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학위 논문은 신명기에 기록된 헤렘 규정을 편집비평적인 방법에 따라 분석하고, 의도를 파악하고자 했다. 그리고 신명기에 기록된 헤렘 규정의 저작 및 편집 연대를 파악하고, 그 변천사를 정리하여 신명기의 헤렘 규정이 어떤 내용으로 변화되고 있는지를 최종적으로 제시하는 연구이다. 신명기의 헤렘 규정은 보통 ”멸절하다“라는 의미의 히브리어 단어인 חרם 동사가 중심이 되는 본문이며, 이와 비슷한 동사 표현들이 함께 사용되었다. 그리고 헤렘에 대한 대상이 주로 이방 민족이며, 그들과 관련된 모든 것들을 소멸할 것을 명령하는 특징이 있다...
본 학위 논문은 신명기에 기록된 헤렘 규정을 편집비평적인 방법에 따라 분석하고, 의도를 파악하고자 했다. 그리고 신명기에 기록된 헤렘 규정의 저작 및 편집 연대를 파악하고, 그 변천사를 정리하여 신명기의 헤렘 규정이 어떤 내용으로 변화되고 있는지를 최종적으로 제시하는 연구이다. 신명기의 헤렘 규정은 보통 ”멸절하다“라는 의미의 히브리어 단어인 חרם 동사가 중심이 되는 본문이며, 이와 비슷한 동사 표현들이 함께 사용되었다. 그리고 헤렘에 대한 대상이 주로 이방 민족이며, 그들과 관련된 모든 것들을 소멸할 것을 명령하는 특징이 있다.
신명기의 헤렘 규정은 각각 두 가지의 형태로 나뉠 수 있다. 첫째는, 헤렘이라는 표현을 직접적으로 사용한 본문으로, 신명기 2장 24절~3장 11절, 7장, 13장, 20장 10~18절이 있다. 이 본문은 חרם 동사 뿐만 아니라 헤렘 규정에서 쓰이는 표현과 공식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이다. 신명기 20장 10~18절, 13장 7장은 규정을 기록한 본문이며, 2장 24절~3장 11절은 요단 동편 전투에 대한 회상으로, 헤렘 규정을 실행한 사례가 나타난다. 여기서 이스라엘 군대가 가축들을 제외한 나머지를 멸절한 내용이 나타나는데, 이는 신명기 20장 15~18절에 나타나는 헤렘 규정을 적용한 것이다.
두 번째는, 헤렘 규정과 관련된 직접적인 표현은 사용하지 않았으나, 그와 유사하거나 연결되는 표현을 사용한 본문으로 신명기 9장, 12장 1~3절, 29~31절, 25장 17~19절이 있다. 이들은 חרם 동사를 사용하지 않았으나, 그와 관련된 동사 또는 유사한 의미의 동사 표현을 사용하였다. 또한, 신명기 편집자가 헤렘 규정을 통하여 제시하는 주제나 의도가 각 본문에도 유사하게 나타난다는 점에서 헤렘 규정의 한 부류로 구별할 수 있다. 여기서, 12장 1~3절과 29~31절은 이방 제의 요소들을 모두 파괴하라는 명령으로, 이방 제의 요소를 헤렘의 대상으로 여겼으며, 25장 17~19절은 아말렉 부족에 대해 기억하고 그들을 멸절하라는 명령을 다른 동사 표현으로 묘사하였다. 그리고 신명기 9장은 금송아지 사건에 대한 회상을 통하여 야웨가 멸절을 주도하며, 그 대상은 이스라엘 민족이 될 수 있음을 이야기한다. 이를 통하여 신명기 편집자는 헤렘 규정의 직접적인 표현을 사용하는 대신, 그와 유사한 표현을 통하여 헤렘 규정의 내용이나 강조점을 이야기하였다.
