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지역의 공공성 실현을 위한 독립서점과 공공도서관의 북큐레이션 협력 사례 연구 : 2018~2019년 제주꿈바당어린이도서관 북큐레이션《동네책방이 추천합니다》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book curation cooperation between independent bookstores and public libraries for the realization of local publicness : Focusing on the 2018-2019 Jeju Kkumbadang Children's Library Book Curation 원문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독립서점과 협력하여 진행된 공공도서관의 북큐레이션 사례 연구를 통해, 도서관과 독립서점의 지역적 공공성의 실현을 논의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2018년에서 2019년에 걸쳐 제주꿈바당어린이도서관에서 진행된 <동네책방이 추천합니다>라는 제주 지역 독립서점과의 북큐레이션 협력 사례를 중심으로 한다. 정보 과잉의 시대 속에서 가치를 부여한 뒤 도서를 선별하여 전시하는 북큐레이션에 대한 담론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론적 배경에서 공공도서관, 독립서점의 개념과 공공성에 대해 살펴보고, 도서관과 독립서점이 지역사회와 책문화생태계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북큐레이션의 개념과 사례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후, 2018년부터 2019년까지 진행됐던 제주꿈바당어린이도서관의 <동네책방이 추천합니다> 북큐레이션 사례를 공공성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과 관계’의 측면에서 도서관과 독립서점의 네트워크 구축과 도서관·독립서점·이용자들의 ...
본 연구의 목적은 독립서점과 협력하여 진행된 공공도서관의 북큐레이션 사례 연구를 통해, 도서관과 독립서점의 지역적 공공성의 실현을 논의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2018년에서 2019년에 걸쳐 제주꿈바당어린이도서관에서 진행된 <동네책방이 추천합니다>라는 제주 지역 독립서점과의 북큐레이션 협력 사례를 중심으로 한다. 정보 과잉의 시대 속에서 가치를 부여한 뒤 도서를 선별하여 전시하는 북큐레이션에 대한 담론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론적 배경에서 공공도서관, 독립서점의 개념과 공공성에 대해 살펴보고, 도서관과 독립서점이 지역사회와 책문화생태계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북큐레이션의 개념과 사례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후, 2018년부터 2019년까지 진행됐던 제주꿈바당어린이도서관의 <동네책방이 추천합니다> 북큐레이션 사례를 공공성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과 관계’의 측면에서 도서관과 독립서점의 네트워크 구축과 도서관·독립서점·이용자들의 관계성에 대해 논의하였고, 독립서점이 다양한 모임을 주최하며 지역사회의 커뮤니티 공간으로 기능한다는 점에서 공공성을 실현함을 보였다. 둘째, ‘공감과 소통’ 측면에서는 북큐레이션은 단순한 도서 전시가 아닌, 주제에 대해 토론하고 참여하며, 더 많은 담론으로 나갈 수 있는 공론장이라고 보았다. 독립서점의 북큐레이션을 도서관 내에 도입하는 것의 장점은 다양성을 획득할 수 있으며, 공감과 소통의 창구로서 공공성을 나타낼 수 있다는 점이다. 셋째, ‘연대와 책임’ 측면에서 서점의 대표들이 독립서점을 시작하는 이유와 독립서점을 이용하는 고객의 선택을 살펴보았다. 출판사와 서점, 도서관, 독자가 공존하는 책문화생태계가 지속되려면, 사회구성원들의 연대가 필요하다. 또한 공공영역에서는 서점의 도서관 납품 건에 대해 정가로 구매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이는 독립서점의 존속을 돕고, 경제적 논리에 함몰되지 않는 공공성을 실현하는 기반이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제주꿈바당어린이도서관 <동네책방이 추천합니다> 협력 북큐레이션에 주목하여 도서관과 독립서점이 지역사회에서의 연계하는 것의 의미를 공공성의 관점을 통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사례로 제한되었다는 한계가 있으나, 공공도서관과 독립서점의 교류가 많아지고 있는 가운데, 앞으로 북큐레이션 연구의 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독립서점과 협력하여 진행된 공공도서관의 북큐레이션 사례 연구를 통해, 도서관과 독립서점의 지역적 공공성의 실현을 논의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2018년에서 2019년에 걸쳐 제주꿈바당어린이도서관에서 진행된 <동네책방이 추천합니다>라는 제주 지역 독립서점과의 북큐레이션 협력 사례를 중심으로 한다. 정보 과잉의 시대 속에서 가치를 부여한 뒤 도서를 선별하여 전시하는 북큐레이션에 대한 담론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론적 배경에서 공공도서관, 독립서점의 개념과 공공성에 대해 살펴보고, 도서관과 독립서점이 지역사회와 책문화생태계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북큐레이션의 개념과 사례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후, 2018년부터 2019년까지 진행됐던 제주꿈바당어린이도서관의 <동네책방이 추천합니다> 북큐레이션 사례를 공공성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과 관계’의 측면에서 도서관과 독립서점의 네트워크 구축과 도서관·독립서점·이용자들의 관계성에 대해 논의하였고, 독립서점이 다양한 모임을 주최하며 지역사회의 커뮤니티 공간으로 기능한다는 점에서 공공성을 실현함을 보였다. 둘째, ‘공감과 소통’ 측면에서는 북큐레이션은 단순한 도서 전시가 아닌, 주제에 대해 토론하고 참여하며, 더 많은 담론으로 나갈 수 있는 공론장이라고 보았다. 독립서점의 북큐레이션을 도서관 내에 도입하는 것의 장점은 다양성을 획득할 수 있으며, 공감과 소통의 창구로서 공공성을 나타낼 수 있다는 점이다. 셋째, ‘연대와 책임’ 측면에서 서점의 대표들이 독립서점을 시작하는 이유와 독립서점을 이용하는 고객의 선택을 살펴보았다. 출판사와 서점, 도서관, 독자가 공존하는 책문화생태계가 지속되려면, 사회구성원들의 연대가 필요하다. 또한 공공영역에서는 서점의 도서관 납품 건에 대해 정가로 구매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이는 독립서점의 존속을 돕고, 경제적 논리에 함몰되지 않는 공공성을 실현하는 기반이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제주꿈바당어린이도서관 <동네책방이 추천합니다> 협력 북큐레이션에 주목하여 도서관과 독립서점이 지역사회에서의 연계하는 것의 의미를 공공성의 관점을 통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사례로 제한되었다는 한계가 있으나, 공공도서관과 독립서점의 교류가 많아지고 있는 가운데, 앞으로 북큐레이션 연구의 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realization of regional publicness between libraries and independent bookstores through a case study of book curation in public libraries conducted in cooperation with independent bookstores. Specifically, it focuses on the case of cooperation with Jeju l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realization of regional publicness between libraries and independent bookstores through a case study of book curation in public libraries conducted in cooperation with independent bookstores. Specifically, it focuses on the case of cooperation with Jeju local independent bookstores called , which was held at Jeju Kkumbadang Children's Library from 2018 to 2019. In the age of information overload, there is an active discourse on book curation, which selects and displays books after giving them a value. In this thesis, the concept and publicness of public libraries and independent bookstores were examined from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meaning of libraries and independent bookstores in the local community and book culture ecosystem was investigated. And the concept and cases of book curation were reviewed. After