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Sex Role Identity, Clothing Involvement, and Clothing Satisfac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difference of Sex Role Identity, Clothing Involvement, and Cloth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The question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Sex Role Identity, Clothing Involvement, and Clothing Satisfac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difference of Sex Role Identity, Clothing Involvement, and Cloth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The questionaire survey was used toward 555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region during October, 1998. SAS package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gatherd data. Frequency, Percentage. Factor Analysis, Duncan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so on. Th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With the analyses of Sex Role Identity, Clothing Involvement, and Clothing Satisfaction, we divided the polarized Sex Role Identity into four factors : androgynous, masculine, feminine and undifferentited type. Four factors are considered to decide Clothing Involvement: fashion, interesting pleasure, symbolism, and utility perceived risk. 2.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 Role Identity, Clothing Involvement, and Cloth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3. The analysis of correlations among Sex Role Identity, Clothing Involvement and Clothing Satisfaction show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among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Sex Role Identity, Clothing Involvement, and Clothing Satisfac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difference of Sex Role Identity, Clothing Involvement, and Cloth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The questionaire survey was used toward 555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region during October, 1998. SAS package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gatherd data. Frequency, Percentage. Factor Analysis, Duncan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so on. Th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With the analyses of Sex Role Identity, Clothing Involvement, and Clothing Satisfaction, we divided the polarized Sex Role Identity into four factors : androgynous, masculine, feminine and undifferentited type. Four factors are considered to decide Clothing Involvement: fashion, interesting pleasure, symbolism, and utility perceived risk. 2.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 Role Identity, Clothing Involvement, and Cloth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3. The analysis of correlations among Sex Role Identity, Clothing Involvement and Clothing Satisfaction show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among them.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는 남녀 고교생들을 대상으로 청 소년들의 성역할 정체감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최근 의 경향을 알아보고,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 소비자 행동에 따른 의복 관여가 어떻게 연관되어지며, 구 매 제품에 대한 의복 관여의 태도가 형성됨으로써 의복 만족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구체적인 연구 목적으로는 고교생의 성역할 정체감 및 의복 관여, 의복 만족의 유형을 파악하고, 인구 통계적 변인에 따른 성역할 정체감 및 의복 관 이, 의복 만족의 요인의 차이점을 규명하며, 또한 의 보관여와 의복 만족, 성역할 정체감과의 상관 관계를 밝힘으로써 의류학 연구 분야에 기초자료를 제 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남녀 고교생들을 대상으로 청 소년들의 성역할 정체감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최근 의 경향을 알아보고,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 소비자 행동에 따른 의복 관여가 어떻게 연관되어지며, 구 매 제품에 대한 의복 관여의 태도가 형성됨으로써 의복 만족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구체적인 연구 목적으로는 고교생의 성역할 정체감 및 의복 관여, 의복 만족의 유형을 파악하고, 인구 통계적 변인에 따른 성역할 정체감 및 의복 관 이, 의복 만족의 요인의 차이점을 규명하며, 또한 의 보관여와 의복 만족, 성역할 정체감과의 상관 관계를 밝힘으로써 의류학 연구 분야에 기초자료를 제 공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등에서 제시한 의복 만족를 개별적인 속성으로 나누어 그동안 의류 학의 연구 분야에서 따로 분리하여 접근하였던 의상 사회 심리차원의 성역할 정체감과 소비자행동의 표 현인 의복 관여와 의복 만족을 연결시켜 각각의 요 인들 사이의 연관성과 차이점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 2: 인구 통계적 변인에 따른 성역할 정 체감과 의복 관여의 차이점을 밝힌다.
연구문제 3: 성역할 정체감과 의복 관여, 의복 만 족 속성의 상관관계를 밝힌다.
본 연구는 고교생의 성역할 정체감, 및 의복 관여, 의복 만족의 유형을 파악하고 인구 통계적 변인에 따른 성역할 정체감 및 의복 관여의 차이점을 규명 하며, 또한 의복관여와 의복 만족, 성역할 정체감과 의 상관 관계를 밝힘으로써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상과 같이 남녀 고교생들을 대상으로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 소비자 행동에 따른 의복 관여가 어떻게 연관되어지며, 의복 관여의 태도가 형성됨으로 써 의복 만족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처음으로 사회 심리 측면의 성역할 정체감과 소비자 행동인 의복 관여와 의복 만족을 연관시켜 관련성을 연구하였으나, 그에 따른 구체적이면서 체계적인 이론적 전개와 여러 측면의 심층적인 접근이 미비한 점을 가지고 있다.
