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동면역이 Acanthmoeba culbertsoni 능동면역 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ctive immunization with Acanthamoebn culbeksoni in mice born to immune mother 원문보기

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v.31 no.2 = no.77, 1993년, pp.157 - 164  

공현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  서성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열대의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병원성 자유생활아메바인 Aconaamoebonensoni로 면역된 어미 마우스로부터 태어난 새끼 마우스를 다시 면역시켰을 때, 어미로부터 받은 수동면역이 새끼 마우스의 능동면역 시행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관찰하고자 수막뇌염 발생에 따른 사망률, 혈청내 항체가 측정 및 세포 분리분석기를 이용하여 T세포 아형을 측정하였다. A. culbertsoni 영양형 $1{\;}{\times}{\;}10^6$개로 3회 면역된 어미 마우스로부터 수동면역을 전달받은 2-3주령의 새끼 마우스와 수동면역을 받지 않은 2-3 주령의 새끼 마우스를 영양형 $1{\;}{\times}{\;}10^6$개로 2회 면역하였을 때 혈청내 항체가는 같은 주령의 면역 을 시키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수동면역을 받은 군과 받지 않은 군간의 혈청내 항체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영양형 $1{\;}{\times}{\;}10^4$개를 감염시켰을 때 사망률을 관찰한 결과 수동면역을 전달받은 군은 면역을 받지 않은 군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수동면역을 받지 않은 군보다는 유의하게 높았다. T세포의 아형 중, $Ly2^{+}$ T세포는 어미로부터 수동면역을 전달받은 군이 수동면역을 받지 않은 군이나 면역을 시키지 않은 군에 비해 더 높은 비율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수동면역을 받은 부비주령의 새끼 마우스를 같은 방법으로 면역한 군과 대조군을 비교힌 결과, 영양형 $1{\;}{\times}{\;}10^5$개로 감염시켰을 때 사망률은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면역된 어미로부터 태어난 새끼를 다시 능동면역하였을 때, 능동면역에 따른 항체가의 변동은 관찰할 수 없었으나 억제 T세포는 증가하였으며, 능동면역 시기에 따라 면역조절이 다르게 발현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anthamoebn culbertsoni is a pathogenic free-living amoeba causing primary amoebic meningoencephalltls (PAME) in human and mouse. Several reports on the immune responses in mice with this amoebic infection have been published, but the effects of transferred passive Immunity on the active immunizati...

주제어

참고문헌 (18)

  1. Korean J Parasitol Im 23 1 151 1985 10.3347/kjp.1985.23.1.151 

  2. Lancet Barr 1 6593 6 1950 10.1016/S0140-6736(50)90213-3 

  3. Infect Immun Cursons 29 2 408 1980 10.1128/iai.29.2.408-410.1980 

  4. Trans Roy Soc Trop Med Hyg Derrick 42 191 1948 10.1016/0035-9203(48)90023-6 

  5. Blood Desai 21 665 1963 10.1182/blood.V21.6.665.665 

  6. J Parasitol Duckett 58 3 550 1972 10.2307/3278203 

  7. J Immunol Gill 105 1 14 1970 10.4049/jimmunol.105.1.14 

  8. J Immunol Gill 106 1 274 1971 10.4049/jimmunol.106.1.274 

  9. Nature Harte 302 5905 256 1983 10.1038/302256a0 

  10. Clin Exp Immunol Harte 49 3 509 1982 

  11. J Med Microbiol Kingston 2 1 27 1969 10.1099/00222615-2-1-27 

  12. Br Med J Perkins 1 5123 680 1959 10.1136/bmj.1.5123.680 

  13. J Protozool Richards 15 4 651 1968 10.1111/j.1550-7408.1968.tb02188.x 

  14. Int J Parasitol Ferrante 9 6 599 1979 10.1016/0020-7519(79)90018-3 

  15. Trans R Soc Trop Med Hyg Thong 74 5 570 1980 10.1016/0035-9203(80)90141-8 

  16. Parasite Immunol Thong 5 1 67 1983 10.1111/j.1365-3024.1983.tb00724.x 

  17. Bull World Health Organ Voller 53 1 55 1976 

  18. Ann Soc Belges Med Trop Parasitol Mycol Willaert 51 6 701 197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