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0 no.8, 2010년, pp.15 - 2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gender role attitudes affect clothing involvement and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s in young female generation by changing the traditional sex role stereotype. For the research,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a month from June 15 to July 15, 2009. Data...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개인의 성역할 태도가 영향을 줄 수 있는 부분은? | 본 연구는 사회가치의 변화가 여성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기대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여성들의 성역할 태도의 차별적 분화가 의복에 대한 태도 및 행동에까지 영향을 준다는 전제에서 출발하고자 한다. 개인의 성역할 태도는 개인의 가치관, 사회적 역할, 행동방식 등에 반영되는 자아정체성이 반영되기 때문에 개인이 외모에 관해 가지게 되는 태도, 외모관리 행동 또는 외모를 꾸미는 방식 등에 표출될 뿐 아니라 의복에 대한 관여와 스타일과 브랜드의 선호 및 선택에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 |
현대에서 이상적인 여성의 사회의 성역할은 무엇인가? | 사회의 성역할(gender role) 기준은 남자와 여자에게 기대하는 역할을 기술하며 각 성의 구성원으로 유목하고 반응하는 고정관념을 반영 한다1). 과거의 사회에서 이상적인 여성의 모습은 ‘현모양처’였지만 현대의 산업사회에서 이상적인 여성상은 가정과 직장을 조화롭게 양립하는 ‘슈퍼우먼’을 요구한다. 현모양처와 슈퍼우먼의 이미지는 상반되는 것 같지만 이면에는 여성에게 가정에 대한 일차적 책임을 져야한다는 기본전제를 변함없이 깔고 있다. | |
성역할태도란 무엇인가? | 선행연구에서 규정하고 있는 성역할 태도에 대한 개념은 다음과 같다. Kite12)에 의하면, 성역할태도는 '성 신념 체계(gender belief system)'의 하위개념이며, 여성과 남성의 권리와 책임에 대한 태도 혹은 여성의 사회적 지위에 대한 신념이라고 하였으며, Eckes & Trautner13)은 ‘성과 관련된 태도(gender related attitude)’의 하위개념으로 남자와 여자의 일을 직장 일과 가정일로 구분하는 성별역할의 분리에 대한 주관적인 지지의 정도라고 하였다. 국내연구로는 양명숙14)이 ‘성역할관’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고, 장하경과 서병숙15)이 이와 동일한 의미에서 남성과 여성을 특징짓는 심리적 행동적 특성에 대한 고정관념을 포함시켜 성역할 정체감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
Shaffer, D. R. (1999). Sex differences, gender-role development, and sexuality. In Soci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Belmont. CA: Wadsworth Pub., pp. 231-259.
최경희 (2008). 2000년 이후 한국 남녀 패션 잡지에 표현된 여성성과 남성성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6(1), pp. 1-21.
Glick, P. & Hilt, L. (2000). Bad but bold: Ambivalent attitudes toward men predict gender inequality in 16 n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6, pp. 713-728.
Eckes, T. & Trautner, H. M. (2000). The developmental Social Psychology of Gender. Mahwah, NJ: Lawrence Erlbaum, pp. 123-174.
Ashmore, R. D., Del Boca, E K., & Bilder, S. M. (1995).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the Gender Attitude Inventory, a structured inventory to assess multiple dimensions of gender attitudes. Sex Roles, 32(11-12), pp. 753-785.
Bigler, R. S. (1997).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issues in the measurement of children's sex typing.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1, pp. 53-69.
김은희 (2002). 복식에 표현된 여성의 몸 이미지. 서울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1-154.
송명진, 채금석 (2001). 현대 남성패션에 나타난 성정체성의 표현양상. 복식, 25(2), pp. 327-339.
최현숙 (2000). 패션에 표현된 전통적, 페미니즘, 포스트 모던 페미니즘 여성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1-166.
Mary A. L. & Parzinger, M. (2007). Gender schemas: A cognitive explanation of discrimination of women in technology. Journal of Business Psychology, 22, pp. 91-98.
Kite, M. E. (2001). Changing times, changing gender roles: Who do we want women and men to be? In R. Unger (Ed.). Handbook of the psychology of women and gender. New York: Wiley, pp. 215-227.
양명숙 (1996). 예비부모세대의 결혼관과 자녀관 그리고 성역할관에 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34(2), pp. 167-181.