제안 방법
9단계 주관적 계증을 묻는 문항에서는 자료가 전체 모집단의 대표성을 지니기 위해서 표본의 수가 N=30개 이상 표본수를 적절히 고려하여 3그룹으로 나누었다. 상류층 34.
본 연구에서는 실태조사 방법으로 설문지법을 사 용하였으며 인구통계적 조사와 성역할 정체감 변인 조사, 의복관여 변인조사, 의복만족 속성조사의 4단 계로 나누어 조사되었다.
행동과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연령, 성별, 거주지, 가족 총 소득, 사회계층, 아버지 . 어머니의 직업여부 등 6개 문항으로 영역 지워 통계 처리하였다. 성역할 정체 감을 측정하기 위한 질문지는 남성성과 여성성을 구별하여 독립적으로 추정하여 고안한 BSRI(Bem Sex Role Invertory)를 사용하였으며 각 문항은 7점 척도로 이루어져 있고 Sperce, Helmreich와 Stapp(1975)이 개발한 중앙치분리법(median—split method)을 이용하여 성역할 정체감 유형을 구분하였다.
중앙치분리법은 전체 응답자의 남성성, 여성성 점수들의 중앙치를 준거로 하여 각 개인의 남성성, 여성성 점수가 이보다 높은가 낮은가를 가려서 네 집단으로 나누는 방법이다. 의복관여에 관한 질문은 이론적 연구에서 설정된 의복관여의 차원에 맞춰, 윤은안(1998), 인우식(1992) 류은정(1991)의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문항을 추출하였으며 5점 평정법 으로 측정하였다. 각 하위 변인별 신뢰도는 .
각 질문의 평가는 Likert형 5점 평가 척 도를 사용하였다. 의복 만족 속성을 측정하기 위한 질문지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문항을 추출한 다음 타당도 검사를 하였다. 각 문항별 신뢰도는 .
88이 었다. 측정도구의 타당도는 의류학과 박사 과정 수 업을 받고 있는 사람들로부터 예비 조사 문항의 내 용들을 확인 받았고, Cronbach's a값을 구하여 각 측정 척도의 내적 일관성을 검토하여 설문지를 완 성하였다.
의복 관여의 차원을 밝히기 위해 요인분석을 하여 4개의 요인을 추출하였다. 결과는<표 2>와 같다.
의복 만족의 차원을 밝히기 위해 요인분석을 하여 4개의 요인을 추출하였다. 결과는<표 3>과 같다.
여 고등학교 비 례를 고려하여 임의로 표본을 추출하였다. 자료수집 은 1998년 10월 4일부터 11월 6일에 걸쳐 1차, 2차로 나누어 실시되었다. 1차 조사는 예비조사로 고교생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차 조사 대상으로는 서 울 시내의 인문계 고등학교 580명을 대상으로 실시 되었으며 설문지는 600부를 배부하여 575부를 회수 하였고, 이 중에서 불완전하거나 결측치가 많은 설 문지 20부를 제외한 총 555부를 통계 처리하였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는 남 . 여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학교의 지역적 위치와 남 . 여 고등학교 비 례를 고려하여 임의로 표본을 추출하였다.
자료수집 은 1998년 10월 4일부터 11월 6일에 걸쳐 1차, 2차로 나누어 실시되었다. 1차 조사는 예비조사로 고교생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차 조사 대상으로는 서 울 시내의 인문계 고등학교 580명을 대상으로 실시 되었으며 설문지는 600부를 배부하여 575부를 회수 하였고, 이 중에서 불완전하거나 결측치가 많은 설 문지 20부를 제외한 총 555부를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자는 고등학교 1학년생을 중심으로 성별, 거주지는 임의 선정하였다. 성별에서는 남자 50.
