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교육행정직 공무원 전보제도와 역량 형성의 관계 분석 : 충청북도교육청 소속 지방공무원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legram system for civil servants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capacity building원문보기
포스트 코로나 시대 도래, 온라인 학교 신설, 비대면 수업과 등교수업이 공존하는 등 급변하는 시대에 교육행정 수요를 맞추기 위한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전문성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전보제도와 역량 형성의 관계를 분석하여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역량 및 전문성 제고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전보제도는 어떻게 운영되는가? 보편적 역량, 특수적 역량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기간은 어느 정도인가? 동일 직무 수행기간이 특수적 역량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전문성 향상에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연구방법은 지방공무원의 전보제도와 역량 및 전문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충청북도교육청 소속 교육행정직 5급 이하 공무원 1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여 자료의 처리는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
포스트 코로나 시대 도래, 온라인 학교 신설, 비대면 수업과 등교수업이 공존하는 등 급변하는 시대에 교육행정 수요를 맞추기 위한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전문성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전보제도와 역량 형성의 관계를 분석하여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역량 및 전문성 제고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전보제도는 어떻게 운영되는가? 보편적 역량, 특수적 역량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기간은 어느 정도인가? 동일 직무 수행기간이 특수적 역량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전문성 향상에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연구방법은 지방공무원의 전보제도와 역량 및 전문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충청북도교육청 소속 교육행정직 5급 이하 공무원 1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여 자료의 처리는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SPSS 28.0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현재 맡은 업무는 학교행정, 회계(예산, 지출), 법무/기획, 인사, 학생배치, 감사, 교육공무직원 단체업무 순으로 많았고, 근무기관은 초등학교, 교육지원청, 도교육청, 고등학교, 중학교 순으로 많았다. 업무의 지속기간은 현재 평균은 1.11년, 직전 근무 기간 평균은 1.80년, 전전 근무 기간 평균은 1.82년이었다. 인사발령 사유는 직전 근무기관에서는 순환전보, 근무기간 만료, 승진, 기타 순으로, 직무를 수행하는데 충분한 정도에 대하여 직전 평균이 3.51점, 전전 평균이 3.76점으로 ‘보통(3점)’과 ‘충분(4점)’ 사이로 나타났다. 보편적 역량에 필요한 기간은 초급 역량은 평균이 1.18년이었고, 중급 역량은 평균 2.21년, 고급 역량은 평균 3.51년이 소요되었다. 역량별로는 문제해결, 기획력, 데이터분석, 의사소통, 문서작성 순으로 필요한 기간이 길었다. 직무에 필요한 특수적 역량을 익히는데 필요한 기간은 평균 2.58년이었고, 업무 분야는 감사, 교육공무직원 단체, 학생배치, 법무/기획, 인사, 학교행정, 회계(예산, 지출) 순으로 필요한 기간이 길었다. 동일 직무 수행 기간은 학교와 기관 근무에서 특수적 역량 형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동일 직무 수행기간이 길수록 특수적 역량 형성기간은 충분할 것이다.라는 것을 실증하였다. 전체를 대상으로 성별, 직급, 총 재직기간, 동일 업무 여부, 근무기관을 통제한 상황에서 동일 직무 수행 기간이 특수적 역량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5급보다 6급이 특수적 역량 형성이 더 충분했다. 전문성에 대한 인식 수준은 직급이 높을수록 인식 수준이 높았고,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성별, 직급, 총 재직기간, 동일 업무 여부, 근무기관, 순환보직 기간을 통제한 상황에서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전문성 향상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전문성에 대한 개인적 요인, 조직적 요인, 제도적 요인이 전문성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전문성에 대한 개인적 요인은 전문성 수준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직급 7급, 학교 근무자는 전문성 수준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급이 7급 보다 5급이 전문성이 더 높았고, 근무기관은 학교보다 기관이 전문성 수준이 더 높았으며,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전문성에 대한 개인적 요인이 높을수록 전문성 수준은 높아질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역량 및 전문성 제고를 위한 방안으로 첫째, 필수보직 기간을 학교는 1년 6개월, 교육행정기관은 2년으로 구분하여 운용하고, 신규발령으로부터 10년 이내에 학교와 교육기관을 의무적으로 모두 근무하도록 한다. 