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암반을 포함한 다층토 지반에서의 깊은 굴착시 흙막이벽체의 수평변위 및 겉보기토압 Lateral Wall Movements and Apparent Earth Pressures for In-situ Walls during Deep Excavations in Multi-Layered Grounds with Rocks원문보기
본 논문에서는 도심지 깊은 굴축현장에서 수집한 계측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흙막이벽체의 거동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다. 총 57개 현장에 시공된 H-pile+흙막이판 벽체와 현장타설 주열식 말뚝 벽체, 그리고 지하연속벽체 등 다양한 종류의 흙막이 벽체를 고려하였으며, 굴착으로 인한 벽체의 거동 및 겉보기토압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계측자료를 토대로 벽체 및 지지구조의 형식 등 흙막이벽체의 다양한 구성요소가 벽체의 거동 및 겉보기 토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고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현재 적용하고 있는 설계/해석법과 비교하는 한편 다양한 차트의 형식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계측자료를 토대로 흙막이벽체의 최대수평변위를 평가하는 경험식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도심지 깊은 굴축현장에서 수집한 계측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흙막이벽체의 거동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다. 총 57개 현장에 시공된 H-pile+흙막이판 벽체와 현장타설 주열식 말뚝 벽체, 그리고 지하연속벽체 등 다양한 종류의 흙막이 벽체를 고려하였으며, 굴착으로 인한 벽체의 거동 및 겉보기토압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계측자료를 토대로 벽체 및 지지구조의 형식 등 흙막이벽체의 다양한 구성요소가 벽체의 거동 및 겉보기 토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고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현재 적용하고 있는 설계/해석법과 비교하는 한편 다양한 차트의 형식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계측자료를 토대로 흙막이벽체의 최대수평변위를 평가하는 경험식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the measured performance of in-situ walls using the measured data collected from various deep excavation sites in urban area. A variety of in-situ wall systems from 57 sites were considered, including H-pile walls, soil cement walls, cast-in-place pile walls, and diaphram walls. ...
This paper presents the measured performance of in-situ walls using the measured data collected from various deep excavation sites in urban area. A variety of in-situ wall systems from 57 sites were considered, including H-pile walls, soil cement walls, cast-in-place pile walls, and diaphram walls. The examination included lateral wall movements as well as apparent earth pressure distributions. The measured data were thoroughly analyz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components of in-situ wall system, such as types of wall and supporting system, on the lateral wall movement as well as on the apparent earth pressure distribution. The results wee then compared with the current design/analysis methods, and information is presented in chart formes to provide tools that can be used for design and analysis. Using the measured data, a semi-empirical equation for predicting deep excavation induced maximum lateral wall movement is suggested.
This paper presents the measured performance of in-situ walls using the measured data collected from various deep excavation sites in urban area. A variety of in-situ wall systems from 57 sites were considered, including H-pile walls, soil cement walls, cast-in-place pile walls, and diaphram walls. The examination included lateral wall movements as well as apparent earth pressure distributions. The measured data were thoroughly analyz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components of in-situ wall system, such as types of wall and supporting system, on the lateral wall movement as well as on the apparent earth pressure distribution. The results wee then compared with the current design/analysis methods, and information is presented in chart formes to provide tools that can be used for design and analysis. Using the measured data, a semi-empirical equation for predicting deep excavation induced maximum lateral wall movement is suggested.