데이터처리
본 연구의 자료는 SAS 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하였다. 표본의 인구통계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및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의 복 관여, 의복 만족의 차원을 밝히기 위하여 직교회 전에 의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요인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SAS 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하였다. 표본의 인구통계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및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의 복 관여, 의복 만족의 차원을 밝히기 위하여 직교회 전에 의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요인을 추출하였다. 인구 통계적 변인에 따른 성역할 정체감, 의복 관여, 의복 만족의 차이를 밝히기 위해서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한 변인에 대해서는 다중비교법 인 Duncan의 Multiple Range Test' 방법에 의해 집단들 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표본의 인구통계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및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의 복 관여, 의복 만족의 차원을 밝히기 위하여 직교회 전에 의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요인을 추출하였다. 인구 통계적 변인에 따른 성역할 정체감, 의복 관여, 의복 만족의 차이를 밝히기 위해서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한 변인에 대해서는 다중비교법 인 Duncan의 Multiple Range Test' 방법에 의해 집단들 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성역할 정체감, 의 복 관여, 의복 만족 속성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서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인구 통계적 변인에 따른 성역할 정체감, 의복 관여, 의복 만족의 차이를 밝히기 위해서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한 변인에 대해서는 다중비교법 인 Duncan의 Multiple Range Test' 방법에 의해 집단들 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성역할 정체감, 의 복 관여, 의복 만족 속성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서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이론/모형
어머니의 직업여부 등 6개 문항으로 영역 지워 통계 처리하였다. 성역할 정체 감을 측정하기 위한 질문지는 남성성과 여성성을 구별하여 독립적으로 추정하여 고안한 BSRI(Bem Sex Role Invertory)를 사용하였으며 각 문항은 7점 척도로 이루어져 있고 Sperce, Helmreich와 Stapp(1975)이 개발한 중앙치분리법(median—split method)을 이용하여 성역할 정체감 유형을 구분하였다. 중앙치분리법은 전체 응답자의 남성성, 여성성 점수들의 중앙치를 준거로 하여 각 개인의 남성성, 여성성 점수가 이보다 높은가 낮은가를 가려서 네 집단으로 나누는 방법이다.
93이었다. 각 질문의 평가는 Likert형 5점 평가 척 도를 사용하였다. 의복 만족 속성을 측정하기 위한 질문지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문항을 추출한 다음 타당도 검사를 하였다.
성능/효과
첫 번째 요인은 세탁과 관리의 편리성'이라는 문항의 요인 부하량이 가장 높아 '기능적 관리성'이 라 명 명하였다. 두 번째 요인은 '입 어서 마음이 편안함' , '활동하기 편안함'이 라는 문 항의 요인 부하량이 가장 높아 편안함이라 명명하였으며, 세 번째 요인은 이성에게 어필', 색상' 등 외관의 표현성을 묻는 문항의 요인 부하량이 가장 높아 '외관적 표현성'이라 명명하였으며, 네 번째 요인은 '상황에의 적절성'이라는 문항의 요인 부하 량이 가장 높아 '적절성'이라 명명하였으며 이 요인 에 대해서는 신뢰도가 가장 높았다.
인구 통계적 변인인 연령, 성별, 거주지, 월평균 가족 총소득, 사회계층에 따라 의복 관여의 하위 영역인 유행, 흥미로운 관심, 상징성, 실용적 위험지각 의 4개 하위영역의 차이점을 검증한 결과 와 같이 모든 인구 통계적 변인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성역할 정체감 변인에서는 남성성과 미분화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거주지에 따른 성역할 정체감 변인에서는 남성성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의복 관여 변인에서는 유행, 흥미로 운 관심, 상징성, 실용적 위험지각의 모든 변인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거주지에 따른 의 복 관여 변인에서는 실용적 위험지각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월평균 가족 총소득에서는 유행에서 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흥미로운 관심 이나 실용적 위험지각에 대하여 보다 높은 관심을 나타냈으며, 거주지에서는 강남에 거주하는 고교생 들에게서 실용적 위험지각이 높게 나타났다. 월평균 가족 총소득은 소득이 높을수록 유행에 대한 관심이 높게 나타났다.
성역할 정체감 요인과 의복 관여 요인간은 각각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차이를 보인 변인은<표 6>과 같다.