이같이 신명기에는 두 가지 유형의 헤렘 관련 본문들이 기록되었다. 각 본문은 규정을 기록하거나, 사례를 언급하였다. 원신명기의 저자와 신명기 편집자는 헤렘 규정을 통하여 이스라엘 민족이 야웨 중심의 공동체를 구축하도록 하였다. 즉, 이스라엘 민족이 제의적으로 그리고 사회적으로 야웨 중심의 공동체가 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삼은 것이다. 또한, 헤렘 규정의 사례를 언급하여, 독자가 되는 미래의 공동체에 교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신명기의 헤렘 규정이 기록된 본문들은 각각 다른 편집층을 가지고 있으며, 저작 및 편집 시기에 따라 그 내용이 다르게 나타난다. 즉, 원신명기의 저자와 신명기 편집자가 헤렘 규정을 통하여 자신들의 관념을 제시하였으며, 그 안에는 저작/편집 당시의 상황이 반영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는 헤렘 규정이 다양한 편집층에서 널리 활용되었으며, 각 편집층의 저작 및 편집 연대에 따라 헤렘 규정이 변화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신명기에 기록된 헤렘 규정에 나타나는 변화는 곧 신명기 본문에서 강조하는 신학적인 관점이 편집된 시기에 따라 변화되거나, 새로운 관점이 추가되었음을 의미한다. 즉, 원신명기의 저자나 신명기 편집자가 헤렘 규정을 단순히 전쟁 규정이라는 용례로 활용한 것이 아니며 다양한 용례로 활용하여 독자인 공동체에게 강조점을 제시하였다고 정리할 수 있다. 따라서, 신명기의 헤렘 규정은 기존의 학자들이 해석한 대로 ”전쟁 규정“으로만 해석할 수 없다. 신명기에서 헤렘은 전쟁 규정 뿐만 아니라 제의적 규정, 사회적 규정 등의 다양한 형태로 활용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헤렘의 의미가 확장됨을 알 수 있다. 또한, 헤렘 규정의 의미가 확장되고 변화됨에 따라 가장 최근에 본문을 편집했던 이들의 관념과 그들의 사회상을 알 수 있으며, 신명기와 해당 규정을 통하여 말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유추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를 파악하는 연구는 헤렘 규정이라는 구약의 신학적 개념에 대한 현대적인 해석과 이어질 수 있다. 한국 교회는 헤렘 규정을 받아들일 때, ”멸절하다“라는 개념의 단면적인 부분을 수용하고 이를 잘못 해석하였던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이 해석을 교회의 성도들에게 주입하였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잘못된 해석을 바로잡기 위한 목적에서 시작된 연구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전쟁에 대한 관점이 바뀌고 있는 현대 사회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2003년 이라크 전쟁부터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까지의 시간 동안, 사람들은 많은 살상의 현장을 목격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전쟁의 당위성이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있었으며, ”거룩한 전쟁“이라는 이념에 대한 이의도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한국 교회는 이에 대한 신학적인 방향성을 제안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구약성경에서 말하고 있는 전쟁에 대한 규정을 재해석하고 그 안에 내재되어 있는 다양한 의미와 생각들을 전달하여 시야를 넓혀야 한다.
본 학위 논문은 신명기에 기록된 헤렘 규정을 편집비평적인 방법에 따라 분석하고, 의도를 파악하고자 했다. 그리고 신명기에 기록된 헤렘 규정의 저작 및 편집 연대를 파악하고, 그 변천사를 정리하여 신명기의 헤렘 규정이 어떤 내용으로 변화되고 있는지를 최종적으로 제시하는 연구이다. 신명기의 헤렘 규정은 보통 ”멸절하다“라는 의미의 히브리어 단어인 חרם 동사가 중심이 되는 본문이며, 이와 비슷한 동사 표현들이 함께 사용되었다. 그리고 헤렘에 대한 대상이 주로 이방 민족이며, 그들과 관련된 모든 것들을 소멸할 것을 명령하는 특징이 있다.
신명기의 헤렘 규정은 각각 두 가지의 형태로 나뉠 수 있다. 첫째는, 헤렘이라는 표현을 직접적으로 사용한 본문으로, 신명기 2장 24절~3장 11절, 7장, 13장, 20장 10~18절이 있다. 이 본문은 חרם 동사 뿐만 아니라 헤렘 규정에서 쓰이는 표현과 공식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이다. 신명기 20장 10~18절, 13장 7장은 규정을 기록한 본문이며, 2장 24절~3장 11절은 요단 동편 전투에 대한 회상으로, 헤렘 규정을 실행한 사례가 나타난다. 여기서 이스라엘 군대가 가축들을 제외한 나머지를 멸절한 내용이 나타나는데, 이는 신명기 20장 15~18절에 나타나는 헤렘 규정을 적용한 것이다.
