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도시의 공공도서관 네트워크 구성에 관한 연구 -지역 도서관네트워크 구성에 관하여-
A Study on the network of public library in urban areas with plural library facilities -About the composition of the public library network-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no.25, 2000년, pp.221 - 228  

이상호 (홍익대학교 건축공학과) ,  공순구 (홍익대학교 건축공학과 박사과정, 건우사건축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se days, we face of the flood of books published, and data day by day. But there are some trouble to serve the knowlodge and date to the users efficently with a single library. Thats why we think about the way of the cooporation and the connection in modern library for the method of widening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의 범위는 서울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연구하며 이용자의 관내 행위에 의한 지역계획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현재 운영하고 있는 도서관이 지역적 특성을 고려해 설계 운영되지 않고 있다. 이에 기존의 공공도서관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지역특성과 지역적인 환경을 고려하여 서울시를 10개의 구역으로 분리하여 지역 네트워크를 구성하고자 한다. 1개의 구역에는 2~3개의 구가 포함되는데 이는 그 구의 지역적 특성과 인원수와 구 면적을 고려하여 지역 네트워크를 구성하였다.
  • 이처럼 보다 넓고 다양해진 정보의 홍수 속에서 현대의 도서관이 수용해야 하는 도서관 네트워크의 구성을 제시하고 보다 효과적인 도서관의 시설투자와 지역 계획에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중앙관은 네트워크의 중심에 1관이면 좋다고 하는 의견에 대해서 중앙관의 도서관 서비스를 보다 충실히 할 수 있는 방법을 2가지 제시하고자 한다. 그 1가지는<그림 7>에 나타나 중앙관으로부터의 [사무관리부문혀]드쿼터)분리형]이다.
  • 그러나 공중이 요구하는 적절한 장서 및 참고자료를 보유하지 못하고 있으며 지역도서관의 수나 도서관시설 또한 매우 부족한 현실로 인해 단순히 학습실의 역할을 하는데 머물러 있다. 충분한 자료와 도서관시설을 확충하기 위한 제안으로 공공도서관의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시설과 자료를 각 관들이 공유하여 이용자들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하고자한다.
  • 한정된 면적을 가진 공공도서관의 상호 연계와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에 충족한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는 도서관 네트워크구성을 검토하고 제시 것이 본 연구의 과제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