성역할 정체감 요인 중 양성성은 의복관여 요인 중 유행, 흥미로운 관심, 실용적 위험지각과 정적 상 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여성성은 유행과 실용적 위험지각과 정적 상관 관계가 나타났고, 남성성은 유행 과 정적 상관 관계가 나타났으며, 흥미로운 관심, 실 용적 위험지각에서는 부적 상관 관계가 나타났다. 미분화는 유행, 흥미로운 관심, 상징성과 정적 상관 관계가 나타났다.
의복 관여 요인 중 유행은 성역할 정체감 요인 모 두에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낸 반면 상징성은 단지 미분화에만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의복 만족 요인, 성역할 정체감 요인과 의복 관여 요인과는 각각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차이를 보인 변인은<표 7>과 같다.
의복 만족, 성역할 정체감과 의복관여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먼저 의복 만족 요인과 성역할 정 체감에서는 의복 만족 요인 중 기능적 관리성 변인 은 성역할 정체감 요인 중 양성성과, 의복 관여 요 인중 실용적 위험 지각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봉재 상태, 세탁과 관리의 편리성을 추구하는 기능적 관리성 요인에서 의복만족 을 구하는 고교생들은 양성성의 성역할 정체감을 중시하며, 의복의 실용적 측면을 중시하는 실용적 위험지각 차원에서 의복에 대한 관심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의복 만족 요인 중 편안함 요인은 성역할 정체감 요인 중 양성성, 여성성과 의복관여 요인 중 유행과 실용적 위험지각에서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이는 입어서 편안함과 활동하기 편안함을 추구 하는 편안함 요인에서 의복만족을 구하는 고교생들 은 양성성과 여성성의 성역할 정체감을 중시하며, 유행을 따르지 않는 성향을 나타내며 실용적 위험 지각을 중시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의복 만족 요인 중 외관적 표현성 요인은 성역할 정 체감 요인 중 양성성, 미분화와 의복 관여 요인 중 유행, 흥미로운 관심, 상징성과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이는 개성 표현, 유행 감각 등 외관적 표현성에서 의복만족을 구하는 고교생들은 양성성 과 미분화 성역할 정체감을 중시하며 유행, 흥미로 운 관심, 상징성 차원에서 적극적인 의복에 대한 관 심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의복 만족 요인 중 편안함 요인은 성역할 정체감 요인 중 양성성, 여성성과 의복관여 요인 중 유행과 실용적 위험지각에서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이는 입어서 편안함과 활동하기 편안함을 추구 하는 편안함 요인에서 의복만족을 구하는 고교생들 은 양성성과 여성성의 성역할 정체감을 중시하며, 유행을 따르지 않는 성향을 나타내며 실용적 위험 지각을 중시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의복 만족 요인 중 외관적 표현성 요인은 성역할 정 체감 요인 중 양성성, 미분화와 의복 관여 요인 중 유행, 흥미로운 관심, 상징성과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이는 개성 표현, 유행 감각 등 외관적 표현성에서 의복만족을 구하는 고교생들은 양성성 과 미분화 성역할 정체감을 중시하며 유행, 흥미로 운 관심, 상징성 차원에서 적극적인 의복에 대한 관 심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의복 만족 요인 중 적절성 요인은 성역할 정체감 중 양성성과는 정 적 상관 관계가 나타났으며 남성성 요인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의복 만족 요인 중 외관적 표현성 요인은 성역할 정 체감 요인 중 양성성, 미분화와 의복 관여 요인 중 유행, 흥미로운 관심, 상징성과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이는 개성 표현, 유행 감각 등 외관적 표현성에서 의복만족을 구하는 고교생들은 양성성 과 미분화 성역할 정체감을 중시하며 유행, 흥미로 운 관심, 상징성 차원에서 적극적인 의복에 대한 관 심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의복 만족 요인 중 적절성 요인은 성역할 정체감 중 양성성과는 정 적 상관 관계가 나타났으며 남성성 요인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다른 사람에 대한 반응 과 사회적 상황의 적절성 등을 고려하는 적절성에서 의복만족을 구하는 고교생들은 양성성의 성역할 정체감을 중시하며 반대로 남성성 성향이 강한 고 교생들은 적절성 요인에 대해 고려하지 않음을 볼 수 있다.
