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에 필요로 하는 인재는 비판적 사고를 통한 문제해결 능력, 창의적이며 혁신적 사고, 협업 능력, 유연한 사고를 통한 의사소통 능력이 있는 인재이다. 요즘 많은 기업들은 애자일 조직 문화와 OKR 성과 관리를 도입하여 리더들의 코칭 스킬 교육과 수평적 조직 문화 개선을 통한 구성원들의 직무만족감을 높여주고 주도적인 혁신행동 강화 할 수 있도록 많은 인사 혁신을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
4차 산업에 필요로 하는 인재는 비판적 사고를 통한 문제해결 능력, 창의적이며 혁신적 사고, 협업 능력, 유연한 사고를 통한 의사소통 능력이 있는 인재이다. 요즘 많은 기업들은 애자일 조직 문화와 OKR 성과 관리를 도입하여 리더들의 코칭 스킬 교육과 수평적 조직 문화 개선을 통한 구성원들의 직무만족감을 높여주고 주도적인 혁신행동 강화 할 수 있도록 많은 인사 혁신을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코칭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이 코칭리더십과 혁신행동에 미치는 매개효과와 긍정심리자본이 코칭리더십과 직무만족 간의 조절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과 수도권에 있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구글 설문지(온라인)를 활용해 설문지 215부, 종이 설문지(오프라인) 150부로 365부를 회수하였다. 이 중 값에 오류 등 4부를 제외하고 통계 자료로 총 361부를 사용하였다. 설문조사의 자료 분석은 IBM SPSS 2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설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는 첫째, 코칭리더십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통해 코칭리더십의 하위 요소를 회귀분석 한 결과,방향 제시, 역량개발, 관계는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행평가는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직무만족은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통해 분석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직무만족이 혁신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은 코칭리더십 하위 요소인 방향 제시, 역량개발, 수행평가, 관계와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할 것이다. 가설을 통해 회귀분석으로 분석 한 결과 방향 제시와 혁신행동 간에는 직무만족이 완전 매개 효과를 나타났고, 관계와 혁신행동 간에는 직무만족이 부분 매개 효과를 나타났다. 그러나, 역량개발과 혁신행동, 수행평가와 혁신행동 간에는 모두 매개효과를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긍정심리자본은 코칭리더십 하위 요소인 방향제시, 역량개발, 수행평가, 관계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가설을 통해 회귀분석 한 결과 긍정심리자본은 역량개발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만 조절 효과를 나타났고, 방향 제시, 수행평가, 관계는 모두 직무만족 간에서 긍정심리자본이 조절 효과를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본문의 결론 파트에서 자세히 논의하였다.
4차 산업에 필요로 하는 인재는 비판적 사고를 통한 문제해결 능력, 창의적이며 혁신적 사고, 협업 능력, 유연한 사고를 통한 의사소통 능력이 있는 인재이다. 요즘 많은 기업들은 애자일 조직 문화와 OKR 성과 관리를 도입하여 리더들의 코칭 스킬 교육과 수평적 조직 문화 개선을 통한 구성원들의 직무만족감을 높여주고 주도적인 혁신행동 강화 할 수 있도록 많은 인사 혁신을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코칭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이 코칭리더십과 혁신행동에 미치는 매개효과와 긍정심리자본이 코칭리더십과 직무만족 간의 조절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과 수도권에 있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구글 설문지(온라인)를 활용해 설문지 215부, 종이 설문지(오프라인) 150부로 365부를 회수하였다. 이 중 값에 오류 등 4부를 제외하고 통계 자료로 총 361부를 사용하였다. 설문조사의 자료 분석은 IBM SPSS 2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설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는 첫째, 코칭리더십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통해 코칭리더십의 하위 요소를 회귀분석 한 결과,방향 제시, 역량개발, 관계는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행평가는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직무만족은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통해 분석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직무만족이 혁신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은 코칭리더십 하위 요소인 방향 제시, 역량개발, 수행평가, 관계와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할 것이다. 가설을 통해 회귀분석으로 분석 한 결과 방향 제시와 혁신행동 간에는 직무만족이 완전 매개 효과를 나타났고, 관계와 혁신행동 간에는 직무만족이 부분 매개 효과를 나타났다. 그러나, 역량개발과 혁신행동, 수행평가와 혁신행동 간에는 모두 매개효과를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긍정심리자본은 코칭리더십 하위 요소인 방향제시, 역량개발, 수행평가, 관계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가설을 통해 회귀분석 한 결과 긍정심리자본은 역량개발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만 조절 효과를 나타났고, 방향 제시, 수행평가, 관계는 모두 직무만족 간에서 긍정심리자본이 조절 효과를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본문의 결론 파트에서 자세히 논의하였다.