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는 도심지 지하굴착에서는 주변 지반의 거동억제가 필수 불가결한 조건이 되는 관계로 흙막이 벽체 설계 시 벽체 및 주변 지반의 거동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이며, 또한 겉보기토압에 관한 분야는 흙막이 벽체 설계 시 벽체 및 지지 구조 계의 설계에 직접적으로 반영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이 루어져 야만 효율적인 흙막이 벽체의 설계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 깊은 굴착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의 일환으로 버팀 보지지 또는 앵커 지지 흙막이 벽체가 적용된 깊은 굴착을 대상으로 계측자료 분석을 통해 지하굴착에 따른 흙막이 벽체 수평 변위 및 겉보기토 압 등 전반적인 거동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니 도심지 흙막이 벽체의 거 돔 및 작욤 토압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 총 57개 현징에서 수집된 벽체 변위 및 지지구조 축력에 대한 계측자료를분석하 였다. 흙막이 벽체 거동분석에 있어서는 217개 단면의 경사계 측정자료가, 그리고 겉보기 토압 분석에 있어서는 56개 단면 의 지지구조에 설치된 하중계와 변형율계 즉정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 깊은 굴착에 관한 연구의 일한으로 총 57개 현장에서 수집한 현장 계측자료를 토대로 깊은 굴착에 따른 흙막이 백 체의 수평 변위 및 겉보기토압분포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국내 지반 조건을 고려한 깊은 굴착 시 흙막이 벽체 수평 변위 평가식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안 방법
흙막이 벽체에 작용하는 겉보기토압아은 앵커 또는 버팀보에 작용하는 축력((시을 분딤면적(A)으로 나누어서 계산하는 중점분할법을 이욤하여 산정한 후고 결괴를토대로 각 단면의 최대 겉보기토압E由)을신-정 하는 방법으로 총 56개 단면에 대한자료를 검토하였디-. 여기서 앵커의 축력은 앵커 두부에 부착된 하중계를 이용히-여 측정하였으며, 버팀보의 경우 부착된 변형 율 계로부터 측정된 변형율을 환산하여 축력을 계산하였다
흙막이 벽체에 작용하는 겉보기토압아은 앵커 또는 버팀보에 작용하는 축력((시을 분딤면적(A)으로 나누어서 계산하는 중점분할법을 이욤하여 산정한 후고 결괴를토대로 각 단면의 최대 겉보기토압E由)을신-정 하는 방법으로 총 56개 단면에 대한자료를 검토하였디-. 여기서 앵커의 축력은 앵커 두부에 부착된 하중계를 이용히-여 측정하였으며, 버팀보의 경우 부착된 변형 율 계로부터 측정된 변형율을 환산하여 축력을 계산하였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에서는 국니 도심지 흙막이 벽체의 거 돔 및 작욤 토압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 총 57개 현징에서 수집된 벽체 변위 및 지지구조 축력에 대한 계측자료를분석하 였다. 흙막이 벽체 거동분석에 있어서는 217개 단면의 경사계 측정자료가, 그리고 겉보기 토압 분석에 있어서는 56개 단면 의 지지구조에 설치된 하중계와 변형율계 즉정자료를 사용하였다. 표 1은 분석된 계측자료 현황을 나열하고 있는데 보이는 바와 같이 H-pile+흙막이판 벽체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지지구조는 버팀보식과 앵커식 이 고르게 분포하고 있다.
성능/효과
벽체의 종류에 따른 최대 겉보기토압 변화 경향이 그림 8 에 나타나 있다. 분석 단면의 수에 있어서 H-pile의 경우 SCW 혹은 CIP 벽치에 비해 월등히 많아 직접적인 비교가 어려 우나 대 체 적으로 SCW 혹은 C1P 벽체와 같이 강성이 높은 벽체의 최대 겉보기토압비는 정도로서 ①財瓦 ”1=0.47의 괸-계를 보이는 H-pile 벽체보다 최대 겉보기토압이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벽체의 강성이 증가할수록 변위 구속 효과가 증가하여 토압이 크게 나타나는데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1) 계측자료 분석 결과 국내 굴착 현장의 흙막이 벽체 최대 수평 변위는。, 5%H 이내로서 평균적으로는 약(M6%H 로 나타났으며, 기존의 국내 현장에 대한 연구 결과와 대 돔 소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흙막이 벽체의 수평 변 위에 있어 앵커 지지 벽체가 버팀 보지지 벽체보다 변위 억제 효과가 다소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벽체의 시스템 강성이 증가함에 따라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 계측자료 분석 결과 국내 굴착 현장의 흙막이 벽체 최대 수평 변위는。, 5%H 이내로서 평균적으로는 약(M6%H 로 나타났으며, 기존의 국내 현장에 대한 연구 결과와 대 돔 소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흙막이 벽체의 수평 변 위에 있어 앵커 지지 벽체가 버팀 보지지 벽체보다 변위 억제 효과가 다소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벽체의 시스템 강성이 증가함에 따라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앵커 지지 벽체의 경우 버팀 보지지 벽체보다겉보기토압 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균적으로는 们何/氏仃 H=0.54의 수치를 보여 암반현장의 앵키지지 벽체를 대상으로 수행한 기존의 인구 결과 h", wK?, H=Q.55)와 매우유사하게 나타났1이러한경향은 앵커 지지 벽체에 대히-여 버팀 보지지 벽체보다 다소 큰 겉보기 토압을 제 안 하고 있는 Goldberg 듬 (1976) 의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4)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암반을 포함한 다층지 반 에서 시공되는 흙막이 벽체의 변위 및 겉모기토압은 벽체의 종류 및 지지구조의 종류에 따라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빈적으로는 토사 지반보다는 변위 및 겉보기 토압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흙막이 벽체의 거동이 지 반조건 및 시공수준, 지히 등 다양한 인자에 의해 좌우되는 점을 감안할 때보다 많은 연구자료가축적되기 전까지는 보수적인 측면에서 기존의 토사지반과 같은 수준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 디-.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