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신도시 학교시설 복합화 초등학교 설계 경향에 관한 분석 : 동탄, 배곧신도시 초등학교 내 복합화 시설 POE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Design Trends in Complex Facilities of New Town Elementary School : With focus on the POE of Community Share Facilities in Dongtan and Baegot New Town Elementary School원문보기
학교와 커뮤니티가 인적, 물적 자원을 협력하여 커뮤니티의 생활과 문화의 중심지로서 학교를 발전시키는 계획은 토지 및 시설이 한정된 도시지역에서 큰 호응을 얻어 전 세계 2만 7천여 개의 학교가 참여하였다. 국내에서는 2000년대 초 학교시설 복합화를 통해 학교 내 커뮤니티 시설이 계획되었고, 기성시가지부터 신도시까지 다양한 지역에 적용되었다. 특히 관련 법령의 정비와 지자체별 자체 조례를 제정하면서 등장한 신도시 복합화 초등학교는 새로운 미래학교 모습으로 주목 받아 3기 신도시 신설 학교에 적용될 예정이다. 이와 같이 국내에서 신도시 학교시설 복합화 초등학교가 새로운 학교 유형으로 확산되는 가운데, 실제 지역의 중심시설로 작용하고 있는지 건축계획적 측면에서의 검토와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커뮤니티 공유 학교의 이론적 계획 특성에 따라 현재 신도시 복합화 초등학교의 계획 방향과 이용자의 사용현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례 조사 대상 학교로 현재 커뮤니티 시설을 운영하고 있는 동탄 및 배곧 신도시의 복합화 초등학교를 선정하였고, 학생, 학부모, 지역주민, 교사 이용자 그룹의 거주 후 평가(...
학교와 커뮤니티가 인적, 물적 자원을 협력하여 커뮤니티의 생활과 문화의 중심지로서 학교를 발전시키는 계획은 토지 및 시설이 한정된 도시지역에서 큰 호응을 얻어 전 세계 2만 7천여 개의 학교가 참여하였다. 국내에서는 2000년대 초 학교시설 복합화를 통해 학교 내 커뮤니티 시설이 계획되었고, 기성시가지부터 신도시까지 다양한 지역에 적용되었다. 특히 관련 법령의 정비와 지자체별 자체 조례를 제정하면서 등장한 신도시 복합화 초등학교는 새로운 미래학교 모습으로 주목 받아 3기 신도시 신설 학교에 적용될 예정이다. 이와 같이 국내에서 신도시 학교시설 복합화 초등학교가 새로운 학교 유형으로 확산되는 가운데, 실제 지역의 중심시설로 작용하고 있는지 건축계획적 측면에서의 검토와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커뮤니티 공유 학교의 이론적 계획 특성에 따라 현재 신도시 복합화 초등학교의 계획 방향과 이용자의 사용현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례 조사 대상 학교로 현재 커뮤니티 시설을 운영하고 있는 동탄 및 배곧 신도시의 복합화 초등학교를 선정하였고, 학생, 학부모, 지역주민, 교사 이용자 그룹의 거주 후 평가(POE)를 통해 결론을 도출하였다. 대상 학교 분석을 위한 틀로 학교 내 커뮤니티 시설의 연구 자료 및 문헌에서 나타나는 주요 계획 특성을 살펴보았을 때, 가변성(Flexibility), 유니버설 디자인(Universal Design), 보안성(Security)으로 요약할 수 있다. 학교와 커뮤니티 시설에 적용되는 위 세 특성의 공간적, 물리적 평가 요소는 총 11가지로 가변성(Flexibility) 측면에서 사용상의 융통성, 확장성, 전환성, 다기능성과 유니버설 디자인(Universal Design) 측면에서 접근성, 지원성, 수용성, 안전성, 보안성(Security)의 측면에서 자연 감시, 영역성 강조, 접근 통제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신도시 복합화 초등학교를 분석했을 때, 추후 고려해야 할 복합화 시설의 사용현황과 개선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변성의 측면에서 한정된 기능과 규모의 특화실 면적 비율이 높은 복합화 시설은 학교 수업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어려운 이용 양상이 나타났다. 때문에 교과과정 내 다양한 수업 형태에 대응해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반 이상 수용 가능한 규모와 확장성을 갖춘 다목적 교육 공간의 필요성이 드러났다.
둘째, 가변성과 유니버설 디자인 측면에서 유아나 어린이와 보호자의 이동 동선은 필연적으로 겹쳐있고, 동일한 연령대에서도 선호 공간 유형이 광범위하게 나타났다. 이에 복합화 시설은 여러 세대와 다양한 신체 능력을 가진 이용자가 함께 공간을 공유하는 장소로 접근 및 선택 가능한 물리적(소음 및 온도) 환경을 적극적으로 조성할 필요가 있다.