둘째, 전보내신서를 제출할 때 맡고 싶은 업무 분야를 신청할 수 있도록 희망부서 수요조사에 의한 인사 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전문관 우대조치에 대하여 전문직위 수당을 최소 월100,000원으로 인상하고, 성과상여금 및 교육훈련, 표창 대상자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등 조직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넷째,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전문성 강화 방안으로 업무매뉴얼 작성․보급과 공무원의 학습과 성장을 지원하는 교육훈련 프로그램 교육과정 재구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교육행정의 수요는 다양하게 늘고 전문성을 쌓기에 여건과 시간이 부족한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전보제도와 역량 형성의 관계를 분석하여 역량 및 전문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도래, 온라인 학교 신설, 비대면 수업과 등교수업이 공존하는 등 급변하는 시대에 교육행정 수요를 맞추기 위한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전문성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전보제도와 역량 형성의 관계를 분석하여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역량 및 전문성 제고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전보제도는 어떻게 운영되는가? 보편적 역량, 특수적 역량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기간은 어느 정도인가? 동일 직무 수행기간이 특수적 역량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전문성 향상에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연구방법은 지방공무원의 전보제도와 역량 및 전문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충청북도교육청 소속 교육행정직 5급 이하 공무원 1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여 자료의 처리는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SPSS 28.0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현재 맡은 업무는 학교행정, 회계(예산, 지출), 법무/기획, 인사, 학생배치, 감사, 교육공무직원 단체업무 순으로 많았고, 근무기관은 초등학교, 교육지원청, 도교육청, 고등학교, 중학교 순으로 많았다. 업무의 지속기간은 현재 평균은 1.11년, 직전 근무 기간 평균은 1.80년, 전전 근무 기간 평균은 1.82년이었다. 인사발령 사유는 직전 근무기관에서는 순환전보, 근무기간 만료, 승진, 기타 순으로, 직무를 수행하는데 충분한 정도에 대하여 직전 평균이 3.51점, 전전 평균이 3.76점으로 ‘보통(3점)’과 ‘충분(4점)’ 사이로 나타났다. 보편적 역량에 필요한 기간은 초급 역량은 평균이 1.18년이었고, 중급 역량은 평균 2.21년, 고급 역량은 평균 3.51년이 소요되었다. 역량별로는 문제해결, 기획력, 데이터분석, 의사소통, 문서작성 순으로 필요한 기간이 길었다. 직무에 필요한 특수적 역량을 익히는데 필요한 기간은 평균 2.58년이었고, 업무 분야는 감사, 교육공무직원 단체, 학생배치, 법무/기획, 인사, 학교행정, 회계(예산, 지출) 순으로 필요한 기간이 길었다. 동일 직무 수행 기간은 학교와 기관 근무에서 특수적 역량 형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동일 직무 수행기간이 길수록 특수적 역량 형성기간은 충분할 것이다.라는 것을 실증하였다. 전체를 대상으로 성별, 직급, 총 재직기간, 동일 업무 여부, 근무기관을 통제한 상황에서 동일 직무 수행 기간이 특수적 역량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5급보다 6급이 특수적 역량 형성이 더 충분했다. 전문성에 대한 인식 수준은 직급이 높을수록 인식 수준이 높았고,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성별, 직급, 총 재직기간, 동일 업무 여부, 근무기관, 순환보직 기간을 통제한 상황에서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전문성 향상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전문성에 대한 개인적 요인, 조직적 요인, 제도적 요인이 전문성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전문성에 대한 개인적 요인은 전문성 수준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직급 7급, 학교 근무자는 전문성 수준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급이 7급 보다 5급이 전문성이 더 높았고, 근무기관은 학교보다 기관이 전문성 수준이 더 높았으며,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전문성에 대한 개인적 요인이 높을수록 전문성 수준은 높아질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역량 및 전문성 제고를 위한 방안으로 첫째, 필수보직 기간을 학교는 1년 6개월, 교육행정기관은 2년으로 구분하여 운용하고, 신규발령으로부터 10년 이내에 학교와 교육기관을 의무적으로 모두 근무하도록 한다. 둘째, 전보내신서를 제출할 때 맡고 싶은 업무 분야를 신청할 수 있도록 희망부서 수요조사에 의한 인사 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전문관 우대조치에 대하여 전문직위 수당을 최소 월100,000원으로 인상하고, 성과상여금 및 교육훈련, 표창 대상자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등 조직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넷째,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전문성 강화 방안으로 업무매뉴얼 작성․보급과 공무원의 학습과 성장을 지원하는 교육훈련 프로그램 교육과정 재구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교육행정의 수요는 다양하게 늘고 전문성을 쌓기에 여건과 시간이 부족한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전보제도와 역량 형성의 관계를 분석하여 역량 및 전문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