성역할 요인 중 양성성 요인에 대해서는 의복 만 족 요인 모두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여성성 요 인에 대해서는 편안함 요인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남성성 요인에 대해서는 적절성에서 부적 상관 관계가 나타났으며, 미분화 요인에서는 외관적 표현 성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성역할 요인 중 양성성 요인에 대해서는 의복 만 족 요인 모두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여성성 요 인에 대해서는 편안함 요인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남성성 요인에 대해서는 적절성에서 부적 상관 관계가 나타났으며, 미분화 요인에서는 외관적 표현 성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성역할 정체감 중 양성성 성향이 강한 고교생들은 모든 의복 만족 요인에 대해서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고 있음을 볼 수 있으며, 여성성 성향이 강한 고교생들 은 편안한 의복을 착용했을 때 만족을 얻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의복관여 요인 중 유행요인에 대해서는 외관적 표현성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편안함에 서는 부적 상관 관계가 나타났다. 흥미로운 관심 요 인에 대해서는 외관적 표현성에 대해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났으며, 실용적 위험지각에 대해서는 기능 적 관리성 요인과 편안함 요인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의복관여 요인 중 유행요인에 대해서는 외관적 표현성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편안함에 서는 부적 상관 관계가 나타났다. 흥미로운 관심 요 인에 대해서는 외관적 표현성에 대해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났으며, 실용적 위험지각에 대해서는 기능 적 관리성 요인과 편안함 요인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유행에 관심이 많은 고교생들은 편안 하지 않더라도 외모를 아름답게 표현하는 것에 치 중하는 경향이 있으며 실용적 측면에 관심이 많은 고교생들은 의복 만족 성향도 기능적 관리성에 치 중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성별에 따른 의복 관여 변인에서는 유행, 흥미로 운 관심, 상징성, 실용적 위험지각의 모든 변인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거주지에 따른 의 복 관여 변인에서는 실용적 위험지각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월평균 가족 총소득에서는 유행에서 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첫째, 성역할 정체감과 의복 관여, 의복 만족 유형 을 살펴본 결과, 성역할 정체감은 양성성, 여성성, 남성성, 미분화의 네 요인으로 나타났다. 고교생의 성역할 정체감은 양성성이 가장 높은 성향을 나타 났으며 여성성, 미분화, 남성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첫째, 성역할 정체감과 의복 관여, 의복 만족 유형 을 살펴본 결과, 성역할 정체감은 양성성, 여성성, 남성성, 미분화의 네 요인으로 나타났다. 고교생의 성역할 정체감은 양성성이 가장 높은 성향을 나타 났으며 여성성, 미분화, 남성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의복 관여의 차원은 유행, 흥미로운 관심, 상징성, 실용적 위험지각의 4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설명 력을 근거로 고교생의 의복 관여는 유행요인에 가장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고교생의 성역할 정체감은 양성성이 가장 높은 성향을 나타 났으며 여성성, 미분화, 남성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의복 관여의 차원은 유행, 흥미로운 관심, 상징성, 실용적 위험지각의 4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설명 력을 근거로 고교생의 의복 관여는 유행요인에 가장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의복 만족의 차원은 기능 적 관리성, 편안함, 표현성, 적절성의 4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을 근거로 고교생의 의복 만족은 기능적 관리성요인에 가장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의복 관여의 차원은 유행, 흥미로운 관심, 상징성, 실용적 위험지각의 4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설명 력을 근거로 고교생의 의복 관여는 유행요인에 가장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의복 만족의 차원은 기능 적 관리성, 편안함, 표현성, 적절성의 4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을 근거로 고교생의 의복 만족은 기능적 관리성요인에 가장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둘째,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성역할 정체감과 의복 관여의 차이점을 살펴본 결과 (1)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성역할 정체감에서는 성별, 거주지 변 인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서는 남학생이 남성성에 높은 관심을 나타냈으며 여학생은 미분화 에 더 관심을 나타냈으며, 거주지에서는 강남에서 거주하고 있는 고교생들에게서 남성성이 높게 나타났다.