Block, J. H. (1973). Conception of Sex Role: Some Cross-Cultural and Longitudinal Perspectives. American Psychologist, 28. pp. 512-526.
Huston, A. C. (1983). Sex-typing. In P.H. Mussen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4: Socialization, personality, and social development (4rd ed.) New York: Wiley, pp. 387-467.
Singnorella, M. L, Bigler, R. S., & Liben, L.S. (1993). Developmental differences in children's gender schema: A meta-analysis review. Developmental Review, 13, pp. 147-183.
Signorella, M. L. (1999). Chapter 5: Multi-dimensionality of gender schema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gender-related characteristics. In Sexism and stereotypes in modern society.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APA), pp. 107-126.
Spence, J. T. (1993). Gender-related traits and gender ideology; Evidence for a multifactorial theor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4, pp. 624-635.
Bem, S. L. (1974). The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androgyn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2, pp. 155-162.
Spence, J. T. & Helmreich, R. L. & Stapp, J. (1974). The personal attributes questionnaire: A measure of sex role stereotypes and masculinity -feminity. JSAS Catalog of selected Documents in Psychology, 4, pp. 42-44.
김경미, 양혜영 (2005). 성역할 개념의 발달과 분화: 다차원적 관점. 한국심리학회지:발달, 18(3), pp. 1-20.
Liben, L. S., & Bigler, R. S. (2002). The developmental course of gender differentiation: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evaluating consumers and pathways.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67(2, Serial No. 269).
Gaskell, J. S. (1975). The sex-role Ideology of working class girls. Canadian Review of Sociology, 12(4), pp. 453-461.
심미옥 (1991). 아동의 성역할 태도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 9, pp. 89-104.
이대한국여성연구소 (1989). 여성학 영역별 연구(심리여성학: 한국인의 여성에 대한 태도연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여성연구소(편). pp. 214-220.
Rothschild, M. L. (1984). Perspectives on involvement: Current problems and future direction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1, pp. 216-217.
이영선 (1991). 소비자의 의복관여와 외적 정보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130.
구양숙, 추태귀 (1999). 의복관여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4(2), pp. 173-185.
옥경은 (2000). 상황과 소비자 특성에 따른 의류제품의 추구혜택과 정보원 활용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103.
Michelman, S. O. (1999). Chapter 5. Appearance through gender and sexuality. In M. L. Camhost, K. A. Miller, & S.O. Michelman(Eds.), The meaning of dress. New York: Fairchild, pp. 168-176.
Davis, L. L. (1984-85). Sex, gender, identity, and behavior concerning sex-related clothing.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3(2), pp. 20-24.
Bakewell, C., & Mitchell V-W. (2004). Male consumer decision-making styles. International Review of Retail, Distribution and Consumer Research, 14(2), pp. 223-240.
Campbell, C. (1997). Shopping, pleasure and the sex war. In P. Falk & C. Campbell(Eds.) The shopping experience. London: Sage, pp. 168-176.
Simmel, G. (1971). Georg Simmel on Individuality and Social Forms, tr. by Levine, D. N.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p. 294-339.
이윤정 (2007). 성역할 정체성 및 성역할 불일치가 여성과 남성의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비교. 한국의류학회지, 30(4), 436-446.
이주현, 강혜원, 조길수 (1986). 남자 고등학생의 의복 행동과 성역할태도간의 상관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0(3), pp. 67-70.
김윤정 (1982). 남자 대학생의 유행선도력 및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의복행동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1-74.
Liben, L. S., & Bigler, R. S. (2002). The developmental course of gender differentiation: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evaluating constructs and pathways.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67(2, Serial No. 269).
Spence, J. T. & Helmreich, R. L. (1972). The Attitudes toward women scale: An objective instrument to measure attitudes toward rights and roles of women in contemporary society. JSAS Catalog of selected Documents in Psychology, 2, pp. 66-67.
정진경 (1990). 한국 성역할 검사. 한국심리학회지;사회, 5, pp. 82-92.
이영선 (1991). 소비자의 의복관여와 외적 정보 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130.
Osmond, M. W. & Martin, P. Y. (1975). Sex and Sexism: A comparison of male and female sex role attitud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7 (11), pp. 744-758.
Brogan, D. & Kutner, N. (1976). Measuring sex-role orientations: A normative approach.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8, pp. 31-40.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