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생쥐에 있어서 약물의 혈액-뇌 관문 투과성 평가를 위한 간편한 in vivo 방법
The Simple in Vivo Evaluation Method for Blood-Brain Barrier Permeability of Drugs in Mice 원문보기

藥劑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harmaceutical sciences, v.30 no.2, 2000년, pp.99 - 105  

강영숙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대학) ,  김유정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mpared the permeability of $[^3H]taurine,\;[^3H]phenylalanine,\;and\;[^3H]oxytocin$ through the blood-brain barrier (BBB) in mice and rats with common carotid artery perfusion (CCAP) method that modified internal carotid artery perfusion (ICAP) method. External carotid artery...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투여법은 생체내에서 효소등에 의한 대사로 인하여 대사체와 미변화 활성물질의 구분이 요구되며, ICAP방법8-9)은 아주 복잡하고 정교한 수술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흰쥐 정도의 크기를 가진 동물에서만 가능하며, 물질에 따라 흰쥐에 적용시킬 수 없는 경우와 흰쥐에서 생리활성을 나타내지 않는 물질에 대해서는 BBB 투과를 검토하는데 생쥐나 원숭이 등을 사용하여야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CAP법의 단점을 보완하여 생쥐에서의 실험과 소량의 신약을 평가하기 위한 scree-ning법을 개발하는데 적용하기 위하여 ICAP법을 변형시켜 그 투과법의 확립을 시도하고, 뇌질환 치료 약물로서의 가능성이 있는 taurine과 중성 아미노산 담체 수송계의 대표물질인 phenylalanine, 뇌혈관용적 표지체인 sucrose, 펩타이드성 물질인 oxytocin 등에 대한 생쥐에서의 BBB 투과성을 흰쥐에서 ICAP법으로 시행하여 얻어진 결과와 비교 검토하였다.
  • 물론 생쥐에서도 확대경을 사용하고 3배이상의 시간과 노력을 투여하면 ICAP법을 사용하여 약물의 BBB투가성 평가가 가능함을 다른 실험 (mouse transferrin monoclonal antibody 실험-추후투고예정)에서 확인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생쥐에서만 평가가 가능한 특이성 약물 또는 소량 합성된 신약 후보물질의 BBB투과성 평가에 대비하여 CCAP법의 적용이 가능한 지를 흰쥐에서의 ICAP법과 비교검토하여 보고 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