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주제범위 문헌고찰(Scoping Review) 방법론을 통해 산림치유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연구 동향과 대상자 현황, 문헌의 연구 특성과 대상자 유형별 프로그램 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또한,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통해 도출된 연구 대상자와 현행 산림치유 프로그램 대상자를 비교하여 주요 대상자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대상별 산림치유 프로그램 후속 연구를 제언하고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2022년 4월 1일부터 5일까지 진행하였다. 국내 문헌 ...
본 연구는 주제범위 문헌고찰(Scoping Review) 방법론을 통해 산림치유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연구 동향과 대상자 현황, 문헌의 연구 특성과 대상자 유형별 프로그램 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또한,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통해 도출된 연구 대상자와 현행 산림치유 프로그램 대상자를 비교하여 주요 대상자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대상별 산림치유 프로그램 후속 연구를 제언하고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2022년 4월 1일부터 5일까지 진행하였다. 국내 문헌 데이터베이스는RISS, KISS, Science ON, DBpia, 국회전자도서관을 활용하였으며, 국외 문헌 데이터베이스는 SCOPUS, PubMed, MEDLINE, EMBASE를 활용하였다. 출판 연도는 2022년 3월 31일까지 출판된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국내 문헌 115편, 국외 문헌 21편으로 총 136편의 문헌을 최종 선정하였다. 추가적으로, 선정된 문헌에서 도출된 대상자와 현행 산림치유 프로그램 대상자를 비교하기 위해 국립산림치유원 및 국립 치유의 숲(곡성, 김천, 대관령, 대운산, 산음, 양평, 예산, 장성, 제천, 청태산)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연구 동향은 1996년 국내 첫 연구를 시작으로 2006년부터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2011년부터 본격적으로 연구가 수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는 직장인·근로자, 지역아동센터, 질환자의 가족 등 스트레스 상황에 노출된 보건상담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정신건강 질환자와 신체적 질환자 순으로 나타났다. 현행 산림치유 프로그램 대상자와 비교하였을 때 산림치유 관련 기관별로 차이가 있었지만, 일부 정신건강 질환자를 제외한 대부분의 대상자가 진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 도구의 경우 생리적 측정 도구는 주로 심박변이도(HRV)와 코티졸이 활용되고 있었으며, 심리적 측정 도구는 우울·불안, 자아존중감, 기분상태, 스트레스 등 관련 측정 도구를 폭넓게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면 공통적으로 우울과 스트레스 지표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으며, 그 외 지표에서는 대상자 유형별로 차이가 있었다. 보건상담자의 경우 청소년에 대한 자아존중감 개선이었으며, 정신건강 질환자는 알코올 의존자와 화병 환자의 불안 감소, 그리고 장애 아동의 사회성 증가였다. 신체적 질환자의 경우 갱년기·폐경 후 여성과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증상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치유 프로그램 특성의 경우 진행 장소는 주로 일반적인 숲과 산림복지시설이었으며, 계절의 경우 여름을 중심으로 봄과 가을이었다. 프로그램 유형은 주로 숙박형과 당일 회기형이었다. 당일형 프로그램의 진행 시간은 120분, 60분, 180분 순이었으며, 숙박형 프로그램의 일정은 주로 2박 3일과 1박 2일이었다. 회기형 프로그램은 주로 주 1회 주기, 6∼10회기로 구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상자 유형별로 각 프로그램 특성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산림치유 프로그램 연구 현황과 범위를 확인하였으며, 대상자 유형별로 프로그램 특성에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가 향후 보건·의료 분야와의 연계를 위한 산림치유 프로그램 연구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주제범위 문헌고찰(Scoping Review) 방법론을 통해 산림치유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연구 동향과 대상자 현황, 문헌의 연구 특성과 대상자 유형별 프로그램 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또한,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통해 도출된 연구 대상자와 현행 산림치유 프로그램 대상자를 비교하여 주요 대상자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대상별 산림치유 프로그램 후속 연구를 제언하고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2022년 4월 1일부터 5일까지 진행하였다. 국내 문헌 데이터베이스는 RISS, KISS, Science ON, DBpia, 국회전자도서관을 활용하였으며, 국외 문헌 데이터베이스는 SCOPUS, PubMed, MEDLINE, EMBASE를 활용하였다. 