두 번째는, 헤렘 규정과 관련된 직접적인 표현은 사용하지 않았으나, 그와 유사하거나 연결되는 표현을 사용한 본문으로 신명기 9장, 12장 1~3절, 29~31절, 25장 17~19절이 있다. 이들은 חרם 동사를 사용하지 않았으나, 그와 관련된 동사 또는 유사한 의미의 동사 표현을 사용하였다. 또한, 신명기 편집자가 헤렘 규정을 통하여 제시하는 주제나 의도가 각 본문에도 유사하게 나타난다는 점에서 헤렘 규정의 한 부류로 구별할 수 있다. 여기서, 12장 1~3절과 29~31절은 이방 제의 요소들을 모두 파괴하라는 명령으로, 이방 제의 요소를 헤렘의 대상으로 여겼으며, 25장 17~19절은 아말렉 부족에 대해 기억하고 그들을 멸절하라는 명령을 다른 동사 표현으로 묘사하였다. 그리고 신명기 9장은 금송아지 사건에 대한 회상을 통하여 야웨가 멸절을 주도하며, 그 대상은 이스라엘 민족이 될 수 있음을 이야기한다. 이를 통하여 신명기 편집자는 헤렘 규정의 직접적인 표현을 사용하는 대신, 그와 유사한 표현을 통하여 헤렘 규정의 내용이나 강조점을 이야기하였다.
이같이 신명기에는 두 가지 유형의 헤렘 관련 본문들이 기록되었다. 각 본문은 규정을 기록하거나, 사례를 언급하였다. 원신명기의 저자와 신명기 편집자는 헤렘 규정을 통하여 이스라엘 민족이 야웨 중심의 공동체를 구축하도록 하였다. 즉, 이스라엘 민족이 제의적으로 그리고 사회적으로 야웨 중심의 공동체가 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삼은 것이다. 또한, 헤렘 규정의 사례를 언급하여, 독자가 되는 미래의 공동체에 교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신명기의 헤렘 규정이 기록된 본문들은 각각 다른 편집층을 가지고 있으며, 저작 및 편집 시기에 따라 그 내용이 다르게 나타난다. 즉, 원신명기의 저자와 신명기 편집자가 헤렘 규정을 통하여 자신들의 관념을 제시하였으며, 그 안에는 저작/편집 당시의 상황이 반영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는 헤렘 규정이 다양한 편집층에서 널리 활용되었으며, 각 편집층의 저작 및 편집 연대에 따라 헤렘 규정이 변화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신명기에 기록된 헤렘 규정에 나타나는 변화는 곧 신명기 본문에서 강조하는 신학적인 관점이 편집된 시기에 따라 변화되거나, 새로운 관점이 추가되었음을 의미한다. 즉, 원신명기의 저자나 신명기 편집자가 헤렘 규정을 단순히 전쟁 규정이라는 용례로 활용한 것이 아니며 다양한 용례로 활용하여 독자인 공동체에게 강조점을 제시하였다고 정리할 수 있다. 따라서, 신명기의 헤렘 규정은 기존의 학자들이 해석한 대로 ”전쟁 규정“으로만 해석할 수 없다. 신명기에서 헤렘은 전쟁 규정 뿐만 아니라 제의적 규정, 사회적 규정 등의 다양한 형태로 활용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헤렘의 의미가 확장됨을 알 수 있다. 또한, 헤렘 규정의 의미가 확장되고 변화됨에 따라 가장 최근에 본문을 편집했던 이들의 관념과 그들의 사회상을 알 수 있으며, 신명기와 해당 규정을 통하여 말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유추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를 파악하는 연구는 헤렘 규정이라는 구약의 신학적 개념에 대한 현대적인 해석과 이어질 수 있다. 한국 교회는 헤렘 규정을 받아들일 때, ”멸절하다“라는 개념의 단면적인 부분을 수용하고 이를 잘못 해석하였던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이 해석을 교회의 성도들에게 주입하였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잘못된 해석을 바로잡기 위한 목적에서 시작된 연구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전쟁에 대한 관점이 바뀌고 있는 현대 사회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2003년 이라크 전쟁부터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까지의 시간 동안, 사람들은 많은 살상의 현장을 목격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전쟁의 당위성이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있었으며, ”거룩한 전쟁“이라는 이념에 대한 이의도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한국 교회는 이에 대한 신학적인 방향성을 제안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구약성경에서 말하고 있는 전쟁에 대한 규정을 재해석하고 그 안에 내재되어 있는 다양한 의미와 생각들을 전달하여 시야를 넓혀야 한다.
This dissertation attempted to analyze the herem regulations recorded in Deuteronomy according to a Redaction-critical method and to understand their intentions. In addition, this study is to grasp the writing and editing date of the herem regulations recorded in Deuteronomy, and to organize the his...