성별에서는 남학생이 남성성에 높은 관심을 나타냈으며 여학생은 미분화 에 더 관심을 나타냈으며, 거주지에서는 강남에서 거주하고 있는 고교생들에게서 남성성이 높게 나타났다.(2)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의복 관여에서 는 모든 인구 통계적 변인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성역할 정체감과 의복 관여 및 의복 만족 속성간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를 살펴 본 결과 (1) 남녀 고교생의 성역할 정체감의 표현이 가장 집중되고 있는 양성성과 남성성 집단은 의복 의 상징성 요인을 제외한 모든 의복 관여 요인들과 높은 상관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여성성을 선호하는 집단은 유행과 실용적 위험지각 에서만 상관성을 가지고 있어 양성성과 남성성을 선호하는 집단보다 소극적인 관여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미분화 집단은 실용적 위 험지각을 제외한 관여 요인들과 모두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미분화 집단은 실용적 위 험지각을 제외한 관여 요인들과 모두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의복 관여 요인 중 유 행은 성역할 정체감 요인 모두에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낸 반면 상징성은 단지 미분화에만 정적 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남녀 고교생의 성역할 정체감은 의복 관여 요인들과 높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남녀 고교생의 성역할 정체감은 의복 관여 요인들과 높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2)의복 만족, 성역할 정체감과 의복관여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먼저 의복 만족 요인과 성역할 정체감에서는 의복 만족 요인 중 기능적 관리성 변인은 성역할 정체감 요인 중 양 성성과, 의복 관여 요인중 실용적 위험 지각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의복 만족 요인 중 편안함 요인은 성역할 정체감 요인 중 양성 성, 여성성과 의복관여 요인 중 유행과 실용적 위험 지각과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의복 만족 요인 중 편안함 요인은 성역할 정체감 요인 중 양성 성, 여성성과 의복관여 요인 중 유행과 실용적 위험 지각과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의복 만족 요인 중 외관적 표현성 요인은 성 역할 정체감 요인 중 양성성, 미분화와 의복 관여 요인 중 유행, 흥미로운 관심, 상징성과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의복 만족 요인 중 적절성 요인은 성역할 정체감 중 양성성과 는 정적 상관 관계가 나타나 남성성 요인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또한 의복 관 여의 차원에서는 상징성 요인에서 의복에 대한 관 심을 나타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인구 통계적 변인인 연령, 성별, 거주지, 월평균 가족 총소득, 사회계층에 따라 성역할의 하위 영역 인 양성성, 남성성, 여성성, 미분화의 4개 하위영역 의 차이점을 검증한 결과와 같이 성별, 거 주지 변인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역할 정체감 요인 중 양성성은 의복관여 요인 중 유행, 흥미로운 관심, 실용적 위험지각과 정적 상 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여성성은 유행과 실용적 위험지각과 정적 상관 관계가 나타났고, 남성성은 유행 과 정적 상관 관계가 나타났으며, 흥미로운 관심, 실 용적 위험지각에서는 부적 상관 관계가 나타났다. 미분화는 유행, 흥미로운 관심, 상징성과 정적 상관 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성역할 정체감 중 양성성의 성향이 강한 고교생들은 적극적인 사고 방식과 태 도로 유행, 흥미로운 관심등 의복에 높은 관심을 가 지면서 실용적인 위험지각을 하는 합리적인 의복 행동을 한다고 볼 수 있으며, 성역할 정체감 중 여 성성의 성향이 강한 고교생들은 유행를 따르면서 실용적 위험지각을 하는 여성적인 꼼꼼함을 나타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후속연구
이상과 같이 남녀 고교생들을 대상으로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 소비자 행동에 따른 의복 관여가 어떻게 연관되어지며, 의복 관여의 태도가 형성됨으로 써 의복 만족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처음으로 사회 심리 측면의 성역할 정체감과 소비자 행동인 의복 관여와 의복 만족을 연관시켜 관련성을 연구하였으나, 그에 따른 구체적이면서 체계적인 이론적 전개와 여러 측면의 심층적인 접근이 미비한 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연구 대상의 폭이 너무 편중되어 있으며 지역적 안배 에도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연구 대상의 폭이 너무 편중되어 있으며 지역적 안배 에도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제한점을 해결 하기 위해 연구의 폭을 넓히고 다양한 접근을 시도 함으로써 연구의 질을 높이고 연구 대상을 전국적 으로 확대하고 연령층을 확대하여 앞으로 이점들을 보완하는 후속연구를 제언한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