출판 연도는 2022년 3월 31일까지 출판된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국내 문헌 115편, 국외 문헌 21편으로 총 136편의 문헌을 최종 선정하였다. 추가적으로, 선정된 문헌에서 도출된 대상자와 현행 산림치유 프로그램 대상자를 비교하기 위해 국립산림치유원 및 국립 치유의 숲(곡성, 김천, 대관령, 대운산, 산음, 양평, 예산, 장성, 제천, 청태산)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연구 동향은 1996년 국내 첫 연구를 시작으로 2006년부터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2011년부터 본격적으로 연구가 수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는 직장인·근로자, 지역아동센터, 질환자의 가족 등 스트레스 상황에 노출된 보건상담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정신건강 질환자와 신체적 질환자 순으로 나타났다. 현행 산림치유 프로그램 대상자와 비교하였을 때 산림치유 관련 기관별로 차이가 있었지만, 일부 정신건강 질환자를 제외한 대부분의 대상자가 진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 도구의 경우 생리적 측정 도구는 주로 심박변이도(HRV)와 코티졸이 활용되고 있었으며, 심리적 측정 도구는 우울·불안, 자아존중감, 기분상태, 스트레스 등 관련 측정 도구를 폭넓게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면 공통적으로 우울과 스트레스 지표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으며, 그 외 지표에서는 대상자 유형별로 차이가 있었다. 보건상담자의 경우 청소년에 대한 자아존중감 개선이었으며, 정신건강 질환자는 알코올 의존자와 화병 환자의 불안 감소, 그리고 장애 아동의 사회성 증가였다. 신체적 질환자의 경우 갱년기·폐경 후 여성과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증상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치유 프로그램 특성의 경우 진행 장소는 주로 일반적인 숲과 산림복지시설이었으며, 계절의 경우 여름을 중심으로 봄과 가을이었다. 프로그램 유형은 주로 숙박형과 당일 회기형이었다. 당일형 프로그램의 진행 시간은 120분, 60분, 180분 순이었으며, 숙박형 프로그램의 일정은 주로 2박 3일과 1박 2일이었다. 회기형 프로그램은 주로 주 1회 주기, 6∼10회기로 구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상자 유형별로 각 프로그램 특성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산림치유 프로그램 연구 현황과 범위를 확인하였으며, 대상자 유형별로 프로그램 특성에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가 향후 보건·의료 분야와의 연계를 위한 산림치유 프로그램 연구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systematically collected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forest therapy programs through the scoping review methodology and reviewed research trends, subject status, research characteristics of paper, and program characteristics by subject type. In addition, the main subjects were identi...
This study systematically collected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forest therapy programs through the scoping review methodology and reviewed research trends, subject status, research characteristics of paper, and program characteristics by subject type. In addition, the main subjects were identified by comparing the derived research subjects through the scoping review with the current forest therapy program subjects. Through this, the purpose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recommendation of follow-up studies by subjects and the development of forest therapy program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April 1 to 5, 2022. Domestic research databases used RISS, KISS, Science ON, DBpia, and National Assembly Electronic Library, and foreign research databases used SCOPUS, PubMed, MEDLINE, and EMBASE. The publication year was for papers published until March 31, 2022. As a result, a total of 136 studies were finally selected with 115 domestic studies and 21 foreign studies. In addition, to compare the subjects derived from the selected paper and the subjects of the current forest therapy program,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National Center for Forest Therapy and the National Healing Forest(Gokseong, Gimcheon, Daegwallyeong, Daeunsan, Saneum, Yangpyeong, Yesan, Jangseong, Jecheon, and Cheongtaesan).
