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기술은 점점 더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IT 환경에서의 새로운 혁신은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코로나19의 확산과 4차 산업혁명 기술의 발전으로 메타버스 플랫폼은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용자들끼리 생산과 소비가 순환되는 메타버스 플랫폼의 특성상 이용자 수의 감소는 성공적인 혁신이 되기에 치명적이다. 메타버스 플랫폼이 차세대 혁신적인 플랫폼으로 성공하기 위해서는 이용자들이 어떠한 이유에서 저항을 느끼는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 메타버스 플랫폼 연구에서는 수용 의도나 ...
IT 기술은 점점 더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IT 환경에서의 새로운 혁신은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코로나19의 확산과 4차 산업혁명 기술의 발전으로 메타버스 플랫폼은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용자들끼리 생산과 소비가 순환되는 메타버스 플랫폼의 특성상 이용자 수의 감소는 성공적인 혁신이 되기에 치명적이다. 메타버스 플랫폼이 차세대 혁신적인 플랫폼으로 성공하기 위해서는 이용자들이 어떠한 이유에서 저항을 느끼는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 메타버스 플랫폼 연구에서는 수용 의도나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데 초점을 맞춘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Ram의 혁신저항모형을 토대로 메타버스 플랫폼이 확산되는 데 걸림돌이 되는 혁신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이용자 차원과 메타버스 플랫폼의 인지된 혁신특성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 플랫폼 이용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분석에 포함된 응답자 수는 319명이었다. 주요 독립 변인은 이용자 특성(연령대, 이용빈도, 혁신성향, 인지된 자기효능)과 메타버스 플랫폼의 인지된 혁신특성(상대적 이점, 적합성, 인지된 사회적 위험, 복잡성, 개선된 혁신기대)으로 구성되며 종속 변인은 혁신저항과 지속사용의도가 해당된다. 분석에 사용된 통계 프로그램은 SPSS 25이며, ANOVA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이용자 특성(연령대, 이용빈도, 혁신성향, 인지된 자기효능)이 인지된 혁신특성(상대적 이점, 적합성, 인지된 사회적 위험, 복잡성, 개선된 혁신 기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상대적 이점과 적합성에는 이용빈도, 혁신성향, 인지된 자기효능이 통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지된 사회적 위험에는 이용빈도만이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복잡성에는 이용자의 연령대가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개선된 혁신기대에는 이용자의 혁신성향이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다음으로 메타버스 플랫폼의 인지된 혁신특성과 혁신저항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인지된 사회적 위험과 복잡성은 혁신저항과 정(+)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개선된 혁신기대는 혁신저항과 부(-)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마지막으로 혁신저항과 지속사용의도 간의 관계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혁신저항이 클수록 지속사용의도가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타버스 플랫폼 사업자들은 다른 온라인 플랫폼보다 이점이 있다고 이용자들이 느낄 수 있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금보다 연속성을 더 강화하여 현실 세계와 강하게 연동된 가상 환경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둘째, 메타버스 플랫폼이 좀 더 확산되기 위해서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이용한다고 하더라도 사회적 위험이 낮다는 점을 이용자에게 인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메타버스 플랫폼을 이용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메타버스 플랫폼은 혁신적인 플랫폼이라고 인지시킬 필요가 있다. 셋째, 메타버스 플랫폼의 이용 방법을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복잡성을 줄여야 한다. 그리고 이용자들이 이용방법이 불편하지 않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면 저항이 줄어들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메타버스 플랫폼은 계속 발전하고 있음을 이용자들에게 보여주어야 한다. 플랫폼 사업자는 메타버스 플랫폼 내에서 개선해야 될 점을 파악하고 이를 신속하게 개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정부 차원에서 메타버스 플랫폼에 대해 규제하는 태도를 취하는 것보다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기술을 발전시키고 다양한 콘텐츠 개발을 장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메타버스 플랫폼의 수용과 확산을 위해서는 전 연령대를 아우를 수 있는 다양한 메타버스 콘텐츠 제작이 필요하다. 