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지역사회 거주 정신장애인의 스트레스가 회복에 미치는 영향 : 자기결정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Stress on Recovery of Mentally Disabled People Living in Local Communitie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etermination and social support원문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스트레스 과정모델에 입각하여 지역사회 거주 정신장애인 회복과정에서 지각한 스트레스가 회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자기결정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 거주 정신장애인이 경험하는 스트레스가 회복과정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충해주는 대처요인과 그 영향력을 확인하여, 궁극적으로는 회복수준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개입방안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대구지역 정신재활시설 13개소 184명,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5개소 58명, 총 242명의 성인 정신장애인이 연구대상자로 참여하였으며, ...
본 연구의 목적은 스트레스 과정모델에 입각하여 지역사회 거주 정신장애인 회복과정에서 지각한 스트레스가 회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자기결정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 거주 정신장애인이 경험하는 스트레스가 회복과정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충해주는 대처요인과 그 영향력을 확인하여, 궁극적으로는 회복수준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개입방안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대구지역 정신재활시설 13개소 184명,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5개소 58명, 총 242명의 성인 정신장애인이 연구대상자로 참여하였으며, 독립변수는 스트레스 지각, 종속변수는 회복, 매개변수는 자기결정, 사회적 지지, 통제변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역사회 거주 정신장애인이 경험하는 스트레스는 회복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적 자원인 자기결정과 외적 자원인 사회적 지지는 지역사회 거주 정신장애인이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완충하고, 결과적으로 회복수준 향상에 기여하는 대처자원으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실천적 함의로는 자기 결정권을 보장하고 확대하는 방안과 사회적 지지망을 활성화하고 강화하는 방안 및 정상화 이념에 따른 지역사회 환경 조성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정책적 함의로는 국가 정신건강정책 이념으로 ‘회복 지향성’을 공식 채택 및 발표하고, ‘정신장애인 회복관점’의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 및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인프라 확충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스트레스 과정모델에 입각하여 지역사회 거주 정신장애인 회복과정에서 지각한 스트레스가 회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자기결정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 거주 정신장애인이 경험하는 스트레스가 회복과정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충해주는 대처요인과 그 영향력을 확인하여, 궁극적으로는 회복수준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개입방안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대구지역 정신재활시설 13개소 184명,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5개소 58명, 총 242명의 성인 정신장애인이 연구대상자로 참여하였으며, 독립변수는 스트레스 지각, 종속변수는 회복, 매개변수는 자기결정, 사회적 지지, 통제변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역사회 거주 정신장애인이 경험하는 스트레스는 회복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적 자원인 자기결정과 외적 자원인 사회적 지지는 지역사회 거주 정신장애인이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완충하고, 결과적으로 회복수준 향상에 기여하는 대처자원으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실천적 함의로는 자기 결정권을 보장하고 확대하는 방안과 사회적 지지망을 활성화하고 강화하는 방안 및 정상화 이념에 따른 지역사회 환경 조성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정책적 함의로는 국가 정신건강정책 이념으로 ‘회복 지향성’을 공식 채택 및 발표하고, ‘정신장애인 회복관점’의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 및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인프라 확충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determination and social support on the effect of perceived stress on recovery in the process of recovering mentally disabled people living in the community based on the stress process model. Through this, the coping factors and 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determination and social support on the effect of perceived stress on recovery in the process of recovering mentally disabled people living in the community based on the stress process model. Through this, the coping factors and their influence that buffer the negative effects of stress experienced by mentally disabled people living in the community on the recovery process were identified, and ultimately, effective intervention measures were sought to improve the recovery level. Accordingly, 184 people from 13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in Daegu, 58 people from 5 basic mental health welfare centers, and 242 adults with mental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e study. Independent variables were stress perception, dependent variables were recovery, parameters were self-determination, social support, and control variables were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tress experienced by mentally disabled people living in the community had a negative effect on recovery. Second, it was found that self-determination, an internal resource, and social support, an external resource, function as coping resources that buffer the stress experienced by mentally disabled people living in the community and consequentl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level of recovery.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to guarantee and expand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to activate and strengthen social support networks, and to create a community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ideology of normalization. In addition, as a policy, it officially adopted and announced 'restoration orientation' as a national mental health policy ideology, continuous education and promotion of 'restoration perspective for the mentally disabled', and expansion of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infrastruc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determination and social support on the effect of perceived stress on recovery in the process of recovering mentally disabled people living in the community based on the stress process model. Through this, the coping factors and their influence that buffer the negative effects of stress experienced by mentally disabled people living in the community on the recovery process were identified, and ultimately, effective intervention measures were sought to improve the recovery level. Accordingly, 184 people from 13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in Daegu, 58 people from 5 basic mental health welfare centers, and 242 adults with mental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e study. Independent variables were stress perception, dependent variables were recovery, parameters were self-determination, social support, and control variables were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tress experienced by mentally disabled people living in the community had a negative effect on recovery. Second, it was found that self-determination, an internal resource, and social support, an external resource, function as coping resources that buffer the stress experienced by mentally disabled people living in the community and consequentl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level of recovery.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to guarantee and expand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to activate and strengthen social support networks, and to create a community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ideology of normalization. In addition, as a policy, it officially adopted and announced 'restoration orientation' as a national mental health policy ideology, continuous education and promotion of 'restoration perspective for the mentally disabled', and expansion of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infrastructur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