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입원 아동의 낙상 위험 예측 도구
A Pediatric Fall-Risk Assessment Tool for Hospitalized Children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0 no.3, 2014년, pp.215 - 224  

신현주 (서울대학교병원 소아간호과) ,  김영남 (서울대학교병원 소아간호과) ,  김주희 (서울대학교병원 소아간호과) ,  손인숙 (서울대학교병원 소아간호과) ,  방경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입원 환아의 낙상위험 요인을 확인하여 낙상위험 예측도구를 개발하고 민감도와 특이도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문헌고찰과 서울시내 1개 어린이 병원에 2006년 1월부터 2009년 8월까지 3년 8개월 동안 입원한 환아 중 낙상한 경험이 있는 환아 48명 전체와 2009년 5월 25일부터 6월 24일까지 한 달 동안 입원한 환아 중 낙상 경험이 없는 환아 149명을 비교한 자료를 바탕으로 낙상위험요인 8개를 추출하였으며,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유의한 위험요인 5개를 확인하였다. 8개 문항과 5개 문항으로 구성된 도구를 이용하여 실제 낙상을 경험한 군과 비낙상군을 비교하여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입원 환아의 낙상 발생 위험의 유의한 예측 요인은 다음의 5가지였다. 연령은 3세 미만인 경우 3.00배, 뇌신경질환 진단이 있는 경우 2.41배, 활동 및 기능은 도움이 필요한 경우 3.18배, 신체발달은 정상인 경우에 7.09배, 위험약품 처방 수가 3개 이상인 경우 3.475배로 낙상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8개 문항의 경우 12점 이상을 고위험으로 보았을 때 민감도는 76.6%, 특이도는 30.3%였으며, 5개 문항의 경우 7점 이상을 고위험으로 보았을 때 민감도는 93.6%, 특이도는 16.2%로 나타났다. 결론 입원환아의 낙상위험예측도구로서 8개 문항과 5개 문항의 도구 모두 민감도는 높으나 특이도는 낮은 제한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낙상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됨을 감안하면 특이도는 낮지만 민감도가 높으므로 임상현장에서 사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risk factors in hospitalized children, and to develop and validate a fall-risk assessment tool for hospitalized children. Methods: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was performed at one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and an analysis was done of the charac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외국의 경우 최근 소아용 낙상위험예측 도구가 개발되어 있으나 국내와는 병원 시설, 보호자 상주여부 등 환경적, 문화적 요인이 매우 다르므로 국내 병원에 외국의 낙상도구를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병원환경과 시스템에 적합한 소아용 낙상위험예측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 일개 3차 의료기관의 어린이병원 입원 환아를 대상으로 낙상 경험 유무를 기준으로 환자-대조군 연구를 실시하여 낙상 위험요인을 예측하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입원 환아의 낙상위험 요인을 확인하여 낙상위험 예측도구를 개발하고 민감도와 특이도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문헌에 나타난 여러 가지 위험요인과 낙상보고서 분석을 통해 8가지 위험요인을 선택하여 이에 따라 낙상발생여부에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3세 이하에서 낙상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Lee, Jang, Jeoung, Bae와 Park (1997)의 연구와 일치하며, Kim과 Shin (2002)이 영유아는 점차 전체운동과 미세운동 기술이 발달되어 가지만 빠르게 움직이며 충돌하거나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사고가 빈번하다고 한 것과 부합된다.
  • 환아의 전자간호기록의 간호정보조사지에 기록된 환자의 기본적인 정보, 일반적 특성과 함께 낙상보고서 분석과 문헌에서 확인한 위험요인을 중심으로 입원 환아의 내인성 및 외인성 요인을 확인하도록 구성하였다. 이 조사지는 비낙상 환자군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에게 낙상 위험이 심각한 이유는? 일반적으로 낙상은 다른 상해에 비해 14세 이전 아동에게 더 많이 발생하며(Cooper & Nolt, 2007) 뇌손상 및 사망의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어 문제가 심각하다(Murry, Chen, Velmahos, Alo, Belzberg, & Asensio, 2000). 또한 아동의 경우 어떤 환경에서든 낙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성인과 달리 발달단계나 보행정도에 따라 낙상 사고발생 위험성이 달라지는 특성이 있다(Agran et al., 2003; Pickett, Streight, Simpson, & Brison, 2003).
환자 안전이란? 또한 Sherwood(2011)는 안전 확보를 통한 간호의 질 관리를 위해서는 대학의 간호교육과정에도 변화가 필요함을 역설한 바 있다. 환자 안전이란 ‘환자에게 발생 가능한 오류의 사전 예방과 상해의 제거, 최소화 활동이며 안전에 대한 기본적 욕구와 권리 확보와 의료인의 의무, 법적 규제로 작용하며 안전문화 형성의 결과로 발생하는 환자중심 의료와 간호’를 의미한다(Kim, 2011).
캘리포니아 중앙 아동병원에서 어린이 병원의 낙상 사고 보고율이 낮은 원인은 무엇인가? 외국의 경우 캘리포니아 중앙 아동병원의 보고에 따르면 2004년에 입원한 환자의 낙상률은 재원일수 1,000일당 0.8건이었으나 정확한 입원환자 낙상사고율은 알기 어려운 이유로 상해를 입지 않은 낙상은 보고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으며, 아동의 경우 낙상을 명확하게 정의하지 못하는 점도 어린이 병원의 낙상 사고 보고율이 낮은 원인이 된다고 하였다(Cooper & Nolt,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gran, P. F., Anderson, C., Winn, D., Trent, R., Walton-Haynes, L., & Thayer, S. (2003). Rates of pediatric injuries by 3-month intervals for children 0 to 3 years of age. Pediatrics, 111(6 Pt 1), 683-692. 

