전 이론 교육을 시행 후 가상현실(VR) 컨텐츠를 제공했고, 대조군에서는 입원 시 통상적으로 제공 되어지는 종이로 된 교육자료를 보며 구두로 교육을 제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8.0 Window Program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1. ‘가상현실(VR)기반 입원 아동 안전사고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입원 안전 지식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에서 입원 안전 지식에 대한 두 집단의 사후-사전 점수의 변화는 실험군이 1.48점, 대조군이 –0.36점으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z=-3.20, p=.001). 따라서, 가설 1은 지지되었다. 가설 2. ‘가상현실(VR)기반 입원 아동 안전사고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입원 안전 인식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에서 입원 안전 인식에 대한 두 집단의 사후-사전 점수의 변화는 실험군이 0.49점, 대조군이 -0.07점으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7.43, p<.001) 따라서, 가설 2은 지지되었다. 가설 3. ‘가상현실(VR)기반 입원 아동 안전사고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입원 안전 실천행동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에서 입원 안전 실천행동에 대한 두 집단의 사후-사전 점수의 변화는 실험군이 0.53점, 대조군이 -0.05점으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6.02, p<.001). 따라서, 가설 3은 지지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가상현실(VR)기반 입원 아동 안전사고 예방교육 프로그램은 입원 아동에게 입원 안전 지식, 입원 안전 인식, 입원 안전 실천행동을 개선시키고 더 나아가 입원 아동의 안전사고 예방에 효과적일 수 있다. 이에 본 프로그램은 소아과 병동에 입원한 아동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간호 실무현장에서 활용 가능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배경 및 연구목적은 입원한 아동은 낯선 환경과 미성숙한 인지 능력으로 입원 기간 동안의 안전사고의 발생률이 높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입원 아동에게 안전사고 예방 교육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입원 아동에게 흥미와 몰입을 유발하는 가상현실(VR)을 교육 수단으로 이용하여 학습에 대한 이론에 입각한 교육 중재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이 검증된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황학습 이론에 입각하여 ‘가상현실 기반(VR) 입원 아동 안전사고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입원 아동이 입원 안전 지식, 입원 안전 인식, 입원 안전 실천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은 경기도 소재 W 병원의 소아과 병동에서 입원 치료 중인 입원 아동과 입원 아동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에 각각 33명으로 배정하였다. 자료수집은 2021년 4월 1일부터 2022년 3월 31일까지 시행되었다. 실험군에게는 입원 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및 예방 전략에 대한 사전 이론 교육을 시행 후 가상현실(VR) 컨텐츠를 제공했고, 대조군에서는 입원 시 통상적으로 제공 되어지는 종이로 된 교육자료를 보며 구두로 교육을 제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8.0 Window Program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1. ‘가상현실(VR)기반 입원 아동 안전사고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입원 안전 지식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에서 입원 안전 지식에 대한 두 집단의 사후-사전 점수의 변화는 실험군이 1.48점, 대조군이 –0.36점으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z=-3.20, p=.001). 따라서, 가설 1은 지지되었다. 가설 2. ‘가상현실(VR)기반 입원 아동 안전사고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입원 안전 인식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에서 입원 안전 인식에 대한 두 집단의 사후-사전 점수의 변화는 실험군이 0.49점, 대조군이 -0.07점으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7.43, p<.001) 따라서, 가설 2은 지지되었다. 가설 3. ‘가상현실(VR)기반 입원 아동 안전사고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입원 안전 실천행동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에서 입원 안전 실천행동에 대한 두 집단의 사후-사전 점수의 변화는 실험군이 0.53점, 대조군이 -0.05점으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6.02, p<.001). 따라서, 가설 3은 지지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가상현실(VR)기반 입원 아동 안전사고 예방교육 프로그램은 입원 아동에게 입원 안전 지식, 입원 안전 인식, 입원 안전 실천행동을 개선시키고 더 나아가 입원 아동의 안전사고 예방에 효과적일 수 있다. 이에 본 프로그램은 소아과 병동에 입원한 아동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간호 실무현장에서 활용 가능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background and aim of this study are that hospitalized children have a high incidence of safety accidents during hospitalization due to unfamiliar environments and immature cognitive abilitie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safety accident prevention education for hospitalized children is es...
