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감염병전담요양병원 간호사의 스트레스와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감염관리 수행도 Stress, COVID-19 related knowledge, attitude, and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of nurses at long-term care hospitals dedicated to infectious disease원문보기
본 연구는 감염병전담요양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스트레스와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감염관리 수행도를 파악하고 스트레스와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태도가 감염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2022년 2월 21일부터 3월 31일까지 G광역시, I광역시, U광역시, J시, D시, S군의 감염병전담요양병원 7곳과 온라인 설문을 통해 감염병전담요양병원 간호사 178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연구 동의서를 작성한 후 자가 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Independent t-test와 ...
본 연구는 감염병전담요양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스트레스와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감염관리 수행도를 파악하고 스트레스와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태도가 감염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2022년 2월 21일부터 3월 31일까지 G광역시, I광역시, U광역시, J시, D시, S군의 감염병전담요양병원 7곳과 온라인 설문을 통해 감염병전담요양병원 간호사 178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연구 동의서를 작성한 후 자가 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Independent t-test와 ANOVA,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스트레스는 건강군이 1.7%, 잠재적 스트레스군이 53.4%, 고위험 스트레스군이 44.9%로 나타났다. 코로나19에 대한 지식은 23점 만점에 평균 19.30±2.42점으로 백분율로 환산하면 83.9%의 정답률을 보였고, 코로나19에 대한 태도는 5점 만점에 평균 4.24±0.43점, 코로나19에 대한 감염관리 수행도의 평균은 4.58±0.58점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는 결혼 상태(t=3.69, p<.001), 최근 1년 이 내 감염관리 교육 경험(t=-3.28, p=.001), 연령(F=6.30, p<.001), 직위(F=4.82, p=.009), 임상 경력(F=3.16, p=.045), 교육 횟수(F=4.61, p=.004)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코로나19에 대한 지식은 결혼 상태(t=-2.06, p=.043), 최근 1년 이내 감염관리 교육 경험(t=2.37, p=.024), 교육 횟수(F=5.31, p=.00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코로나19에 대한 태도는 결혼 상태(t=-2.84, p=.006), 최근 1년 이내 감염관리 교육 경험(t=4.02, p<.001), 직위(F=8.67, p<.001), 임상 경력(F=7.64, p=.001), 교육 횟수(F=9.01,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코로나19에 대한 감염관리 수행도는 결혼 상태(t=-3.71, p<.001), 최근 1년 이내 감염관리 교육 경험(t=3.74, p=.001), 연령(F=4.10, p=.003), 교육 횟수(F=6.41,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스트레스와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감염관리 수행도 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코로나19에 대한 감염관리 수행도는 스트레스(r=-.26, p<.001)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코로나19에 대한 지식(r=.40, p<.001), 태도(r=.36,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코로나19에 대한 감염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스트레스((β=-0.17, p=.012), 코로나19에 대한 지식(β=0.28, p<.001), 태도(β=0.20, p=.004), 결혼 상태(β=0.18, p=.009)가 확인되었다. 이들 변수의 코로나19 감염관리 수행도에 대한 설명력은 27.1%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코로나19에 대한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스트레스,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및 태도, 결혼 상태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코로나19 감염관리 수행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식을 높이고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며 스트레스 낮출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감염병전담요양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스트레스와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감염관리 수행도를 파악하고 스트레스와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태도가 감염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2022년 2월 21일부터 3월 31일까지 G광역시, I광역시, U광역시, J시, D시, S군의 감염병전담요양병원 7곳과 온라인 설문을 통해 감염병전담요양병원 간호사 178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연구 동의서를 작성한 후 자가 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Independent t-test와 ANOVA,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스트레스는 건강군이 1.7%, 잠재적 스트레스군이 53.4%, 고위험 스트레스군이 44.9%로 나타났다. 코로나19에 대한 지식은 23점 만점에 평균 19.30±2.42점으로 백분율로 환산하면 83.9%의 정답률을 보였고, 코로나19에 대한 태도는 5점 만점에 평균 4.24±0.43점, 코로나19에 대한 감염관리 수행도의 평균은 4.58±0.58점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는 결혼 상태(t=3.69, p<.001), 최근 1년 이 내 감염관리 교육 경험(t=-3.28, p=.001), 연령(F=6.30, p<.001), 직위(F=4.82, p=.009), 임상 경력(F=3.16, p=.045), 교육 횟수(F=4.61, p=.004)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코로나19에 대한 지식은 결혼 상태(t=-2.06, p=.043), 최근 1년 이내 감염관리 교육 경험(t=2.37, p=.024), 교육 횟수(F=5.31, p=.00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코로나19에 대한 태도는 결혼 상태(t=-2.84, p=.006), 최근 1년 이내 감염관리 교육 경험(t=4.02, p<.001), 직위(F=8.67, p<.001), 임상 경력(F=7.64, p=.001), 교육 횟수(F=9.01,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코로나19에 대한 감염관리 수행도는 결혼 상태(t=-3.71, p<.001), 최근 1년 이내 감염관리 교육 경험(t=3.74, p=.001), 연령(F=4.10, p=.003), 교육 횟수(F=6.41,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스트레스와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감염관리 수행도 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코로나19에 대한 감염관리 수행도는 스트레스(r=-.26, p<.001)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코로나19에 대한 지식(r=.40, p<.001), 태도(r=.36,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코로나19에 대한 감염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스트레스((β=-0.17, p=.012), 코로나19에 대한 지식(β=0.28, p<.001), 태도(β=0.20, p=.004), 결혼 상태(β=0.18, p=.009)가 확인되었다. 이들 변수의 코로나19 감염관리 수행도에 대한 설명력은 27.1%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코로나19에 대한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스트레스,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및 태도, 결혼 상태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코로나19 감염관리 수행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식을 높이고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며 스트레스 낮출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This is a descriptive study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stress, COVID-19 related knowledge, and attitude, on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dedicated to infectious disease. The participants were 178 nurses in seven long-term care hospitals dedicated to infec...
