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목적 동서양과 고금을 통해 많은 체질 이론들이 있었지만 그 중에서도 이제마의 사상의학은 이론과 임상이 체계적으로 연계되어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제마는 동의수세보원의 사단론(四端論), 변증론(辨證論) 등에서 체질진단의 근거로 외형(外形), 심성(心性), 증(證)의 세 가지를 제시하였으나 세 가지 기준별 임상적 중요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 바가 없어서 임상에서 세 가지 진단 기준을 종합적으로 활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는 형편이다. 그러므로 향후 세 가지 체질진단 기준을 임상에 적용하여 각각의 기준이 지니는 임상적 중요도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임상적 연구에 앞서 기존의 체질진단 연구를 외형(外形)과 심성(心性), 증(證)의 세 가지로 분류, 고찰하는 기초적 연구를 하고자 한다. 2. 연구방법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과 사상의학회지 및 사상의학 관련 도서를 중심으로 문헌적 고찰을 하였다. 본론에서는 그간의 연구들을 세 가지로 분류하여 열거하였으며. 고찰에서는 임상적으로 활용이 가능하거나 이미 완료된 연구 위주로 논하였다. 3. 연구결과 (1) 외형(外形)에 관한 연구 경험과 직관적 관찰을 통한 기상(氣像)과 사기(詞氣)위주의 연구가 선행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체형(體形)과 용모(容貌)의 실제 계측을 통한 각 체질별 이미지 정형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체질진단의 정확률 제고를 위해서는 이 두 가지 방법을 균형있게 활용해야 한다. (2) 심성(心性)에 대한 연구 각종 연구나 진단의 객관화 등을 위해 자기보고식 설문조사 기법이 체질진단에 응용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개발된 설문지를 이용함에는 사상변증내용설문조사지(I)의 판별식을 이용한 결과와 QSCCll의 결과를 함께 참고하는 것이 적절하다. (3) 증(證)에 대한 연구 체질증과 체질병증에 대한 연구는 원리론적 연구와 체질별 임상증상 유형에 관한 연구, 기존의 증치의학적 병증관을 사상의학적 병증개념에 적용시켜 해석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향후 현대적인 의미의 다양한 병증을 사상의학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진단하기 위한 객관화 연구가 필요하며, 또한 체질의 편차를 야기시키는 근본적 문제인 장국(臟局)의 대소(大小) 및 장리(臟理)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1. 연구목적 동서양과 고금을 통해 많은 체질 이론들이 있었지만 그 중에서도 이제마의 사상의학은 이론과 임상이 체계적으로 연계되어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제마는 동의수세보원의 사단론(四端論), 변증론(辨證論) 등에서 체질진단의 근거로 외형(外形), 심성(心性), 증(證)의 세 가지를 제시하였으나 세 가지 기준별 임상적 중요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 바가 없어서 임상에서 세 가지 진단 기준을 종합적으로 활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는 형편이다. 그러므로 향후 세 가지 체질진단 기준을 임상에 적용하여 각각의 기준이 지니는 임상적 중요도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임상적 연구에 앞서 기존의 체질진단 연구를 외형(外形)과 심성(心性), 증(證)의 세 가지로 분류, 고찰하는 기초적 연구를 하고자 한다. 2. 연구방법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과 사상의학회지 및 사상의학 관련 도서를 중심으로 문헌적 고찰을 하였다. 본론에서는 그간의 연구들을 세 가지로 분류하여 열거하였으며. 고찰에서는 임상적으로 활용이 가능하거나 이미 완료된 연구 위주로 논하였다. 3. 연구결과 (1) 외형(外形)에 관한 연구 경험과 직관적 관찰을 통한 기상(氣像)과 사기(詞氣)위주의 연구가 선행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체형(體形)과 용모(容貌)의 실제 계측을 통한 각 체질별 이미지 정형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체질진단의 정확률 제고를 위해서는 이 두 가지 방법을 균형있게 활용해야 한다. (2) 심성(心性)에 대한 연구 각종 연구나 진단의 객관화 등을 위해 자기보고식 설문조사 기법이 체질진단에 응용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개발된 설문지를 이용함에는 사상변증내용설문조사지(I)의 판별식을 이용한 결과와 QSCCll의 결과를 함께 참고하는 것이 적절하다. (3) 증(證)에 대한 연구 체질증과 체질병증에 대한 연구는 원리론적 연구와 체질별 임상증상 유형에 관한 연구, 기존의 증치의학적 병증관을 사상의학적 병증개념에 적용시켜 해석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향후 현대적인 의미의 다양한 병증을 사상의학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진단하기 위한 객관화 연구가 필요하며, 또한 체질의 편차를 야기시키는 근본적 문제인 장국(臟局)의 대소(大小) 및 장리(臟理)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1. Purpose of study There are many Constitution theories. But, In th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the theory and the practice are connected systematically. So it has been used in Korea popularly. Lee Je-Ma suggested that the external form, the mind, the symptom are the criteria of Sasang constit...
