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도시계획변경 사전협상제도의 변천과정과 도입효과 연구
The Transition Procedure and the Effects of Pre-negotiation System for Urban Planning Revision in Seoul 원문보기


홍선기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도시공학과 국내박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전협상제도는 도시계획적으로 주변과 조화되는 좋은 개발을 유도하여 도시발전을 견인하고, 용도지역 변경 등에 따른 계획이득을 사회적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민간과 공공이 서로 윈-윈할 수 있는 통합적 협상을 통한 협력적 계획의 모델로서 지난 2009년 서울시가 도입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전협상제도가 출범한 지 10여 년이 지난 현시점에서 서울시가 본 제도를 도입하게 된 배경과 시대적 상황과 사회적 요구에 맞춰 변천 과정의 추이를 살펴봄으로써 제도 출범 당시의 도입 목적과 시대적 여건 변화에 맞게 발전적으로 진화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협상이 완료된 대상지 사례를 중심으로 제도의 도입 취지와 목적에 맞게 잘 운용되고 있는지 그 효과와 한계를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2000년 도시계획법에 최초로 도입된 공공기여 인센티브 제도는 사전협상제도가 도입되기 이전까지는 토지의 기부채납만 가능했다. 사전협상제도가 작동되려면 공공기여 유형의 다양화 및 광역적 활용과 함께, 지구단위계획을 통한 용도지역 변경이 가능해야 했다.
결국, 2011년 3월 건축물 기부채납이 가능해지고, 2012년 4월 일부 지역에 한정하여 지구단위계획을 통한 용도지역 변경 허용과 함께, 공공기여의 범위가 자치구까지 확대됨으로써 사전협상제도는 법제화되었다.
이에 따라 본격적인 사전협상이 진행되어 ‘강동구 서울승합’이 2012년, ‘용산구 관광터미널’과 ‘마포구 홍대역사’ 등이 2013년, ‘강남구 한전부지’가 2016년에 사전협상을 완료하였다. 서울시는 이러한 협상 과정에서의 시행착오에 따른 개선방안을 담아 2015년, 2016년, 2018년 등 세 차례에 걸쳐 ‘사전협상 운영지침’을 개정함으로써 사전협상제도는 정착화 과정에 이르게 된다. 2019년엔, 당시 ‘노원구 광운대역사’, ‘광진구 동서울터미널’, ‘서초구 코오롱부지’, ‘용산철도병원’, ‘서울역 북부역세권’ 등 사전협상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었다. 서울시는 사전협상제도의 보다 안정적 운영을 위하여 2019년 ‘사전협상 운영조례’를 제정하였고,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필수 요소로서 공공기여의 광역적 활용을 위하여 중앙정부와 지속적인 논의과정을 거쳐 2021년 국토계획법이 개정됨에 따라, 공공기여는 비로소 서울시 전역으로 확대되었다. 이렇듯 사전협상제도의 공공기여는 시대적 상황과 사회적 요구에 맞춰 개정을 거듭하여 본래의 도입 취지에 맞게 발전적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사전협상제도의 도입 효과는 협상이 완료된 8개 대상지의 협상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본 제도의 도입 효과를 확인하였다. 먼저, 양적인 분석은 공공기여, 협상 과정, 감정 평가와 물리적 요소인 건축 및 경관계획 등 주요 쟁점을 유형화하여 계량적인 분석을 하였고, 질적인 분석은 전문가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도시계획, 공공성, 협상 과정 측면에서 도입 효과를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사전협상제도의 도입 효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협상제도는 지구단위계획 등 타 제도에 비하여 밀도, 높이, 용도 등 상위계획과 부합하는 적정한 개발계획을 수립하였고, 지역 여건에 맞는 도로, 공원 등 ...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negotiation System leads urban development by inducing good development that harmonizes with the surrounding area in terms of urban planning, and through integrated negotiations that can be win-win between the private sector and the public so that the benefits of planning from the change of ...

주제어

#사전협상 사전협상제도 공공기여 용도변경 도시계획 변경 통합적 협상 협력적 계획 

학위논문 정보

저자 홍선기
학위수여기관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학위구분 국내박사
학과 도시공학과
지도교수 남진
발행연도 2022
총페이지 ix, 232 p.
키워드 사전협상 사전협상제도 공공기여 용도변경 도시계획 변경 통합적 협상 협력적 계획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16397362&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