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자생식물인 산수유(Cornus officinalis)는 층층나무과의 cornaceae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3 ∼ 4월에 노란색 꽃이 잎보다 먼저 피고 관상수로 많이 재배된다. 열매는 타원형으로 붉게 익고 한약재와 식용 및 화장품 활성성분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나, 잎 부위에 대해서는 거의 보고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산수유 잎을 70% ethanol (...
국내 자생식물인 산수유(Cornus officinalis)는 층층나무과의 cornaceae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3 ∼ 4월에 노란색 꽃이 잎보다 먼저 피고 관상수로 많이 재배된다. 열매는 타원형으로 붉게 익고 한약재와 식용 및 화장품 활성성분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나, 잎 부위에 대해서는 거의 보고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산수유 잎을 70% ethanol (CL)로 환류추출한 후 얻은 유기용매 분획물인 n-hexane (CLH), chloroform (CLC), ethyl acetate (CLE), n-butyl alcohol (CLB), water (CLW)와 tangential flow filtration (TFF)에 의한 산수유 열매 엑소좀 추출물(CFEVs) 및 이와 비교하기 위하여 저온고압추출한 추출물(CF)에 대해 화장품 소재로써 응용 가능성 을 확인하였다. DPPH, ABTS 라디컬 소거력은 CLW 분획물이 가장 우수했고 CFEVs는 CF와 비교 시 약 2 배 높은 라디컬 소거력을 보였는데 이는 많은 총 폴리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CLE는 노화 지표 인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 생성 저해 및 collagenase 활성 저해 효과가 우수하였고 CFEVs는 CF와 비교하여 약 2 배 높은 AGEs 생성 저해력을 나타냈다. CL, CLE, CLB 및 CLW은 nitric oxide (NO)와 염증성 사이토카인TNF-α, IL-6 생성을 저해하는 항염증 효과를 보였고 CFEVs는 매우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p <0.05). Time-resolved 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 (TR-FRET) 기반 핵수용체 결합분석을 통해 모든 추출물은 농도의존적으로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α (PPAR-α)와 결합하는 리간드로써 작용하였다. HaCaT 각질형성세포에서 각질세포외막(cornified envelope) 형성능을 확인한 결과 CLW, CLB, CLE 및 CL이 각질세포외막 형성능이 우수하였고 western blotting을 통해 CL, CLW 처리 시 filaggrin과 involucrin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FEVs도 각질세포외막 형성능이 우수하였고 세포의 형태 적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CL, CLE, CLB 및 CLW는 유사한 mushroom tyrosinase 활성 저해력을 나타내었고 CFEVs는 CF 대비 1.6 배 높은 저해력을 나 타내었다. B16F10 melanoma 세포에서 CLW와 CFEVs를 처리하여 멜라닌 생성 저해력을 확인하였다(p <0.001). CLW를 처리한 B16F10 melanoma 세포에서 western blotting을 통해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an factor (MITF)와 tyrosinase 단백질 발현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잎 추출물을 HPLC 분석한 결과 gallic acid 및 그 유도체들과 소량의 quercetin, kaempferol 등의 flavonols이 검출되었고, Franz cell diffusion system을 통해 인체 카데바 스킨, 피부모사 인공 멤브레인을 이용하여 다양한 gallic acid, flavonols이 침투된 것을 확인하였다. 6 종 미생물에 대한 항균력 평가에서 공통적으로 CLC에서 항균력이 나타났다. CL을 에멀젼제형 에 0.01, 0.05, 0.1%로 적용하여 4, 25, 37, 60 ℃ 및 일광조건에서 4 개월 간 제형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60 ℃에서 보관한 CL 0.1% 에멀젼을 제외하면 점도 및 경시변화에 영향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산수유 잎과 열매 유래 엑소좀 에 대해 피부장벽강화, 항산화, 항노화, 미백효과에 대한 우수성을 검증하여 기능성화장품 천연소재로써의 응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국내 자생식물인 산수유(Cornus officinalis)는 층층나무과의 cornaceae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3 ∼ 4월에 노란색 꽃이 잎보다 먼저 피고 관상수로 많이 재배된다. 열매는 타원형으로 붉게 익고 한약재와 식용 및 화장품 활성성분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나, 잎 부위에 대해서는 거의 보고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산수유 잎을 70% ethanol (CL)로 환류추출한 후 얻은 유기용매 분획물인 n-hexane (CLH), chloroform (CLC), ethyl acetate (CLE), n-butyl alcohol (CLB), water (CLW)와 tangential flow filtration (TFF)에 의한 산수유 열매 엑소좀 추출물(CFEVs) 및 이와 비교하기 위하여 저온고압추출한 추출물(CF)에 대해 화장품 소재로써 응용 가능성 을 확인하였다. DPPH, ABTS 라디컬 소거력은 CLW 분획물이 가장 우수했고 CFEVs는 CF와 비교 시 약 2 배 높은 라디컬 소거력을 보였는데 이는 많은 총 폴리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CLE는 노화 지표 인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 생성 저해 및 collagenase 활성 저해 효과가 우수하였고 CFEVs는 CF와 비교하여 약 2 배 높은 AGEs 생성 저해력을 나타냈다. CL, CLE, CLB 및 CLW은 nitric oxide (NO)와 염증성 사이토카인 TNF-α, IL-6 생성을 저해하는 항염증 효과를 보였고 CFEVs는 매우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p <0.05). Time-resolved 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 (TR-FRET) 기반 핵수용체 결합분석을 통해 모든 추출물은 농도의존적으로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α (PPAR-α)와 결합하는 리간드로써 작용하였다. HaCaT 각질형성세포에서 각질세포외막(cornified envelope) 형성능을 확인한 결과 CLW, CLB, CLE 및 CL이 각질세포외막 형성능이 우수하였고 western blotting을 통해 CL, CLW 처리 시 filaggrin과 involucrin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FEVs도 각질세포외막 형성능이 우수하였고 세포의 형태 적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CL, CLE, CLB 및 CLW는 유사한 mushroom tyrosinase 활성 저해력을 나타내었고 CFEVs는 CF 대비 1.6 배 높은 저해력을 나 타내었다. B16F10 melanoma 세포에서 CLW와 CFEVs를 처리하여 멜라닌 생성 저해력을 확인하였다(p <0.001). CLW를 처리한 B16F10 melanoma 세포에서 western blotting을 통해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an factor (MITF)와 tyrosinase 단백질 발현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잎 추출물을 HPLC 분석한 결과 gallic acid 및 그 유도체들과 소량의 quercetin, kaempferol 등의 flavonols이 검출되었고, Franz cell diffusion system을 통해 인체 카데바 스킨, 피부모사 인공 멤브레인을 이용하여 다양한 gallic acid, flavonols이 침투된 것을 확인하였다. 6 종 미생물에 대한 항균력 평가에서 공통적으로 CLC에서 항균력이 나타났다. CL을 에멀젼제형 에 0.01, 0.05, 0.1%로 적용하여 4, 25, 37, 60 ℃ 및 일광조건에서 4 개월 간 제형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60 ℃에서 보관한 CL 0.1% 에멀젼을 제외하면 점도 및 경시변화에 영향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산수유 잎과 열매 유래 엑소좀 에 대해 피부장벽강화, 항산화, 항노화, 미백효과에 대한 우수성을 검증하여 기능성화장품 천연소재로써의 응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