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플라스틱 f$\\heta$렌즈의 복굴절이 결상빔경에 미치는 영향분석
The effect analysis of birefringence of plastic f$\\heta$ Iens on the beam diameter 원문보기

한국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v.11 no.2, 2000년, pp.73 - 79  

임천석 (한국과학기술원 물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출성형법으로 제조된 $fheta$렌즈를 주사렌즈로 상요하는 Laser Scanning Unit의 주주사 및 부주사 방향의 빔경을 측정했다. 주주사 빔경의 경우 $62muextrm{m}$~ $68\mu\textrm{m}$로써 설계치와 유사한 성능을 보이지만 부주사 빔경의 경우 $78\mu\textrm{m}$~$115\mu\textrm{m}$로써 꽤 큰 빔경편차( $37\mu\textrm{m}$)를 나타내었다. 사출성형렌즈에서는 냉각.고화시 수축에 의한 형상오차와 불균일 냉각에 의한 내부왜곡(복굴절)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결국 파면수차(빔경확대)를 발생시키게 되고 결국 레이저프린터의 화상열화로 나타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부주사 빔경편차의 주요인을 밝혀내기 위해 복굴절(편광비) 및 $f\theta$렌즈의 비구면 형상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측정된 비구면 형상치를 CODE-V(미국 ORA사의 광학설계 프로그램)에 입력하여 부주사 상면만곡을 계산하고, 이와 설계 초점심도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복굴절이 부주사 빔경편차의 주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measure a beam diameter of scan and sub-scan direction of LSD (Laser Scanning Urnt) which uses $fheta$ lens produced by injecLion molding method as a scanning lens. While the measured beam diameter in scan direction, which is $62muextrm{m}$ to $68\mu\textrm{m}$, s...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Form-Talysurf의 경우 라인(line)측 정만이 가능하므로 비구면 형상측정을 위해서는 별도의 측정 보조기구물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비구면 전면(全面)의 측정을 위해 별도의 측정 보m기구물(FTS의 측정빙.항에 대해 수직으로 움직이는 기구물, 즉 면측정이 가능해짐.)을 제작 하여 비구면 형상측정을 시행한다.
  • 일반적으로 사출성형된 플라스틱 렌즈에서의 복굴절은 렌즈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수 차를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출성형법에 의해 제조된 레이저 프린터욤 비구면 由렌즈에 유기된 복굴절 이 빔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사츨성형법으로 제조된 렌즈에서 발생하기 쉬운 부주사방향 빔경편치의 주원인에 관해 살펴보았다. 부주 사방향 빔경편차는 레이저 프린터의 화상평가에서 주로 농담의 차이를 발생시키는 화상열화로 나타난다.
  • 본 절에서는 3.3에서 측정된 무주사 곡률반경오차를 사용해 서 부주사 방향의 상면만곡을 계산하고자 힌다. 사출성형렌즈 에서 불균일 냉각시의 수축에 의해 부주사 곡률반경오차가 발 생하고 이는 각 상고별로 결상위치의 편차 즉 상면만곡으로 나타나게 된다- 만약 부주사 곡률반경 오차가 일정하다면 실 린더 렌즈의 광축방향 위치조정에 의해 전 상고의 결상위치를 광전도성 드럼상에 가져올 수 있지민、그림 11(b)처럼 곡률반 경 오차가 위치별로 다른 경우는 결상위치의 편차가 발생하고 빔경열화와 직결된다.
  • 복굴절, 그리고 비구면형상을 측정한 후. 비구면 형상측정 data로부터 계산된 상면만곡과 설계 초점심도를 상호 비교 - 분석함으로써 복굴절이 빔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