The background and aim of this study are that hospitalized children have a high incidence of safety accidents during hospitalization due to unfamiliar environments and immature cognitive abilitie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safety accident prevention education for hospitalized children is essential.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intervention programs based on the theory of learning using virtual reality (VR) as an educational means, which induces interest and immersion in hospitalized children, has not been verified. To this end, in this study, based on situational learning theory, we developed a 'virtual reality-based (VR) hospitalized child safety accident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and tried to verify the effect of hospitalized children on hospitalization safety knowledge, hospitalization safety awareness, and hospitalization safety practice behavior.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inpatient children and their guardians in the pediatric ward of W Hospital in Gyeonggi-do, and 33 people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Data collection was implemented from April 1, 2021 to March 31, 2022.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with virtual reality (VR) contents after conducting preliminary theoretical education on safety accidents and prevention strategies that may occur during hospitalization. In the control group, training was provided orally by reading educational materials that are usually provided at the time of hospitaliz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8.0 Window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Hypothesis 1. In the hypothesis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the virtual reality (VR)-based safety accident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for hospitalized children will have a higher hospitalization safety knowledge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receive it.', the change of the post-pre-score of the two groups on hospitalization safety knowledge was 1.48 points by the experimental group and -0.36 points by the control group, which was higher by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z=-3.20, p=.001). Therefore, hypothesis 1 was supported.
Hypothesis 2. In the hypothesis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the virtual reality (VR)-based safety accident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for hospitalized children will have a higher hospitalization safety perception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receive it.', the change of the post-pre-score of the two groups on hospitalization safety perception was 0.49 points by the experimental group and -0.07 points by the control group, which was higher by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t=7.43, p<.001). Therefore, hypothesis 2 was supported.
Hypothesis 3. In the hypothesis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the virtual reality (VR)-based safety accident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for hospitalized children will have a higher hospitalization safety practice behavior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receive it.', the change of the post-pre-score of the two groups on hospitalization safety practice was 0.53 points by the experimental group and -0.05 points by the control group, which was higher by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t=6.02, p<.001). Therefore, hypothesis 3 was supported.
To sum up, ‘virtual reality (VR)-based safety accident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for hospitalized children is effective in improving hospitalization safety knowledge, hospitalization safety awareness, and hospitalization safety practice behaviors and preventing inpatients' safety accident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is program can be used in nursing practice field to prevent safety accidents of children hospitalized in the pediatric ward
The background and aim of this study are that hospitalized children have a high incidence of safety accidents during hospitalization due to unfamiliar environments and immature cognitive abilitie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safety accident prevention education for hospitalized children is essential.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intervention programs based on the theory of learning using virtual reality (VR) as an educational means, which induces interest and immersion in hospitalized children, has not been verified. To this end, in this study, based on situational learning theory, we developed a 'virtual reality-based (VR) hospitalized child safety accident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and tried to verify the effect of hospitalized children on hospitalization safety knowledge, hospitalization safety awareness, and hospitalization safety practice behavior.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inpatient children and their guardians in the pediatric ward of W Hospital in Gyeonggi-do, and 33 people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Data collection was implemented from April 1, 2021 to March 31, 2022.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with virtual reality (VR) contents after conducting preliminary theoretical education on safety accidents and prevention strategies that may occur during hospitalization. In the control group, training was provided orally by reading educational materials that are usually provided at the time of hospitaliz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8.0 Window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Hypothesis 1. In the hypothesis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the virtual reality (VR)-based safety accident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for hospitalized children will have a higher hospitalization safety knowledge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receive it.', the change of the post-pre-score of the two groups on hospitalization safety knowledge was 1.48 points by the experimental group and -0.36 points by the control group, which was higher by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z=-3.20, p=.001). Therefore, hypothesis 1 was supported.
Hypothesis 2. In the hypothesis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the virtual reality (VR)-based safety accident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for hospitalized children will have a higher hospitalization safety perception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receive it.', the change of the post-pre-score of the two groups on hospitalization safety perception was 0.49 points by the experimental group and -0.07 points by the control group, which was higher by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t=7.43, p<.001). Therefore, hypothesis 2 was supported.
Hypothesis 3. In the hypothesis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the virtual reality (VR)-based safety accident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for hospitalized children will have a higher hospitalization safety practice behavior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receive it.', the change of the post-pre-score of the two groups on hospitalization safety practice was 0.53 points by the experimental group and -0.05 points by the control group, which was higher by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t=6.02, p<.001). Therefore, hypothesis 3 was supported.
To sum up, ‘virtual reality (VR)-based safety accident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for hospitalized children is effective in improving hospitalization safety knowledge, hospitalization safety awareness, and hospitalization safety practice behaviors and preventing inpatients' safety accident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is program can be used in nursing practice field to prevent safety accidents of children hospitalized in the pediatric war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