This dissertation attempted to analyze the herem regulations recorded in Deuteronomy according to a Redaction-critical method and to understand their intentions. In addition, this study is to grasp the writing and editing date of the herem regulations recorded in Deuteronomy, and to organize the history of the herem regulations in Deuteronomy to finally present what the contents of the herem regulations in Deuteronomy are changing. The Herem rule of Deuteronomy is usually a text centered on the verb חרם, the Hebrew word meaning “to destroy,” and similar verb expressions were used together. And the subject of Herem is mainly foreign peoples, and there is a characteristic that commands all things related to them to be destroyed.
The rules of Herem in Deuteronomy can be divided into two forms. First, the text directly uses the expression herem, which includes Deuteronomy 2:24-3:11, 7;1-26, 13:1-19, and 20:10-18. This text is a case of using the verb חרם as well as expressions and formulas used in the herem rule. Deut 20:10-18, 13:7 is the text that recorded the rules, and Deut 2:24-3:11 is a recollection of the battle on the east side of the Jordan, showing an example of implementing the Herem rule. Here, the contents of the Israelite army exterminating the rest except livestock appear, and this is the application of the Herem rule in Deut 20:15-18.
Second, direct expressions related to the Herem rule were not used, but similar or connected expressions were used in Deuteronomy 9, 12:1-3, 29-31, and 25:17-19. They did not use the verb חרם, but used a verb related to it or a verb expression with a similar meaning. In addition, it can be distinguished as a type of herem in that the theme or intention suggested by the editor of Deuteronomy through the herem regulation appears similarly in each text. Here, Deut 12:1-3 and 12:29-31 are commands to destroy all elements of heathenism, and the elements of heathenism are regarded as objects of Herem, and Deut 25:17-19 remembers the Amalekites and The command to exterminate them is described by another verb expression. And in Deuteronomy 9, through the recollection of the golden calf incident, Yahweh leads the extermination, and the target can be the Israelites. Through this, the Deuteronomy editor talked about the content or emphasis of the Herem rule through similar expressions instead of using the direct expression of the Herem text.
In this way, two types of Herem-related texts were recorded in Deuteronomy. Each text records a rule or mentions an example. The author of Proto-Deuteronomy and the editor of Deuteronomy made the Israelites build a Yahweh-centered community through the Herem Regulation. In other words, the main purpose was for the Israelites to become a Yahweh-centered community both ritually and socially. In addition, by mentioning the case of the herem, I tried to present a lesson to the future community that becomes a reader. The texts in which the Herem of Deuteronomy is recorded have different editing layers, and the contents appear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writing and editing period.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the author of the Proto-Deuteronomy and the editor of Deuteronomy presented their ideas through the herem rule, and the situation at the time of writing/editing was reflected in it. This means that the Herem Regulations were widely used in various editorial layers, and that the Herem texts could change according to the writing and editing years of each editing layer.
Changes in the rules of Herem recorded in Deuteronomy mean that the theological perspectives emphasized in the text of Deuteronomy have changed or new perspectives have been added according to the time when the text of Deuteronomy was edited. In other words, it can be summarized that the authors of the Proto-Deuteronomy or the editors of Deuteronomy did not simply use the herem rule as a war rule, but used it in various usages to present an emphasis to the readership community. Therefore, the Herem regulations of Deuteronomy cannot be interpreted only as “war regulations” as existing scholars have interpreted them. In Deuteronomy, Herem can be used in various forms such as ritual regulations and social regulations as well as war regulations, and it can be seen that the meaning of Herem is expanded accordingly. In addition, as the meaning of Herem regulations expands and changes, we can know the concept of those who edited the text most recently and their social status, and we can infer what they want to say through Deuteronomy and the corresponding regulations.
A study that identifies these changes can lead to a modern interpretation of the Old Testament theological concept of the herem rule. When the Korean church accepted the herem rule, there were many cases where it accepted a cross-sectional part of the concept of “exterminate” and misinterpreted it. And this interpretation was injected into the saints of the church. This study was started with the purpose of correcting the misinterpretation of this.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applicable to modern society where the perspective on war is changing. During the time from the Iraq War in 2003 to the recent Russo-Ukrainian War, people could witness many killings. As a result, there has been a discussion on whether the war is justified, and objections to the ideology of “holy war” are constantly being raised. I thought that the Korean church should suggest a theological direction for this. And we need to broaden our horizons by reinterpreting the rules of war in the Old Testament and conveying the various meanings and thoughts inherent in them.