1. Purpose of study There are many Constitution theories. But, In th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the theory and the practice are connected systematically. So it has been used in Korea popularly. Lee Je-Ma suggested that the external form, the mind, the symptom are the criteria of Sasang constitution diagnosis at the Discourse on the Four Principle and the Discourse on the Identifying Four Constitutions. But The clinical importance study of three diagnostic criteria - the external form, the mind, the symptom - has never been studied. Therefore, there are many obstacles of using the three diagnostic criteria totally. And I think that it needs a study which we apply the three diagnostic criteria to practice and approve the clinical importance of one another. I classify and investigate the previous methods of Sasang constitution diagnosis by the three diagnostic criteria in this study. 2. Method of study I investigate the previous methods of Sasang constitution diagnosis bibliographically by Dongyi Soose Bowon, Journal of Constitutional medicine and other books. 3. Result of study (1) Study of the external form The Study of Ki-sang(氣像) and Sa-ki(詞氣) by experience and intuition was done previously, and study of imaginay formulation of each constitution by measuring Chae-hyung(體形) and yong-mo(容貌) has being done recently. (2) Study of the mind For the objectification of study and diagnosis, self-reporting questionnaire has been used. The ideal choice to determine an indivisual constitution, as far as questionnaire go, is to take results from both the modified version Sasang Pattern Identification Questionnaire and QSCCII. (3) Study of the symptom For the study of the symptom - constitution symptom and constitution symptom of disease - the study of principles, the clinical study of the type of disease and symptom, the study which the pathologic view of Oriental medicine apply the view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have been done. We must try to objectfy Sasang Constitutional disease.
1. Purpose of study There are many Constitution theories. But, In th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the theory and the practice are connected systematically. So it has been used in Korea popularly. Lee Je-Ma suggested that the external form, the mind, the symptom are the criteria of Sasang constitution diagnosis at the Discourse on the Four Principle and the Discourse on the Identifying Four Constitutions. But The clinical importance study of three diagnostic criteria - the external form, the mind, the symptom - has never been studied. Therefore, there are many obstacles of using the three diagnostic criteria totally. And I think that it needs a study which we apply the three diagnostic criteria to practice and approve the clinical importance of one another. I classify and investigate the previous methods of Sasang constitution diagnosis by the three diagnostic criteria in this study. 2. Method of study I investigate the previous methods of Sasang constitution diagnosis bibliographically by Dongyi Soose Bowon, Journal of Constitutional medicine and other books. 3. Result of study (1) Study of the external form The Study of Ki-sang(氣像) and Sa-ki(詞氣) by experience and intuition was done previously, and study of imaginay formulation of each constitution by measuring Chae-hyung(體形) and yong-mo(容貌) has being done recently. (2) Study of the mind For the objectification of study and diagnosis, self-reporting questionnaire has been used. The ideal choice to determine an indivisual constitution, as far as questionnaire go, is to take results from both the modified version Sasang Pattern Identification Questionnaire and QSCCII. (3) Study of the symptom For the study of the symptom - constitution symptom and constitution symptom of disease - the study of principles, the clinical study of the type of disease and symptom, the study which the pathologic view of Oriental medicine apply the view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have been done. We must try to objectfy Sasang Constitutional disease.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