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컴퓨터 모사기법을 이용한 Michaelis-Menten Kinetic 상수 추정치의 비교 분석
A Comparison of the Michaelis-Menten Kinetic Constant by Computer Simulation

한국생화학회지, v.20 no.2, 1987년, pp.171 - 177  

김연웅 (한국과학기술원 생물공학과) ,  강윤세 (경상내학교 의과대학 생화학교실) ,  변시명 (한국과학기술원 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측정 초기 속도의 오차가 등분산 정규분포를 가지는 가정 하에서 Michaelis-Menten 상수 $K_m$$V_{max}$를 계산하는데 사용하는 직선 변형식 3가지 (Lineweaver-Burk 방법, Hanes-Woolf 방법, Woolf-Augustinsson-Hofstee 방법)와 Cornish-Bowden의 direct linear 방법, Wilkinson-Cleland 방법들을 컴퓨터 모사 기법을 이용하여 정확도와 정도의 측면에서 서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Wilkinson-Cleland 방법, Cornish-Bowden의 Direct linear 방법, Hanes-Woolf 방법, Woolf-Augustinsson-Hofstee 방법, Lineweaver-Burk 방법의 순서로 우수함을 알았다. 최소 필요 적정 기질농도 수는 9개에서 12개 사이였다. 적정 기질농도 범위는 6 $K_m$에서 12 $K_m$으로 각 방법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ichaelis-Menten equation was fitted to simulated data containing the homoscadastic error from three linear transformations (Lineweaver-Burk, Hanes-Woolf, Woolf-Augustinsson- Hofstee), Cornish-Bowden's direct linear plot and the method of Wilkinson-Cleland. The best method was those of Wilkinson...

참고문헌 (11)

  1. Atkins, G. L. and Nimmo, I. A. (1975) Biochem. J. 149, 775. 

  2. Box, G. E. P. and Muller, M. A. (1958) Ann. Math. Statistics 29, 610. 

  3. Cleland, W. W. (1963) Nature 198, 463. 

  4. Cleland, W. W. (1967) Adv. Enzymol. 29, 1. 

  5. Cornish-Bowden, A. (1974) Biochem. J. 139, 721. 

  6. Cornish-Bowden, A. (1976) in Principles of Enzyme Kinetics Butter-Worth, London. 

  7. Cornish-Bowden, A. and Eisenthal, R. (1974) Biochem. J. 139, 721. 

  8. Dowd, J. E. and Riggs, D. G. (1965) J. Biol. Chem. 240, 836. 

  9. Henderson. P. J. F. (1978) Tech. Prof. Enz. Biochem. B113, 1. 

  10. Johansen, G. and Lumy, R. (1961) C. R. Trav. Lab. Carlsberg 32, 185. 

  11. Wilkinson, G. N. (1961) Biochem. J. 80, 32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