또한 국가적, 지역사회적 차원에서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연령대에 따른 디지털 격차를 해소시켜 메타버스 플랫폼에 대한 접근성을 강화해야 한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 플랫폼에 대한 이용자들의 수용과 확산이 아닌 저항요인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메타버스 플랫폼이 차세대 혁신 플랫폼으로 발전하고, 메타버스 플랫폼의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T 기술은 점점 더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IT 환경에서의 새로운 혁신은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코로나19의 확산과 4차 산업혁명 기술의 발전으로 메타버스 플랫폼은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용자들끼리 생산과 소비가 순환되는 메타버스 플랫폼의 특성상 이용자 수의 감소는 성공적인 혁신이 되기에 치명적이다. 메타버스 플랫폼이 차세대 혁신적인 플랫폼으로 성공하기 위해서는 이용자들이 어떠한 이유에서 저항을 느끼는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 메타버스 플랫폼 연구에서는 수용 의도나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데 초점을 맞춘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Ram의 혁신저항모형을 토대로 메타버스 플랫폼이 확산되는 데 걸림돌이 되는 혁신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이용자 차원과 메타버스 플랫폼의 인지된 혁신특성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 플랫폼 이용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분석에 포함된 응답자 수는 319명이었다. 주요 독립 변인은 이용자 특성(연령대, 이용빈도, 혁신성향, 인지된 자기효능)과 메타버스 플랫폼의 인지된 혁신특성(상대적 이점, 적합성, 인지된 사회적 위험, 복잡성, 개선된 혁신기대)으로 구성되며 종속 변인은 혁신저항과 지속사용의도가 해당된다. 분석에 사용된 통계 프로그램은 SPSS 25이며, ANOVA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이용자 특성(연령대, 이용빈도, 혁신성향, 인지된 자기효능)이 인지된 혁신특성(상대적 이점, 적합성, 인지된 사회적 위험, 복잡성, 개선된 혁신 기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상대적 이점과 적합성에는 이용빈도, 혁신성향, 인지된 자기효능이 통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지된 사회적 위험에는 이용빈도만이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복잡성에는 이용자의 연령대가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개선된 혁신기대에는 이용자의 혁신성향이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다음으로 메타버스 플랫폼의 인지된 혁신특성과 혁신저항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인지된 사회적 위험과 복잡성은 혁신저항과 정(+)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개선된 혁신기대는 혁신저항과 부(-)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마지막으로 혁신저항과 지속사용의도 간의 관계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혁신저항이 클수록 지속사용의도가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타버스 플랫폼 사업자들은 다른 온라인 플랫폼보다 이점이 있다고 이용자들이 느낄 수 있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금보다 연속성을 더 강화하여 현실 세계와 강하게 연동된 가상 환경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둘째, 메타버스 플랫폼이 좀 더 확산되기 위해서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이용한다고 하더라도 사회적 위험이 낮다는 점을 이용자에게 인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메타버스 플랫폼을 이용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메타버스 플랫폼은 혁신적인 플랫폼이라고 인지시킬 필요가 있다. 셋째, 메타버스 플랫폼의 이용 방법을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복잡성을 줄여야 한다. 그리고 이용자들이 이용방법이 불편하지 않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면 저항이 줄어들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메타버스 플랫폼은 계속 발전하고 있음을 이용자들에게 보여주어야 한다. 플랫폼 사업자는 메타버스 플랫폼 내에서 개선해야 될 점을 파악하고 이를 신속하게 개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정부 차원에서 메타버스 플랫폼에 대해 규제하는 태도를 취하는 것보다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기술을 발전시키고 다양한 콘텐츠 개발을 장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메타버스 플랫폼의 수용과 확산을 위해서는 전 연령대를 아우를 수 있는 다양한 메타버스 콘텐츠 제작이 필요하다. 또한 국가적, 지역사회적 차원에서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연령대에 따른 디지털 격차를 해소시켜 메타버스 플랫폼에 대한 접근성을 강화해야 한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 플랫폼에 대한 이용자들의 수용과 확산이 아닌 저항요인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메타버스 플랫폼이 차세대 혁신 플랫폼으로 발전하고, 메타버스 플랫폼의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T technology is evolving faster and faster, and new innovations in the IT environment are having a positive impact on people. With the recent spread of COVID-19 and the developm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the metaverse platform is showing rapid growth. Due to the nature of the ...