Looking at the research results, the research trend has steadily increased since 2006, starting with the first study in Korea in 1996, and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earnest since 2011.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health clients exposed to stress situations such as office workers, Regional centers for children, and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followed by mental health patients and physical patients. Compared to the current forest healing program, there were differences by forest therapy-related institutions, but most of the subjects were found to be in progress except for some mental health patients. In the case of measurement tools, physiological measurement focus on heart rate variation and cortiso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scales widely use related measures such as depression, anxiety, self-esteem, mood, and stress. Looking at the effects of the forest healing program, there was a positive effect in the depression and stress indicators in common, and in other indicators, there were differences by subject type. In the case of health clients, it was an improvement in self-esteem for adolescents, and in the case of mental health patients, anxiety among alcohol dependents and patients with Hwabyeong was reduced, and sociality of disabled children was increased. In the case of physical patients, symptoms of women in menopause and atopic dermatitis patients were improved. In the ca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est therapy program, the place to proceed was mainly general forests and forest welfare facilities, and in the case of the season, spring and autumn were centered on summer. The program types were mainly stay type and day-session type. The progress of the day-type program was in the order of 120, 60, and 180 minutes, and the schedule of the stay type program was mainly 2 nights and 3 days and 1 night and 2 days. It was found that the session type program mainly consists of one cycle a week and six to ten session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rogram by subject type.
Through these results, the current status and scope of forest therapy program research were confirmed, and differences in program characteristics were confirmed by subject type.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expanding research on forest therapy programs for connection with the health and medical fields in the future.
This study systematically collected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forest therapy programs through the scoping review methodology and reviewed research trends, subject status, research characteristics of paper, and program characteristics by subject type. In addition, the main subjects were identified by comparing the derived research subjects through the scoping review with the current forest therapy program subjects. Through this, the purpose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recommendation of follow-up studies by subjects and the development of forest therapy program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April 1 to 5, 2022. Domestic research databases used RISS, KISS, Science ON, DBpia, and National Assembly Electronic Library, and foreign research databases used SCOPUS, PubMed, MEDLINE, and EMBASE. The publication year was for papers published until March 31, 2022. As a result, a total of 136 studies were finally selected with 115 domestic studies and 21 foreign studies. In addition, to compare the subjects derived from the selected paper and the subjects of the current forest therapy program,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National Center for Forest Therapy and the National Healing Forest(Gokseong, Gimcheon, Daegwallyeong, Daeunsan, Saneum, Yangpyeong, Yesan, Jangseong, Jecheon, and Cheongtaesan).
Looking at the research results, the research trend has steadily increased since 2006, starting with the first study in Korea in 1996, and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earnest since 2011.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health clients exposed to stress situations such as office workers, Regional centers for children, and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followed by mental health patients and physical patients. Compared to the current forest healing program, there were differences by forest therapy-related institutions, but most of the subjects were found to be in progress except for some mental health patients. In the case of measurement tools, physiological measurement focus on heart rate variation and cortiso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scales widely use related measures such as depression, anxiety, self-esteem, mood, and stress. Looking at the effects of the forest healing program, there was a positive effect in the depression and stress indicators in common, and in other indicators, there were differences by subject type. In the case of health clients, it was an improvement in self-esteem for adolescents, and in the case of mental health patients, anxiety among alcohol dependents and patients with Hwabyeong was reduced, and sociality of disabled children was increased. In the case of physical patients, symptoms of women in menopause and atopic dermatitis patients were improved. In the ca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est therapy program, the place to proceed was mainly general forests and forest welfare facilities, and in the case of the season, spring and autumn were centered on summer. The program types were mainly stay type and day-session type. The progress of the day-type program was in the order of 120, 60, and 180 minutes, and the schedule of the stay type program was mainly 2 nights and 3 days and 1 night and 2 days. It was found that the session type program mainly consists of one cycle a week and six to ten session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rogram by subject type.
Through these results, the current status and scope of forest therapy program research were confirmed, and differences in program characteristics were confirmed by subject type.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expanding research on forest therapy programs for connection with the health and medical fields in the futur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