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다함께돌봄센터 센터장의 직무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 서울,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A Grounded Theory Approach to the Job Experience of Directors of Together Care Centers : Focusing on Seoul and the Gyeonggi Region
전 세계적으로 저출산 및 고령화 문제는 매우 중요한 사안이며, 우리나라 역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 중이다. 그 중에서도 다함께돌봄센터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적 돌봄서비스를 제공하여 아동 돌봄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자 하는 중요한 정책의 하나이다. 이에 정부는 2017년 시범사업 후 양적인 확대를 거쳐 2024년 4월 기준으로 전국에 1,117개소의 다함께돌봄센터를 설치·운영 중에 있다. 그러나 다함께돌봄센터의 양적인 확대 못지않게 시설의 질적인 성장 역시 중요한 사회적 이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들은 아동 돌봄서비스 체계, 종사자 특성, 환경요인, 초등돌봄시설 실태 및 개선점에 집중해왔다. 그러나 돌봄시설 원장이나 센터장에 관한 연구들은 직무경험, 운영경험, 직무와 관련된 만족·스트레스·이직 등에 관한 연구들을 통해 다양한 문제점을 보고하며, 이에 대한 실천적 및 정책적 제언을 통해 성공적인 운영과 질 높은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대안들을 제시하고 있다. 이렇게 시설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우선 돌봄서비스가 이루어지는 현장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필요하며, 특히 돌봄 인력을 관리하고 센터 운영을 담당하는 센터장의 직무경험에 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함께돌봄센터 센터장의 직무경험에 관한 ...
전 세계적으로 저출산 및 고령화 문제는 매우 중요한 사안이며, 우리나라 역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 중이다. 그 중에서도 다함께돌봄센터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적 돌봄서비스를 제공하여 아동 돌봄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자 하는 중요한 정책의 하나이다. 이에 정부는 2017년 시범사업 후 양적인 확대를 거쳐 2024년 4월 기준으로 전국에 1,117개소의 다함께돌봄센터를 설치·운영 중에 있다. 그러나 다함께돌봄센터의 양적인 확대 못지않게 시설의 질적인 성장 역시 중요한 사회적 이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들은 아동 돌봄서비스 체계, 종사자 특성, 환경요인, 초등돌봄시설 실태 및 개선점에 집중해왔다. 그러나 돌봄시설 원장이나 센터장에 관한 연구들은 직무경험, 운영경험, 직무와 관련된 만족·스트레스·이직 등에 관한 연구들을 통해 다양한 문제점을 보고하며, 이에 대한 실천적 및 정책적 제언을 통해 성공적인 운영과 질 높은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대안들을 제시하고 있다. 이렇게 시설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우선 돌봄서비스가 이루어지는 현장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필요하며, 특히 돌봄 인력을 관리하고 센터 운영을 담당하는 센터장의 직무경험에 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함께돌봄센터 센터장의 직무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를 통해 다함께돌봄센터 센터장이 직무를 수행하면서 겪는 구체적인 상황과 실천 경험에서의 의미 있는 내용을 탐색하고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 소속 기관생명윤리위원회에서 IRB 승인 후 서울과 경기지역에 위치한 다함께돌봄센터 센터장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수행했다. 자료수집은 2023년 12월부터 2024년 3월까지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의 3단계 코딩 단계인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 단계를 거쳐 분석했다. 분석 결과, 1단계 개방코딩에서는 자료 분석과 개념화 및 범주화를 통해 66개의 개념, 34개의 하위범주, 15개의 범주를 도출했다. 2단계 축코딩에서는 패러다임 모형을 개발했다. 패러다임 모형 결과 현상의 원인이 되는 인과적 조건은 ‘학부모와의 갈등’, ‘돌봄 교사와의 갈등’, ‘법인 및 지자체와의 갈등’, ‘돌봄의 다양한 어려움’이고, 중심 현상은 ‘센터 운영의 어려움’, ‘불안감’이었다. 중심 현상의 배경을 제공하는 맥락적 조건은 ‘센터장에 대한 낮은 처우’, ‘제도적 한계’이며, 중심 현상의 강도를 낮춰주는 중재적 조건은 ‘원동력’, ‘자기성찰’, ‘성과’였다. 중심 현상을 다루는 전략인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현실 직시’, ‘다른 방향으로 노력해보기’, ‘마음의 위안 찾기’였고, 중심 현상을 대처한 결과는 ‘돌봄센터의 미래를 위한 꿈’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3단계 선택코딩에서는 깊이 있는 분석을 통해 핵심범주를 발견했다. 핵심범주는 연구참여자들의 직무경험을 종합하여 ‘다함께돌봄센터의 운영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도전과 기회’로 정의했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도출된 제도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간 관리기관을 통해 체계적인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강화하여 센터 운영에 필요한 기술과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각 지역의 특성과 필요를 고려한 맞춤형 정책을 개발하여 지역 간 격차를 해소하여 전국적으로 균형 있는 돌봄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셋째, 다양한 행정절차와 정책을 표준화하고 공적 돌봄 체계를 강화하여 센터 운영의 일관성과 예측 가능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넷째, 센터장이 현장에서 필요한 결정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내릴 수 있도록 권한을 강화하고 자율성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인력 배치 및 지원 체계 개선을 통해 센터장의 업무 부담을 축소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센터장의 자격기준을 강화하고 인건비를 인상함으로써 센터장이 필요로 하는 높은 수준의 전문성과 경험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모든 아동이 동일한 지원과 양질의 돌봄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정책 개선을 통해 현실적인 운영비를 지급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교사 대 아동 비율을 개선하여 양질의 돌봄을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주제어: 다함께돌봄센터, 센터장, 직무경험, 근거이론