IT technology is evolving faster and faster, and new innovations in the IT environment are having a positive impact on people. With the recent spread of COVID-19 and the developm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the metaverse platform is showing rapid growth. Due to the nature of the metaverse platform where production and consumption are circulated among users,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users is fatal to be a successful innovation. In order for the metaverse platform to succeed as a next-generation innovative platform, it is necessary to discuss why users feel resistance. However, most of the existing metaverse platform studies focused on the spread of metaverse platforms such as acceptance inten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and research on resistance was insufficient. Therefore, based on Ram's innovation resistance model,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innovation resistance that hinder the spread of the metaverse platform by dividing it into a user level and a perceived attributes of innovations of metaverse platform. For this research purpose, in this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people who had experience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and the number of respondents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was 319. The main independent variables consist of user characteristics (age group, frequency of use, innovative tendency, perceived self-efficacy) and perceived attributes of innovations of the metaverse platform (relative advantages, suitability, perceived social risk, complexity, improved innovation expectation), and dependent variables include innovation resistance and continuous use. The statistical program used for the analysis was SPSS 25, and the causal relationship was confirmed by ANOVA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user characteristics (age group, frequency of use, innovation tendency, perceived self-efficacy) on perceived attributes of innovations (relative advantage, suitability, perceived social risk, complexity, and improved innovation expectation), it was confirmed that frequency of use, innovation tendency, and perceived self-efficacy had a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 Only the frequency of use showed a positive (+) effect on perceived social risk. Next, the age of the user had a positive (+) effect on complexity. Finally, the user's innovation tendency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improved innovation expectation. Nex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attributes of innovations of the metaverse platform and innovation resistance, perceived social risk and complexity were positively (+) significant, and improved innovation expectations were negatively (-) significant.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resistance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was deriv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greater the innovation resistance, the lower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 implications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etaverse platform operators need to design metaverse platforms that users can feel have advantages over other online platform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build a virtual environment that is strongly linked to the real world by strengthening continuity more than now. Second, in order for the metaverse platform to spread further, it is necessary to make users aware that social risks are low even if the metaverse platform is us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the metaverse platform is an innovative platform for those who do not use the metaverse platform. Third, the method of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should be improved so that anyone can easily use it to reduce complexity. And if users can recognize that the method of use is not inconvenient, resistance can be reduced. Fourth, it should show users that the metaverse platform continues to develop. Platform operators need to understand what needs to be improved within the metaverse platform and make efforts to quickly improve i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chnology and encourage the development of various contents through active support rather than taking an attitude of regulating the metaverse platform at the government level. Finally, in order to accept and spread the metaverse platform, it is necessary to produce various metaverse contents that can encompass all ages. In addition, access to the metaverse platform should be strengthened by bridging the digital gap according to age groups through continuous education at the national and community level.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resistance factors, not acceptance and diffusion of users on the metaverse platform.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metaverse platform can be developed as a next-generation platform and used as basic data to optimize the platform's user experience.
IT technology is evolving faster and faster, and new innovations in the IT environment are having a positive impact on people. With the recent spread of COVID-19 and the developm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the metaverse platform is showing rapid growth. Due to the nature of the metaverse platform where production and consumption are circulated among users,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users is fatal to be a successful innovation. In order for the metaverse platform to succeed as a next-generation innovative platform, it is necessary to discuss why users feel resistance. However, most of the existing metaverse platform studies focused on the spread of metaverse platforms such as acceptance inten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and research on resistance was insufficient. Therefore, based on Ram's innovation resistance model,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innovation resistance that hinder the spread of the metaverse platform by dividing it into a user level and a perceived attributes of innovations of metaverse platform. For this research purpose, in this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people who had experience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and the number of respondents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was 319. The main independent variables consist of user characteristics (age group, frequency of use, innovative tendency, perceived self-efficacy) and perceived attributes of innovations of the metaverse platform (relative advantages, suitability, perceived social risk, complexity, improved innovation expectation), and dependent variables include innovation resistance and continuous use. The statistical program used for the analysis was SPSS 25, and the causal relationship was confirmed by ANOVA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user characteristics (age group, frequency of use, innovation tendency, perceived self-efficacy) on perceived attributes of innovations (relative advantage, suitability, perceived social risk, complexity, and improved innovation expectation), it was confirmed that frequency of use, innovation tendency, and perceived self-efficacy had a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 Only the frequency of use showed a positive (+) effect on perceived social risk. Next, the age of the user had a positive (+) effect on complexity. Finally, the user's innovation tendency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improved innovation expectation. Nex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attributes of innovations of the metaverse platform and innovation resistance, perceived social risk and complexity were positively (+) significant, and improved innovation expectations were negatively (-) significant.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resistance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was deriv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greater the innovation resistance, the lower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 implications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etaverse platform operators need to design metaverse platforms that users can feel have advantages over other online platform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build a virtual environment that is strongly linked to the real world by strengthening continuity more than now. Second, in order for the metaverse platform to spread further, it is necessary to make users aware that social risks are low even if the metaverse platform is us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the metaverse platform is an innovative platform for those who do not use the metaverse platform. Third, the method of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should be improved so that anyone can easily use it to reduce complexity. And if users can recognize that the method of use is not inconvenient, resistance can be reduced. Fourth, it should show users that the metaverse platform continues to develop. Platform operators need to understand what needs to be improved within the metaverse platform and make efforts to quickly improve i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chnology and encourage the development of various contents through active support rather than taking an attitude of regulating the metaverse platform at the government level. Finally, in order to accept and spread the metaverse platform, it is necessary to produce various metaverse contents that can encompass all ages. In addition, access to the metaverse platform should be strengthened by bridging the digital gap according to age groups through continuous education at the national and community level.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resistance factors, not acceptance and diffusion of users on the metaverse platform.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metaverse platform can be developed as a next-generation platform and used as basic data to optimize the platform's user experienc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