  2. Bagnasco, A., Sobrero, M., Sperlinga, L., Tibaldi, L., & Sasso, L. (2010). Accidental falls in hospitalized children: An analysis of the vulnerabilities linked to the presence of caregiver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Hygiene, 51(2), 92-96. 

  3. Bang, K. S. (2005). Effect of safety education for mothers with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1(2), 221-228. 

  4. Cho, M. S., Song, M. R., & Cha, S. K. (2013). Risk factors for pediatric inpatient fal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5), 595-604. http://dx.doi.org/10.4040/jkan.2013.43.5.595 

  5. Cooper, C. L., & Nolt, J. D. (2007). Development of an evidence-based pediatric fall prevention program.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22(2), 107-112. 

  6. Cronenwett, L., Sherwood, G., Barnsteiner, J., Disch, J., Johnson, J., Mitchell, P., et al. (2007). Quality and safety education for nurses. Nursing Outlook, 55(3), 122-131. http://dx.doi.org/10.1016/j.outlook.2007.02.006 

  7. Hendrich, A. L., Bender, P. S., & Nyhuis, A. (2003). Validation of the Hendrich II fall risk model: A large concurrent case/control study of hospitalized patients. Applied Nursing Research, 16(1), 9-21. http://dx.doi. org/10.1053/apnr.2003.016009 

  8. Hill-Rodriguez, D., Messmer, P. R., Williams, P. D., Zeller, R. A., Williams, A. R., Wood, M., et al. (2009). The Humpty Dumpty Falls Scale: A case-control study. Journal for Specialists in Pediatric Nursing, 14(1), 22- 32. http://dx.doi.org/10.1111/j.1744-6155.2008.00166.x 

  9. Institute of Medicine. (2004). Keeping patients safe: Transforming the work environment of nurse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10. Kim, C. G., & Shoe, M. J. (2002). An analysis of fall incidence rate and its related factors of fall in inpati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9(2), 210-228. 

  11. Kim, I. O., & Shin, S. H. (2002). A survey on the experience of accident of infant, toddler and preschooler, and the education about emergency care for parents.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8(2), 174-182. 

  12. Kim, K. S., Kim, J. A., Chow, Y. K., Kim, Y. J., Song, M. S., & Kim, E. S. (2011). Validity and reliability assessment of the performance measures based on the nursing process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ressure ulcers, falls and pai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6(3), 5-23. 

  13. Kim, M. R. (2011). Concept analysis of patient safe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1), 1-8. http://dx.doi.org/10.4040/jkan.2011.41.1.1 

  14. Lee, G. S., Jang, Y. H., Jeoung, M. R., Bae, S. Y., & Park, H. S. (1997). Safety education for infant-toddlers. Seoul: Yangsoewon. 

  15. Morse, J. M., Prowse, M. D., Morrow, N., & Federspeil, G. (1985). A retrospective analysis of patient falls. Canadian Journal of Public Health, 76(2), 116-118. 

  16. Murray, J. A., Chen, D., Velmahos, G. C., Alo, K., Belzberg, H., Asensio, J. A., et al. (2000). Pediatric falls: Is height a predictor of injury and outcome. The American Surgeon, 66(9), 863-865. 

  17. O'Connell, B., & Myers, H. (2002).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Morse Fall Scale in an acute care setting.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1(1), 134-136. 

  18. Pickett, W., Streight, S., Simpson, K., & Brison, R. J. (2003). Injuries experienced by infant children: A population-based epidemiological analysis. Pediatrics, 111(4), e365-370. 

  19. Rannie, M., & Neiman, J. (2008). I'm Safe: Development of a fall prevention program to enhance quality and patient safety. Denver. Colorado: The Children's Hospital, Denver, Colorado. 

  20. Razmus, I., Wilson D., Smith, R., & Newman, E. (2006). Falls in Hospitalized Children. Pediatric Nursing, 32(6), 568-572. 

  21. Sherwood, G. (2011). Integrating quality and safety science in nursing education and practice. Journal of Research in Nursing, 16(3), 226-240. http://dx.doi.org/10.1177/174498711140096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