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외된 어린이를 위한 독서프로그램 효과 연구 -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 of Reading Program for Alienation Children: focused on The Reading with Library Program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4 no.2, 2010년, pp.199 - 220  

조미아 (성균관대학교 정보관리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서 운영하는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어린이들의 독서교육의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9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46개 기관의 초등학생 590명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사회성, 독서능력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설문지 조사를 병행하였다.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참여기관 46개관 중 42개관(91.3%)에서 자아존중감, 사회성, 독서능력 점수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프로그램의 효과가 나타난 도서관은 11개관(23.9%)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Reading with Library' program in the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For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through surveys with 590 children in 46 institutions that participated in '2009 The Reading with Library'program.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09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사업을 평가하고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사업의 문제점과 요구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사업이 소외계층 어린이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며, 도서관별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독서능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사업은 언제부터 시작했는가?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사업은 2007년부터 시작되어 지역 공공도서관이 장애 어린이기관, 지역어린이센터, 다문화관련기관, 사회복지관, 보육원, 공부방과 연계하여 진행하고 있다. 참여도서관의 선정 절차는 소외 어린이 밀집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사업에 참여의지가 있는 공공도서관의 신청을 받아 심사위원을 구성한 후 심사회의를 개최하여 참여도서관을 선정하게 된다.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사업의 목표는 무엇인가?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사업은 정보 및 문화소외계층 어린이에 대한 도서관 서비스 확대 및 소외대상 어린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역 문화중심기관으로서 도서관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확산하고, 민간 문화인력 활용으로 공공도서관의 인력부담 해소 및 프로그램 운영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07년부터 3년째 운영 중인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사업은 효과적이라는 강사와 담당사서의 정성적인 평가만이 있었으나 얼마나 어떤 측면에서 어떻게 효과적인지에 대한 연구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사업은 2010년에 몇 개관을 대상으로 수업이 운영되고 있는가? 참여도서관의 선정 절차는 소외 어린이 밀집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사업에 참여의지가 있는 공공도서관의 신청을 받아 심사위원을 구성한 후 심사회의를 개최하여 참여도서관을 선정하게 된다. 2007년에는 16개관을 대상으로 3개월간 총 10회의 수업이 진행되었으며, 2008년부터 총 24회의 수업이 운영되고 있으며 참여도서관이 해마다 교육대상 기관이 증가되어 2008년에는 30개관, 2009년에는 50개관, 2010년에는 75개관을 대상으로 하게 되었다(표 1 참조).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교육인적자원부. 2004. 참여복지 5개년 계획(교육복지부문), 참여정부 교육복지 종합계획.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2. 권영미. 1999. 방과후 아동지도의 쟁점 고찰. 아동교육, 9(1): 103-119. 

  3. 김순희. 2004. 자기성장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존중감 및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4. 김정옥. 2001. 그림책 읽어주기가 장애유아의 사회적 비언어 및 언어 표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5. 명창순. 2004. 독서요법을 통한 저소득층 이혼 가정 아동의 친사회성 개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6. 민경화. 2000. 빈곤가족아동의 심리사회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호남대학교 대학원. 

  7. 박미정. 2008.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독서 지도 교육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8. 박지연. 2008. 독서치료가 저소득층 가정 아동의 성격 요인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9. 방숙은 2009. 동화구연을 활용한 독서요법이 지적장애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10. 안민주. 2005. 결손가정 아동과 정상가정 아동의 성역할 정체감 및 자아존중감 비교 연구. 석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11. 오경준. 2000.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자기존중감 및 사회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2. 이남순. 2006. 동시를 활용한 독서치료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13. 이수향. 2007. 장애아동의 형제를 위한 독서치료가 형제관계와 형제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14. 이지혜. 2003. 저소득층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독서치료 효과,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5. 이혜영. 2003. 소외계층에 대한 교육적 배려. 교육개발, 138: 50-53. 

  16. 조미아. 2006.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독서교육의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조미경. 2003. 시각장애유아의 독서 지도 실태 및 개선 방안. 석사학위 논문,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18. 조미정. 2009. 독서활동이 다문화 가정 아동의 독해력과 읽기 태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조선대학교 대학원. 

  19. 조효숙. 2007.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우울감?자아존중감?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전북대학교 대학원. 

  20. 지경희. 2008. 독서상담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부산교육대학교 대학원 

  21. 하영희. 2003. 개인변인과 환경변인이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4(4): 29-40. 

  22. 하정혜. 2004. 독서치료가 자폐성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3. 한국교육개발원. 2005.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 실천사례집.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RM2005-25. 

  24. 한복희. 2004. 독서클리닉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5. 한윤옥, 조현양, 김수경, 조미아, 이미경. 2008. 다문화가정의 자녀를 위한 도서관의 프로그램 개발연구. 서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26. 한윤옥, 조미아, 김수경. 2009. 다문화가정을 위한 도서관서비스 현황과 문제점에 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1): 135-160. 

  27. 한윤옥, 김수경, 조미아. 2009. 다문화가정을 위한 도서관서비스 개발과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2): 91-122. 

  28. Duncan & Brooks. 2000. "Family poverty, welfare reform, and child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71: 188-196. 

  29. Garmezy, N. 1993. "Resiliency and vulnerability to adverse developmental outcomes associated with poverty." American Behavior Scientist, 34: 416-430. 

  30. Luthar, S.S. 1999. "Annotation: Methodological and conceptual issues in research on childhood resilienc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4: 441-45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