전 세계적으로 저출산 및 고령화 문제는 매우 중요한 사안이며, 우리나라 역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 중이다. 그 중에서도 다함께돌봄센터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적 돌봄서비스를 제공하여 아동 돌봄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자 하는 중요한 정책의 하나이다. 이에 정부는 2017년 시범사업 후 양적인 확대를 거쳐 2024년 4월 기준으로 전국에 1,117개소의 다함께돌봄센터를 설치·운영 중에 있다. 그러나 다함께돌봄센터의 양적인 확대 못지않게 시설의 질적인 성장 역시 중요한 사회적 이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들은 아동 돌봄서비스 체계, 종사자 특성, 환경요인, 초등돌봄시설 실태 및 개선점에 집중해왔다. 그러나 돌봄시설 원장이나 센터장에 관한 연구들은 직무경험, 운영경험, 직무와 관련된 만족·스트레스·이직 등에 관한 연구들을 통해 다양한 문제점을 보고하며, 이에 대한 실천적 및 정책적 제언을 통해 성공적인 운영과 질 높은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대안들을 제시하고 있다. 이렇게 시설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우선 돌봄서비스가 이루어지는 현장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필요하며, 특히 돌봄 인력을 관리하고 센터 운영을 담당하는 센터장의 직무경험에 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함께돌봄센터 센터장의 직무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를 통해 다함께돌봄센터 센터장이 직무를 수행하면서 겪는 구체적인 상황과 실천 경험에서의 의미 있는 내용을 탐색하고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 소속 기관생명윤리위원회에서 IRB 승인 후 서울과 경기지역에 위치한 다함께돌봄센터 센터장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수행했다. 자료수집은 2023년 12월부터 2024년 3월까지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의 3단계 코딩 단계인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 단계를 거쳐 분석했다. 분석 결과, 1단계 개방코딩에서는 자료 분석과 개념화 및 범주화를 통해 66개의 개념, 34개의 하위범주, 15개의 범주를 도출했다. 2단계 축코딩에서는 패러다임 모형을 개발했다. 패러다임 모형 결과 현상의 원인이 되는 인과적 조건은 ‘학부모와의 갈등’, ‘돌봄 교사와의 갈등’, ‘법인 및 지자체와의 갈등’, ‘돌봄의 다양한 어려움’이고, 중심 현상은 ‘센터 운영의 어려움’, ‘불안감’이었다. 중심 현상의 배경을 제공하는 맥락적 조건은 ‘센터장에 대한 낮은 처우’, ‘제도적 한계’이며, 중심 현상의 강도를 낮춰주는 중재적 조건은 ‘원동력’, ‘자기성찰’, ‘성과’였다. 중심 현상을 다루는 전략인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현실 직시’, ‘다른 방향으로 노력해보기’, ‘마음의 위안 찾기’였고, 중심 현상을 대처한 결과는 ‘돌봄센터의 미래를 위한 꿈’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3단계 선택코딩에서는 깊이 있는 분석을 통해 핵심범주를 발견했다. 핵심범주는 연구참여자들의 직무경험을 종합하여 ‘다함께돌봄센터의 운영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도전과 기회’로 정의했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도출된 제도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간 관리기관을 통해 체계적인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강화하여 센터 운영에 필요한 기술과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각 지역의 특성과 필요를 고려한 맞춤형 정책을 개발하여 지역 간 격차를 해소하여 전국적으로 균형 있는 돌봄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셋째, 다양한 행정절차와 정책을 표준화하고 공적 돌봄 체계를 강화하여 센터 운영의 일관성과 예측 가능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넷째, 센터장이 현장에서 필요한 결정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내릴 수 있도록 권한을 강화하고 자율성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인력 배치 및 지원 체계 개선을 통해 센터장의 업무 부담을 축소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센터장의 자격기준을 강화하고 인건비를 인상함으로써 센터장이 필요로 하는 높은 수준의 전문성과 경험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모든 아동이 동일한 지원과 양질의 돌봄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정책 개선을 통해 현실적인 운영비를 지급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교사 대 아동 비율을 개선하여 양질의 돌봄을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e issues of low birth rates and aging populations are significant global concerns, and our country is also implementing various policies to address these problems. Among these, the "Together Care Centers" were a key policy aimed at providing social care service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u...
The issues of low birth rates and aging populations are significant global concerns, and our country is also implementing various policies to address these problems. Among these, the "Together Care Centers" were a key policy aimed at providing social care service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us resolving blind spots in child care. Following a pilot project in 2017, the government expanded the number of these centers, and as of April 2024, 1,117 centers are in operation nationwide. However, the qualitative growth of these facilities is as important as their quantitative expansion. Nevertheless, existing studies have focused on the childcare service system, staff characteristics,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status and improvement of elementary care facilities. However, research on the directors of childcare facilities has identified various issues through studies on job experience, operational experience, job-related satisfaction, stress, and turnover. These studies offer practical and policy recommendations for successful operation and the provision of high-quality services.