This dissertation attempted to analyze the herem regulations recorded in Deuteronomy according to a Redaction-critical method and to understand their intentions. In addition, this study is to grasp the writing and editing date of the herem regulations recorded in Deuteronomy, and to organize the history of the herem regulations in Deuteronomy to finally present what the contents of the herem regulations in Deuteronomy are changing. The Herem rule of Deuteronomy is usually a text centered on the verb חרם, the Hebrew word meaning “to destroy,” and similar verb expressions were used together. And the subject of Herem is mainly foreign peoples, and there is a characteristic that commands all things related to them to be destroyed.
The rules of Herem in Deuteronomy can be divided into two forms. First, the text directly uses the expression herem, which includes Deuteronomy 2:24-3:11, 7;1-26, 13:1-19, and 20:10-18. This text is a case of using the verb חרם as well as expressions and formulas used in the herem rule. Deut 20:10-18, 13:7 is the text that recorded the rules, and Deut 2:24-3:11 is a recollection of the battle on the east side of the Jordan, showing an example of implementing the Herem rule. Here, the contents of the Israelite army exterminating the rest except livestock appear, and this is the application of the Herem rule in Deut 20:15-18.
Second, direct expressions related to the Herem rule were not used, but similar or connected expressions were used in Deuteronomy 9, 12:1-3, 29-31, and 25:17-19. They did not use the verb חרם, but used a verb related to it or a verb expression with a similar meaning. In addition, it can be distinguished as a type of herem in that the theme or intention suggested by the editor of Deuteronomy through the herem regulation appears similarly in each text. Here, Deut 12:1-3 and 12:29-31 are commands to destroy all elements of heathenism, and the elements of heathenism are regarded as objects of Herem, and Deut 25:17-19 remembers the Amalekites and The command to exterminate them is described by another verb expression. And in Deuteronomy 9, through the recollection of the golden calf incident, Yahweh leads the extermination, and the target can be the Israelites. Through this, the Deuteronomy editor talked about the content or emphasis of the Herem rule through similar expressions instead of using the direct expression of the Herem text.
In this way, two types of Herem-related texts were recorded in Deuteronomy. Each text records a rule or mentions an example. The author of Proto-Deuteronomy and the editor of Deuteronomy made the Israelites build a Yahweh-centered community through the Herem Regulation. In other words, the main purpose was for the Israelites to become a Yahweh-centered community both ritually and socially. In addition, by mentioning the case of the herem, I tried to present a lesson to the future community that becomes a reader. The texts in which the Herem of Deuteronomy is recorded have different editing layers, and the contents appear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writing and editing period.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the author of the Proto-Deuteronomy and the editor of Deuteronomy presented their ideas through the herem rule, and the situation at the time of writing/editing was reflected in it. This means that the Herem Regulations were widely used in various editorial layers, and that the Herem texts could change according to the writing and editing years of each editing layer.
Changes in the rules of Herem recorded in Deuteronomy mean that the theological perspectives emphasized in the text of Deuteronomy have changed or new perspectives have been added according to the time when the text of Deuteronomy was edited. In other words, it can be summarized that the authors of the Proto-Deuteronomy or the editors of Deuteronomy did not simply use the herem rule as a war rule, but used it in various usages to present an emphasis to the readership community. Therefore, the Herem regulations of Deuteronomy cannot be interpreted only as “war regulations” as existing scholars have interpreted them. In Deuteronomy, Herem can be used in various forms such as ritual regulations and social regulations as well as war regulations, and it can be seen that the meaning of Herem is expanded accordingly. In addition, as the meaning of Herem regulations expands and changes, we can know the concept of those who edited the text most recently and their social status, and we can infer what they want to say through Deuteronomy and the corresponding regulations.
A study that identifies these changes can lead to a modern interpretation of the Old Testament theological concept of the herem rule. When the Korean church accepted the herem rule, there were many cases where it accepted a cross-sectional part of the concept of “exterminate” and misinterpreted it. And this interpretation was injected into the saints of the church. This study was started with the purpose of correcting the misinterpretation of this.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applicable to modern society where the perspective on war is changing. During the time from the Iraq War in 2003 to the recent Russo-Ukrainian War, people could witness many killings. As a result, there has been a discussion on whether the war is justified, and objections to the ideology of “holy war” are constantly being raised. I thought that the Korean church should suggest a theological direction for this. And we need to broaden our horizons by reinterpreting the rules of war in the Old Testament and conveying the various meanings and thoughts inherent in them.
Keyword
#헤렘 규정 신명기 원신명기 저자 신명기 편집자 멸절 소멸 “거룩한 전쟁” 제의중앙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