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중문화와 디자인 1 -디자인 기획에 미치는 대중문화의 영향-
Popular Culture and Design 1 -The influence of Popular Culture on Design Planning- 원문보기

디자인學硏究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v.13 no.4, 2000년, pp.203 - 212  

전선자 (성균관대학교 예술학부 디자인학과)

초록

대중문화를 연구하는 것이 '우리를 대중으로 만드는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이라면, 디자인을 연구하는 것은 우리 대중의 삶을 질적으로 향상시키는 메커니즘을 알아내고 발전시키는 것이다. 이것은 <대중문화>와 <디자인>의 관계가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관계 속에서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기 때문이지만, 여기서는 <대중문화>와 <디자인>을 각각의 독립변인으로 분리하여, 이미 연구되어진 대중문화개념 규정의 여섯 가지 기준들을 통해 끊임없이 변모하는 디자인의 목표, 역할, 내용, 그리고 조형성 등을 '문화적 요소'로 연구하여 분석하였다. 따라서 여기서는 디자인 초기단계인 '디자인 기획'에 있어서 '문화적 사고'를 담아 <문화가 있는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f researching popular culture is understanding a mechanism to make us the general public, then researching, design is discovering and developing a mechanism to qualitatively improve the life of the general public's life. Since this means that the relation of popular culture and design is correla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로 필자는 을 상위개념으로 삼고 지속적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며, 본 연구논문에서는으로서 사진 몽타주 기법에서 성행하는 을 대중문화의 특성과 가치와 연계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
  • 이 때문에 대중문화라는 '메커니즘'의 특성을 디자인과 함께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는 이제까지 전무하였다. 그럼에도불구하고 대중문화와 디자인의 생산적인 관계가 어떻게 무엇과 함께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알아낼 수가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대중문화의 개념이 어떻게 규정되는가를 찾고, 이를 통해 대중문화의 특성과 디자인의 속성이 현대사회 속에서 얼마나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는지를 알아내는 것이다.
  • 다시 말해서, 먼저를 개념적으로 규정하는 기준들에 대해 논하고, 이런 기준들에 의해 형성된 대중문화의 속성과 가치가 에서 어떤 역할과 파장을 일으킬 수 있는가를 살펴보겠다.
  • 대중문화의 개념이 적어도 6가지 기준들에 의해 규정되듯이 디자인에서도 대중의 일상생활과 대중사회에 의해 생성된 다양한 요소에 의해 개념이 규정될 수 있으나, 여기서는 현대인 즉 소비자의 감성을 중심으로이라는 모습으로 나타난 디자인이 기획 단계에서 어떻게 생성되고 개념화되었는지 살펴보겠다.
  • 광고나 제품 어느 디자인에서든 디자인이 만들어내는 이미지들의 결합이 얼마만큼 현실처럼 꾸며져 소비자들로 하여금 완벽히 수긍할 수 있게 하느냐이다. 예로서 삼성전자의 광고를 보자. 여기에서는 비록 차가운 금속으로 만들어진 전자제품이라지만, 그 기술에 의해 따뜻한 가정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하나의 가족 일원으로 환생 되는 전자제품의 <또 하나의 가족>시리즈이다.
  • 그래서 이 여섯 가지 기준들의 분석을 통해 대중문화와 디자인의 관계를 알아본다면 현대 대중문화 속에서의 유동적인 디자인의 역할과 과제도 쉽게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감성적 판단이 이성적 판단보다 더 우위를 차지해가고 있는 오늘날의 생활문화 속에서 감성디자인이 대중문화와 어떤 관계를 갖게 되는지도 함께 설명해보고자 한다.
  • 동시에 집 안을 밝히고 있는 불빛은 모든 첨단 기술의 혜택을 상징하며, 궁극적으로 사회생활에 불편함을 주지 않는 편리하고 안락한 집안의 인상으로서행복을 약속하는 집의 느낌을 갖도록 만든 것이다.이처럼 존재하는 여러 형식 중 그 목적에 맞는 형식들을 재구성하여 이 광고에서처럼 광고의 기호(푸른 언덕 위의 하얀 집)가 보는 이로 하여금 실제보다 더 실제 같이 보이게 하는 조형적 현상을 만들어낸 것이다. 현실보다 더 실감 나게 만든 대중문화 영역의 영화처럼 디자인 영역에서도 디자이너들이 소비자의 감성을 움직이기 위헤실제보다 더 실제같은<초실재성>의 조형적 효과를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