셋째, 유니버설 디자인과 보안성의 측면에서 복합화 시설의 상시개방공간이 이용자의 동선과 수직적, 수평적으로 분리될 경우 접근성을 낮추게 되어 시설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초등학생의 이동 동선과 상시개방공간의 분리는 학교 영역과의 시선 연결이 저하되어 개방을 위해서는 재배치가 필요한 상황이다.
넷째, 유니버설 디자인과 보안성의 측면에서 계획 초기에 차량 및 이용자 사이 혼합 동선을 최소화하는 영역별 위계(학생 – 공동 – 사회기반 시설) 및 경계 강조 디자인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였다. 이에 따라 학교와 복합화 시설의 영역이 초기 계획과 달리 접근 통제와 펜스를 통해 분리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커뮤니티 중심시설로 학교 내 커뮤니티 시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시점에서 실제 계획된 학교시설 복합화 초등학교는 개교 시점에 맞추기 위해 개별적으로 준공된 후 연결통로에 의존한 연계가 이루어지고, 보안성에 대한 우려와 민원으로 인해 영역이 분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가변성, 유니버설 디자인 측면을 고려한 다양한 보안성 확보 계획이 미흡해 발생하는 한계로 복합화 초등학교 계획 지침으로서 독립연결형 건축 유형에 대한 검증 및 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가 부족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점차 주요한 학교 유형으로 자리매김하게 될 신도시 내 학교시설 복합화 초등학교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 분석 후 복합화 시설이 커뮤니티 전체의 열린 교육 증진을 위해 고려해야 할 물리적 쟁점과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사안은 복합화 초등학교가 모든 이용자 그룹이 함께 이용하면서 커뮤니티 내 복합적인 문제를 함께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적 자료로 의미가 있다.
학교와 커뮤니티가 인적, 물적 자원을 협력하여 커뮤니티의 생활과 문화의 중심지로서 학교를 발전시키는 계획은 토지 및 시설이 한정된 도시지역에서 큰 호응을 얻어 전 세계 2만 7천여 개의 학교가 참여하였다. 국내에서는 2000년대 초 학교시설 복합화를 통해 학교 내 커뮤니티 시설이 계획되었고, 기성시가지부터 신도시까지 다양한 지역에 적용되었다. 특히 관련 법령의 정비와 지자체별 자체 조례를 제정하면서 등장한 신도시 복합화 초등학교는 새로운 미래학교 모습으로 주목 받아 3기 신도시 신설 학교에 적용될 예정이다. 이와 같이 국내에서 신도시 학교시설 복합화 초등학교가 새로운 학교 유형으로 확산되는 가운데, 실제 지역의 중심시설로 작용하고 있는지 건축계획적 측면에서의 검토와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커뮤니티 공유 학교의 이론적 계획 특성에 따라 현재 신도시 복합화 초등학교의 계획 방향과 이용자의 사용현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례 조사 대상 학교로 현재 커뮤니티 시설을 운영하고 있는 동탄 및 배곧 신도시의 복합화 초등학교를 선정하였고, 학생, 학부모, 지역주민, 교사 이용자 그룹의 거주 후 평가(POE)를 통해 결론을 도출하였다. 대상 학교 분석을 위한 틀로 학교 내 커뮤니티 시설의 연구 자료 및 문헌에서 나타나는 주요 계획 특성을 살펴보았을 때, 가변성(Flexibility), 유니버설 디자인(Universal Design), 보안성(Security)으로 요약할 수 있다. 학교와 커뮤니티 시설에 적용되는 위 세 특성의 공간적, 물리적 평가 요소는 총 11가지로 가변성(Flexibility) 측면에서 사용상의 융통성, 확장성, 전환성, 다기능성과 유니버설 디자인(Universal Design) 측면에서 접근성, 지원성, 수용성, 안전성, 보안성(Security)의 측면에서 자연 감시, 영역성 강조, 접근 통제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신도시 복합화 초등학교를 분석했을 때, 추후 고려해야 할 복합화 시설의 사용현황과 개선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변성의 측면에서 한정된 기능과 규모의 특화실 면적 비율이 높은 복합화 시설은 학교 수업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어려운 이용 양상이 나타났다. 때문에 교과과정 내 다양한 수업 형태에 대응해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반 이상 수용 가능한 규모와 확장성을 갖춘 다목적 교육 공간의 필요성이 드러났다.