The talents needed in the fourth industry are those with problem-solving skills through critical thinking, creative and innovative thinking, collaborative skills, and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flexible thinking. These days, many companies are introducing agile organizational culture and OKR perfo...
The talents needed in the fourth industry are those with problem-solving skills through critical thinking, creative and innovative thinking, collaborative skills, and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flexible thinking. These days, many companies are introducing agile organizational culture and OKR performance management to improve leaders' coaching skills and horizontal organizational culture to enhance members' job satisfaction and strengthen leading innovative behavior. This study aims to find out ① the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②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innovative behavior, ③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coaching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④ the moder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office worker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and 365 copies were collected with 215 questionnaires and 150 paper questionnaires (offline) using the Google questionnaire (online). Among them, a total of 361 copies were used as statistical data, excluding 4 copies such as errors. The data analysis of the survey was hypothesized using the IBM SPSS 23.0 program. As a result of the hypothesis test of this study, first, regression analysis of the sub-factors of coaching leadership through the hypothesis that coaching leadership has a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showed that direction presentation, competency development, and relationship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it was analyzed through the hypothesis that job satisfaction has a positive (+)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Third, job satisfaction will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rection presentation, competency development, performance evaluation, relationship and innovative behavior, which are sub-factors of coaching leadership. As a result of analysis by regression analysis through hypothesis, job satisfaction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between direction present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and job satisfaction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relationship and innovative behavior. However,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between competency development and innovation behavior, performance evaluation, and innovation behavior. Fourt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ill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direction presentation, competency development, performance evaluation, relationship and job satisfaction, which are sub-factors of coaching leadership.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through hypothesi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ency develop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did not show a moderating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were discussed in detail in the conclusion part of the text.
The talents needed in the fourth industry are those with problem-solving skills through critical thinking, creative and innovative thinking, collaborative skills, and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flexible thinking. These days, many companies are introducing agile organizational culture and OKR performance management to improve leaders' coaching skills and horizontal organizational culture to enhance members' job satisfaction and strengthen leading innovative behavior. This study aims to find out ① the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②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innovative behavior, ③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coaching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④ the moder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office worker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and 365 copies were collected with 215 questionnaires and 150 paper questionnaires (offline) using the Google questionnaire (online). Among them, a total of 361 copies were used as statistical data, excluding 4 copies such as errors. The data analysis of the survey was hypothesized using the IBM SPSS 23.0 program. As a result of the hypothesis test of this study, first, regression analysis of the sub-factors of coaching leadership through the hypothesis that coaching leadership has a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showed that direction presentation, competency development, and relationship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it was analyzed through the hypothesis that job satisfaction has a positive (+)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Third, job satisfaction will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rection presentation, competency development, performance evaluation, relationship and innovative behavior, which are sub-factors of coaching leadership. As a result of analysis by regression analysis through hypothesis, job satisfaction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between direction present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and job satisfaction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relationship and innovative behavior. However,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between competency development and innovation behavior, performance evaluation, and innovation behavior. Fourt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ill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direction presentation, competency development, performance evaluation, relationship and job satisfaction, which are sub-factors of coaching leadership.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through hypothesi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ency develop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did not show a moderating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were discussed in detail in the conclusion part of the tex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