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도예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내현적 자기애 성향을 가진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자기지각과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선행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을 가진 대학생에 초점을 맞춰 현실적인 자기지각을 향상시켜 나아가 대인관계에서의 적응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B시에 소재한 D대학교 재학생에게 내현적 자기애 척도를 사용해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총 200명의 학생 중 상위 30%에 해당하는 학생에게 프로그램 참가 희망을 받아 참가를 희망한 학생 20명 중 10명을 실험집단으로, 10명은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한 회기마다 120분씩 총 8회기의 도예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같은 기간 동안 통제집단에 대해서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기지각과 대인관계 문제 검사의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WIN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척도별로 평균과 ...
본 연구는 도예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내현적 자기애 성향을 가진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자기지각과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선행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을 가진 대학생에 초점을 맞춰 현실적인 자기지각을 향상시켜 나아가 대인관계에서의 적응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B시에 소재한 D대학교 재학생에게 내현적 자기애 척도를 사용해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총 200명의 학생 중 상위 30%에 해당하는 학생에게 프로그램 참가 희망을 받아 참가를 희망한 학생 20명 중 10명을 실험집단으로, 10명은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한 회기마다 120분씩 총 8회기의 도예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같은 기간 동안 통제집단에 대해서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기지각과 대인관계 문제 검사의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WIN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척도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각 집단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두 집단간의 사후검사 점수에 대해 다변량 공분산분석(MANCOVA)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통계적 분석의 양적 연구를 보완하고자 참가자의 경험보고서, 프로그램 회기별 평가서, 행동관찰을 바탕으로 집단원의 효과를 분석한 내용분석을 병행하였다. 이러한 연구절차를 통하여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예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자기지각이 높아졌다. 둘째, 도예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대인관계 문제가 낮아졌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도예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내현적 자기애 성향을 가진 대학생의 자기지각을 높이고 대인관계 문제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그들의 부정적인 감정 해소, 능동적인 자기표현을 통해 관계에서의 불편감을 감소시키고, 보다 건강하고 적극적으로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
본 연구는 도예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내현적 자기애 성향을 가진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자기지각과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선행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을 가진 대학생에 초점을 맞춰 현실적인 자기지각을 향상시켜 나아가 대인관계에서의 적응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B시에 소재한 D대학교 재학생에게 내현적 자기애 척도를 사용해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총 200명의 학생 중 상위 30%에 해당하는 학생에게 프로그램 참가 희망을 받아 참가를 희망한 학생 20명 중 10명을 실험집단으로, 10명은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한 회기마다 120분씩 총 8회기의 도예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같은 기간 동안 통제집단에 대해서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기지각과 대인관계 문제 검사의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WIN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척도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각 집단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두 집단간의 사후검사 점수에 대해 다변량 공분산분석(MANCOVA)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통계적 분석의 양적 연구를 보완하고자 참가자의 경험보고서, 프로그램 회기별 평가서, 행동관찰을 바탕으로 집단원의 효과를 분석한 내용분석을 병행하였다. 이러한 연구절차를 통하여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예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자기지각이 높아졌다. 둘째, 도예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대인관계 문제가 낮아졌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도예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내현적 자기애 성향을 가진 대학생의 자기지각을 높이고 대인관계 문제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그들의 부정적인 감정 해소, 능동적인 자기표현을 통해 관계에서의 불편감을 감소시키고, 보다 건강하고 적극적으로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
The study Research has shown that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using ceramic on self-aware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 of undergraduates with a covert narcissism tendency.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are D university in Busan, particularly top 30% who were pre-tested in a measure of inn...
The study Research has shown that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using ceramic on self-aware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 of undergraduates with a covert narcissism tendency.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are D university in Busan, particularly top 30% who were pre-tested in a measure of inner narcissism. 10 out of 20 students were divid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10 students were divided as a control group. The program is comprised of 8 sessions. Each session takes 120 minutes and carried out twice a week. During the same period, the researchers do not have any measures for the control group. Test for the self-aware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 problems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ives of the program. Researchers used SPSS / WIN 21.0 for statistical treatment on the results, and used covariance (ANCOVA) as a statistical method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e study. At the same time, researchers used participant’s experience reports, program evaluation and behavioral observations in order to supplement quantitative study of statistical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s: Firstly,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are therapy using ceramic program are improved self-awareness more than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nt in the program. Secondly, the experimental group reduced interpersonal relation problems further than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group art therapy using ceramic program seems effective to self-aware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 of undergraduates with a covert narcissism tendency. This study verified that group art therapy using ceramic program contributes effectively to self-aware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 of undergraduates with a covert narcissism tendency by relieving negative emotion and active self-expression.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nd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efforts were suggested.
The study Research has shown that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using ceramic on self-aware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 of undergraduates with a covert narcissism tendency.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are D university in Busan, particularly top 30% who were pre-tested in a measure of inner narcissism. 10 out of 20 students were divid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10 students were divided as a control group. The program is comprised of 8 sessions. Each session takes 120 minutes and carried out twice a week. During the same period, the researchers do not have any measures for the control group. Test for the self-aware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 problems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ives of the program. Researchers used SPSS / WIN 21.0 for statistical treatment on the results, and used covariance (ANCOVA) as a statistical method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e study. At the same time, researchers used participant’s experience reports, program evaluation and behavioral observations in order to supplement quantitative study of statistical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s: Firstly,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are therapy using ceramic program are improved self-awareness more than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nt in the program. Secondly, the experimental group reduced interpersonal relation problems further than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group art therapy using ceramic program seems effective to self-aware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 of undergraduates with a covert narcissism tendency. This study verified that group art therapy using ceramic program contributes effectively to self-aware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 of undergraduates with a covert narcissism tendency by relieving negative emotion and active self-expression.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nd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efforts were suggest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