that,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four independent bookstores that participated in the book curation case of Jeju Kkumbadang Children's Library from 2018 to 2019. And the interview conten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publicness theory. First, in terms of ‘region and relationship’, the establishment of a network between libraries and independent bookstor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ibraries, independent bookstores, and users were discussed. And the independent bookstore hosts various gatherings and shows that it realizes publicness in that it functions as a community space for the local community. Second, in terms of ‘sympathy and communication’, book curation is not just a book exhibition, but a public forum where people can discuss and participate in topics and engage in more discourse. The advantage of introducing the book curation of an independent bookstore into the library is that it can acquire diversity and can show publicness as a window of empathy and communication. Third, in terms of 'solidarity and responsibility', I examined the reasons why bookstore representatives start independent bookstores and the choice of customers who use independent bookstores. For a book culture ecosystem where publishers, bookstores, libraries, and readers coexist, solidarity among members of society is necessary. In addition, as policy support in the public domain, it is necessary to purchase at the full price for the case of library supply by bookstores. This will help the existence of independent bookstores and serve as a basis for realizing publicness that is not dominated in economic logic. In this thesis, we focused on the cooperative book curation of Jeju Kkumbadang Children's Library and discussed it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ness. Although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is limited to cases in the Jeju area,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come a material for book curation research in the future as exchanges between public libraries and independent bookstores are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realization of regional publicness between libraries and independent bookstores through a case study of book curation in public libraries conducted in cooperation with independent bookstores. Specifically, it focuses on the case of cooperation with Jeju local independent bookstores called , which was held at Jeju Kkumbadang Children's Library from 2018 to 2019. In the age of information overload, there is an active discourse on book curation, which selects and displays books after giving them a value. In this thesis, the concept and publicness of public libraries and independent bookstores were examined from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meaning of libraries and independent bookstores in the local community and book culture ecosystem was investigated. And the concept and cases of book curation were reviewed. After that,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four independent bookstores that participated in the book curation case of Jeju Kkumbadang Children's Library from 2018 to 2019. And the interview conten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publicness theory. First, in terms of ‘region and relationship’, the establishment of a network between libraries and independent bookstor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ibraries, independent bookstores, and users were discussed. And the independent bookstore hosts various gatherings and shows that it realizes publicness in that it functions as a community space for the local community. Second, in terms of ‘sympathy and communication’, book curation is not just a book exhibition, but a public forum where people can discuss and participate in topics and engage in more discourse. The advantage of introducing the book curation of an independent bookstore into the library is that it can acquire diversity and can show publicness as a window of empathy and communication. Third, in terms of 'solidarity and responsibility', I examined the reasons why bookstore representatives start independent bookstores and the choice of customers who use independent bookstores. For a book culture ecosystem where publishers, bookstores, libraries, and readers coexist, solidarity among members of society is necessary. In addition, as policy support in the public domain, it is necessary to purchase at the full price for the case of library supply by bookstores. This will help the existence of independent bookstores and serve as a basis for realizing publicness that is not dominated in economic logic. In this thesis, we focused on the cooperative book curation of Jeju Kkumbadang Children's Library and discussed it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ness. Although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is limited to cases in the Jeju area,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come a material for book curation research in the future as exchanges between public libraries and independent bookstores are increasing.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