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se facilities,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on-site care services is necessary, and in particular, an in-depth study of the job experiences of the center directors who manage and operate these centers is needed. This study aims to explore and analyze the meaningful aspects of the specific situations and practical experiences encountered by directors of "Together Care Centers" through grounded theory research on their job experiences. For this purpose, after obtaining IRB approval from the Research Ethics Committee of the institu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directors of Together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Region. Data collection took place from December 2023 to March 2024,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three-stage coding process of grounded theory: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first stage, open coding, 66 concepts, 34 subcategories, and 15 categories were derived through data analysis, conceptualization, and categorization. In the second stage, axial coding, a paradigm model was developed. The results of the paradigm model indicated that the causal conditions for the phenomenon included "conflicts with parents," "conflicts with care teachers," "conflicts with corporations and local governments," and "various difficulties in care." The central phenomena were "difficulties in center operation" and "anxiety." The contextual conditions providing the background for these central phenomena were "low compensation and social status of directors" and "institutional limitations," while the intervening conditions that mitigated the intensity of the central phenomena were "driving force," "self-reflection," and "performance." The strategies for action/interaction to address the central phenomena included "facing reality," "trying different approaches," and "seeking mental solace." The outcome of dealing with the central phenomena was "dreams for the future of the care center." Finally, in the third stage, selective coding, a core category was identified through comprehensive analysis. The core category was defined a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the oper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Together Care Centers," synthesizing the job experiences of the study participants. The institutional recommendation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stablishing an environment that strengthens systematic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through adequate intermediate management institutions, facilitating the acquisition of the skills and knowledge necessary for center operation. Second, developing customized policies tha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each region to bridge regional disparities and provide balanced care services nationwide. Third, standardizing various administrative procedures and policies and strengthening the public care system are needed to enhance the consistency and predictability of center operations. Fourth, empowering directors and ensuring their autonomy to enable swift and effective decision-making on-site. Fifth, reducing the workload for center directors through improvements in personnel allocation and support systems. Sixth, strengthening the qualification criteria for directors and increasing their salaries to reflect the high level of expertise and experience required for the position. Seventh, provision of realistic operational funds through policy improvements to ensure that all children receive equal support and high-quality care services. Lastly, improving the teacher-to-child ratio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can provide high-quality care.