This is a descriptive study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stress, COVID-19 related knowledge, and attitude, on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dedicated to infectious disease. The participants were 178 nurses in seven long-term care hospitals dedicated to infectious disease and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from February 2022 to March 2022 in three metropolitan citites, and three none-metropolitan cities through online and offline survey. Informed consent was obtained when nurse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gh IBM SPSS Statistics 26.0 and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d ANOVA,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in this survey.
A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is as follows. The stress level of subjects is like this: 1.7% of the healthy group, 53.4% of the potential stress group, and 44.9% of the high-risk stress group were analyzed. Knowledge about COVID-19 was 19.30±2.42 out of 23, in terms of percentage, it showed 83.9% correct. Attitude to COVID-19 was 4.24±0.43 out of 5, and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about COVID-19 is 4.58±0.58 out of 5. Stress level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d depending on marital status (t=3.69, p<.001), completion of training for controlling infection disease within recent one year (t=-3.28, p=.001), age (F=6.30, p<.001), position (F=4.82, p=.009) and clinical experience (F=3.16, p=.045). Knowledge about COVID-19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 depending on marital status (t=-2.06, p=.043), completion of training for controlling infection disease within recent one year (t=2.37, p=.024) and the number of the training (F=5.31, p=.002). Attitude to COVID-19 significantly differed depending on marital status (t=-2.84, p=.006), completion of training for controlling infection disease within recent one year (t=4.02, p<.001), position (F=8.67, p<.001), the number of the training (F=9.01, p<.001).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about COVID-19 significantly differed depending on marital status (t=-3.71, p<.001), completion of training for controlling infection disease within recent one year (t=3.74, p=.001), age (F=4.10, p=.003) and the number of the training (F=6.41, p<.001). Analysis of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ubject’s stress, COVID-19 related knowledge, attitude and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revealed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was negatively related to stress (r=-.26, p<.001) a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r=.40, p<.001) and attitude (r=.36, p<.001). Influence factors for subjects’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about COVID-19 were stress (β=-0.17, p=.012), knowledge about COVID-19 (β=0.28, p<.001), attitude to COVID-19(β=0.20, p=.004) and marital status (β=0.18, p=.009). Explanation ability of these variables regarding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about COVID-19 were 27.1%.
Research results above showed that influence factors for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about COVID-19 were stress, knowledge about and attitude to COVID-19 and marital statu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programs to improve knowledge about COVID-19, maintain positive attitude to COVID-19 and relieve stress in order to increase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about COVID-19.
This is a descriptive study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stress, COVID-19 related knowledge, and attitude, on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dedicated to infectious disease. The participants were 178 nurses in seven long-term care hospitals dedicated to infectious disease and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from February 2022 to March 2022 in three metropolitan citites, and three none-metropolitan cities through online and offline survey. Informed consent was obtained when nurse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gh IBM SPSS Statistics 26.0 and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d ANOVA,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in this survey.
A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is as follows. The stress level of subjects is like this: 1.7% of the healthy group, 53.4% of the potential stress group, and 44.9% of the high-risk stress group were analyzed. Knowledge about COVID-19 was 19.30±2.42 out of 23, in terms of percentage, it showed 83.9% correct. Attitude to COVID-19 was 4.24±0.43 out of 5, and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about COVID-19 is 4.58±0.58 out of 5. Stress level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d depending on marital status (t=3.69, p<.001), completion of training for controlling infection disease within recent one year (t=-3.28, p=.001), age (F=6.30, p<.001), position (F=4.82, p=.009) and clinical experience (F=3.16, p=.045). Knowledge about COVID-19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 depending on marital status (t=-2.06, p=.043), completion of training for controlling infection disease within recent one year (t=2.37, p=.024) and the number of the training (F=5.31, p=.002). Attitude to COVID-19 significantly differed depending on marital status (t=-2.84, p=.006), completion of training for controlling infection disease within recent one year (t=4.02, p<.001), position (F=8.67, p<.001), the number of the training (F=9.01, p<.001).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about COVID-19 significantly differed depending on marital status (t=-3.71, p<.001), completion of training for controlling infection disease within recent one year (t=3.74, p=.001), age (F=4.10, p=.003) and the number of the training (F=6.41, p<.001). Analysis of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ubject’s stress, COVID-19 related knowledge, attitude and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revealed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was negatively related to stress (r=-.26, p<.001) a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r=.40, p<.001) and attitude (r=.36, p<.001). Influence factors for subjects’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about COVID-19 were stress (β=-0.17, p=.012), knowledge about COVID-19 (β=0.28, p<.001), attitude to COVID-19(β=0.20, p=.004) and marital status (β=0.18, p=.009). Explanation ability of these variables regarding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about COVID-19 were 27.1%.
Research results above showed that influence factors for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about COVID-19 were stress, knowledge about and attitude to COVID-19 and marital statu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programs to improve knowledge about COVID-19, maintain positive attitude to COVID-19 and relieve stress in order to increase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about COVID-19.
Keyword
#코로나19 스트레스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코로나19에 대한 태도 코로나19에 대한 감염관리 수행도
학위논문 정보
저자
심지애
학위수여기관
건양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간호학과 감염관리전문간호과정
지도교수
정선영
발행연도
2022
키워드
코로나19 스트레스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코로나19에 대한 태도 코로나19에 대한 감염관리 수행도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