둘째, 가변성과 유니버설 디자인 측면에서 유아나 어린이와 보호자의 이동 동선은 필연적으로 겹쳐있고, 동일한 연령대에서도 선호 공간 유형이 광범위하게 나타났다. 이에 복합화 시설은 여러 세대와 다양한 신체 능력을 가진 이용자가 함께 공간을 공유하는 장소로 접근 및 선택 가능한 물리적(소음 및 온도) 환경을 적극적으로 조성할 필요가 있다.
셋째, 유니버설 디자인과 보안성의 측면에서 복합화 시설의 상시개방공간이 이용자의 동선과 수직적, 수평적으로 분리될 경우 접근성을 낮추게 되어 시설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초등학생의 이동 동선과 상시개방공간의 분리는 학교 영역과의 시선 연결이 저하되어 개방을 위해서는 재배치가 필요한 상황이다.
넷째, 유니버설 디자인과 보안성의 측면에서 계획 초기에 차량 및 이용자 사이 혼합 동선을 최소화하는 영역별 위계(학생 – 공동 – 사회기반 시설) 및 경계 강조 디자인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였다. 이에 따라 학교와 복합화 시설의 영역이 초기 계획과 달리 접근 통제와 펜스를 통해 분리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커뮤니티 중심시설로 학교 내 커뮤니티 시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시점에서 실제 계획된 학교시설 복합화 초등학교는 개교 시점에 맞추기 위해 개별적으로 준공된 후 연결통로에 의존한 연계가 이루어지고, 보안성에 대한 우려와 민원으로 인해 영역이 분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가변성, 유니버설 디자인 측면을 고려한 다양한 보안성 확보 계획이 미흡해 발생하는 한계로 복합화 초등학교 계획 지침으로서 독립연결형 건축 유형에 대한 검증 및 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가 부족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점차 주요한 학교 유형으로 자리매김하게 될 신도시 내 학교시설 복합화 초등학교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 분석 후 복합화 시설이 커뮤니티 전체의 열린 교육 증진을 위해 고려해야 할 물리적 쟁점과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사안은 복합화 초등학교가 모든 이용자 그룹이 함께 이용하면서 커뮤니티 내 복합적인 문제를 함께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적 자료로 의미가 있다.
The plan to develop the school as a center of community life and culture by cooperating with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received great response in urban areas where public resources were limited, and more than 27,000 schools around the world participated. In Korea, community facilities in schools ...
The plan to develop the school as a center of community life and culture by cooperating with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received great response in urban areas where public resources were limited, and more than 27,000 schools around the world participated. In Korea, community facilities in schools were planned through "complex facilities of school" in the early 2000s and applied to towns in various situations. In particular, complex facilities of school in the new town, which emerged when the relevant laws and ordinances were enacted by local governments, drew attention as a new future school and will be applied to 70 schools in the new town. As 'complex facilities of school' in new cities are spreading to new school types in Korea, it is time to review and study in terms of architectural planning whether it is acting as a central facility in the region.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planning direction of complex facilities of elementary school in the current new town and the usage status of users according to the spatial planning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share schools. To analyze this, complex facilities of school in Dongtan and Baegot new towns, which currently operate community facilities as a school subject to the case study, were selected, and conclusions were drawn through post-resident evaluation (POE) of students, parents, residents, and teachers. When examining the main planning characteristics of research data and literature on community facilities in schools as a framework for school analysis, it can be summarized as flexibility, universal design, and security. A total of 11 spatial and physical factors applied to schools and community facilities were found, these were divided into Flexibility, Universal Design, and Security. Flexibility factors are as follows: “Flexibility in use,” “Expansibility,” “Convertibility,” and “Versatility.” Universal Design factors are as follows: “Accessible Design,” “Supportive Design,” “Adaptable Design” and “Safety-Oriented Design.” Security elemen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Natural Surveillance,” “Territoriality Reinforcement,” and “Access Control.” Based on these factors, when analyzing the new town complex elementary school, the issues of community share facilities to be considered in the future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Flexibility, community share facilities with a high ratio of specialized rooms with limited functions and sizes were difficult to actively use in school classes. Therefore, the need for a multipurpose educational space with a size and expansability that can be accommodated by more than one class so that it can be used in response to various types of instruction in the curriculum has been revealed.
Second, in terms of Flexibility and Universal Design, the movement paths of infants and children and guardians inevitably overlap, and preferred space types were widely seen even in the same age group. Therefore, complex facilities need to actively create a physical (noise and temperature) environment that can be accessed and selected as a place where multiple generations and users with various physical abilities share spaces.
Third, in terms of Universal Design and Security, when the open space of the complexation facility i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separated from the user's movement line, accessibility is lowered, affecting facility satisfaction. In particular, the separation of the movement path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open space at all times has degraded the connection of eyes with the school area, so it is necessary to relocate for opening.