Keywords: Together Care Centers, Directors of the Together Care Center, Job Experiences, Grounded Theory
The issues of low birth rates and aging populations are significant global concerns, and our country is also implementing various policies to address these problems. Among these, the "Together Care Centers" were a key policy aimed at providing social care service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us resolving blind spots in child care. Following a pilot project in 2017, the government expanded the number of these centers, and as of April 2024, 1,117 centers are in operation nationwide. However, the qualitative growth of these facilities is as important as their quantitative expansion. Nevertheless, existing studies have focused on the childcare service system, staff characteristics,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status and improvement of elementary care facilities. However, research on the directors of childcare facilities has identified various issues through studies on job experience, operational experience, job-related satisfaction, stress, and turnover. These studies offer practical and policy recommendations for successful operation and the provision of high-quality services.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se facilities,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on-site care services is necessary, and in particular, an in-depth study of the job experiences of the center directors who manage and operate these centers is needed. This study aims to explore and analyze the meaningful aspects of the specific situations and practical experiences encountered by directors of "Together Care Centers" through grounded theory research on their job experiences. For this purpose, after obtaining IRB approval from the Research Ethics Committee of the institu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directors of Together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Region. Data collection took place from December 2023 to March 2024,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three-stage coding process of grounded theory: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first stage, open coding, 66 concepts, 34 subcategories, and 15 categories were derived through data analysis, conceptualization, and categorization. In the second stage, axial coding, a paradigm model was developed. The results of the paradigm model indicated that the causal conditions for the phenomenon included "conflicts with parents," "conflicts with care teachers," "conflicts with corporations and local governments," and "various difficulties in care." The central phenomena were "difficulties in center operation" and "anxiety." The contextual conditions providing the background for these central phenomena were "low compensation and social status of directors" and "institutional limitations," while the intervening conditions that mitigated the intensity of the central phenomena were "driving force," "self-reflection," and "performance." The strategies for action/interaction to address the central phenomena included "facing reality," "trying different approaches," and "seeking mental solace." The outcome of dealing with the central phenomena was "dreams for the future of the care center." Finally, in the third stage, selective coding, a core category was identified through comprehensive analysis. The core category was defined a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the oper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Together Care Centers," synthesizing the job experiences of the study participants. The institutional recommendation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stablishing an environment that strengthens systematic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through adequate intermediate management institutions, facilitating the acquisition of the skills and knowledge necessary for center operation. Second, developing customized policies tha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each region to bridge regional disparities and provide balanced care services nationwide. Third, standardizing various administrative procedures and policies and strengthening the public care system are needed to enhance the consistency and predictability of center operations. Fourth, empowering directors and ensuring their autonomy to enable swift and effective decision-making on-site. Fifth, reducing the workload for center directors through improvements in personnel allocation and support systems. Sixth, strengthening the qualification criteria for directors and increasing their salaries to reflect the high level of expertise and experience required for the position. Seventh, provision of realistic operational funds through policy improvements to ensure that all children receive equal support and high-quality care services. Lastly, improving the teacher-to-child ratio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can provide high-quality care.
Keywords: Together Care Centers, Directors of the Together Care Center, Job Experiences, Grounded Theor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