Fourth, in terms of Universal Design and Security, there was a lack of consideration for a design that emphasized boundaries (student–community share–social infrastructure) and a region-specific hierarchy that minimizes mixed traffic between vehicles and users at the beginning of the plan. Accordingly, unlike the initial plan, the areas of schools and complex facilities tend to be separated through access control and fences.
At a time when the demand for community facilities in schools is increasing community-centered facility, we looked at the actual planned school facility complex elementary school. The schools subject to the survey were individually completed to meet the opening time, followed by links that relied on connection bridges, and areas were being separated due to concerns over security and complaints. This is a limitation caused by insufficient plans to secure various security considering variability and universal design, and research on the verification and planning direction of independent connected architecture type is insufficient as a 'complex facilities of elementary school' plan guide.
In this study, after analyzing interviews with users of complex facilities of schools in the new town, which will gradually become a major school type, physical issues and improvement directions for complex facilities to consider to promote open education throughout the community were presented. The issues derived through the study are meaningful as data that allows complex elementary schools to respond to complex problems in the community together while being used by all user groups.
The plan to develop the school as a center of community life and culture by cooperating with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received great response in urban areas where public resources were limited, and more than 27,000 schools around the world participated. In Korea, community facilities in schools were planned through "complex facilities of school" in the early 2000s and applied to towns in various situations. In particular, complex facilities of school in the new town, which emerged when the relevant laws and ordinances were enacted by local governments, drew attention as a new future school and will be applied to 70 schools in the new town. As 'complex facilities of school' in new cities are spreading to new school types in Korea, it is time to review and study in terms of architectural planning whether it is acting as a central facility in the region.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planning direction of complex facilities of elementary school in the current new town and the usage status of users according to the spatial planning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share schools. To analyze this, complex facilities of school in Dongtan and Baegot new towns, which currently operate community facilities as a school subject to the case study, were selected, and conclusions were drawn through post-resident evaluation (POE) of students, parents, residents, and teachers. When examining the main planning characteristics of research data and literature on community facilities in schools as a framework for school analysis, it can be summarized as flexibility, universal design, and security. A total of 11 spatial and physical factors applied to schools and community facilities were found, these were divided into Flexibility, Universal Design, and Security. Flexibility factors are as follows: “Flexibility in use,” “Expansibility,” “Convertibility,” and “Versatility.” Universal Design factors are as follows: “Accessible Design,” “Supportive Design,” “Adaptable Design” and “Safety-Oriented Design.” Security elemen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Natural Surveillance,” “Territoriality Reinforcement,” and “Access Control.” Based on these factors, when analyzing the new town complex elementary school, the issues of community share facilities to be considered in the future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Flexibility, community share facilities with a high ratio of specialized rooms with limited functions and sizes were difficult to actively use in school classes. Therefore, the need for a multipurpose educational space with a size and expansability that can be accommodated by more than one class so that it can be used in response to various types of instruction in the curriculum has been revealed.
Second, in terms of Flexibility and Universal Design, the movement paths of infants and children and guardians inevitably overlap, and preferred space types were widely seen even in the same age group. Therefore, complex facilities need to actively create a physical (noise and temperature) environment that can be accessed and selected as a place where multiple generations and users with various physical abilities share spaces.
Third, in terms of Universal Design and Security, when the open space of the complexation facility i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separated from the user's movement line, accessibility is lowered, affecting facility satisfaction. In particular, the separation of the movement path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open space at all times has degraded the connection of eyes with the school area, so it is necessary to relocate for opening.
Fourth, in terms of Universal Design and Security, there was a lack of consideration for a design that emphasized boundaries (student–community share–social infrastructure) and a region-specific hierarchy that minimizes mixed traffic between vehicles and users at the beginning of the plan. Accordingly, unlike the initial plan, the areas of schools and complex facilities tend to be separated through access control and fences.
At a time when the demand for community facilities in schools is increasing community-centered facility, we looked at the actual planned school facility complex elementary school. The schools subject to the survey were individually completed to meet the opening time, followed by links that relied on connection bridges, and areas were being separated due to concerns over security and complaints. This is a limitation caused by insufficient plans to secure various security considering variability and universal design, and research on the verification and planning direction of independent connected architecture type is insufficient as a 'complex facilities of elementary school' plan guide.
In this study, after analyzing interviews with users of complex facilities of schools in the new town, which will gradually become a major school type, physical issues and improvement directions for complex facilities to consider to promote open education throughout the community were presented. The issues derived through the study are meaningful as data that allows complex elementary schools to respond to complex problems in the community together while being used by all user group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