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해역의 인공어초의 시설상태는 전반적으로 양호한 편이나 부분적으로 하단 부분이 약간 매몰되었고, 조류에 의해 약간 해저가 패여 있었다.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어초로서의 기능을 유지하고 있다고 판단되었다. 1. 조사해역에서 20종의 어류가 어획되었고, 잠수조사 관찰종은 10종이었다. 2. 부착생물로서는 수산식물 5종과 수산동물 5종이 관찰되었다. 3. 단위 노력당 어획량은 시설구와 비교구를 비교하면 통발 2.12 : 1.41, 연승 10.23 : 5.43. 삼중자망 4.93 : 2.86를 보였다. 4. 어구별 종조성은 시설구와 비교구를 비교하면 통발 94 : 58, 연승 85 : 37, 삼중자망 118 : 62를 보였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인공어초 시설구에서 비교구 보다 약 2 배의 어획효과가 높았다.
연구해역의 인공어초의 시설상태는 전반적으로 양호한 편이나 부분적으로 하단 부분이 약간 매몰되었고, 조류에 의해 약간 해저가 패여 있었다.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어초로서의 기능을 유지하고 있다고 판단되었다. 1. 조사해역에서 20종의 어류가 어획되었고, 잠수조사 관찰종은 10종이었다. 2. 부착생물로서는 수산식물 5종과 수산동물 5종이 관찰되었다. 3. 단위 노력당 어획량은 시설구와 비교구를 비교하면 통발 2.12 : 1.41, 연승 10.23 : 5.43. 삼중자망 4.93 : 2.86를 보였다. 4. 어구별 종조성은 시설구와 비교구를 비교하면 통발 94 : 58, 연승 85 : 37, 삼중자망 118 : 62를 보였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인공어초 시설구에서 비교구 보다 약 2 배의 어획효과가 높았다.
Most of artificial reefs in the examined areas were normally established except for some lower parts demersed slightly, and some to function. 1) Twenty species of fish were captured by fishing gear, and 10 species were observed by scuba in the examined areas. 2) Five algal and five fisheries animal ...
Most of artificial reefs in the examined areas were normally established except for some lower parts demersed slightly, and some to function. 1) Twenty species of fish were captured by fishing gear, and 10 species were observed by scuba in the examined areas. 2) Five algal and five fisheries animal species were observed as fouling organism. 3) C.P.U.E of trap, long liner and gill netter in the examined areas was respectively 2.12, 10.23, and 4.93, where as that in contral was established as 1.41, 4.43 and 2.86. 4) Species composition by the fishing gear the trap, long liner and gill netter in the examind areas was respectively 94, 85 and 118, where as that in control was established as 58, 37 and 62. Accordingly, The fishing effects in the artificial reefs installation sector was two times higher than comparative sector.
Most of artificial reefs in the examined areas were normally established except for some lower parts demersed slightly, and some to function. 1) Twenty species of fish were captured by fishing gear, and 10 species were observed by scuba in the examined areas. 2) Five algal and five fisheries animal species were observed as fouling organism. 3) C.P.U.E of trap, long liner and gill netter in the examined areas was respectively 2.12, 10.23, and 4.93, where as that in contral was established as 1.41, 4.43 and 2.86. 4) Species composition by the fishing gear the trap, long liner and gill netter in the examind areas was respectively 94, 85 and 118, where as that in control was established as 58, 37 and 62. Accordingly, The fishing effects in the artificial reefs installation sector was two times higher than comparative secto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는 전라북도 연안에 인공어초를 투입하여 일정기간 경과한 후 어초시설의 보존 상태, 어류의 위집, 부착생물, 어획의 효과, 어장의 이용실태 등을 조사 분석하여 향후 인공어초의 효과와 사후관리를 위한 합리적이고 적정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그 결과를 보고한다.
제안 방법
어획조사는 연 4회 실시하였으며, 어구는 통발. 연승, 삼중자망을 사용하였다. 어구별 사용량은 통발 5셋트 (1셋트 통발간격 5m><20개), 연승 8광주리 (1광주리 아랫줄 간격 2mxllO개), 삼중자망 5폭 (1폭 높이 3mx완성길이 30m)을 사용하였다.
어구별 사용량은 통발 5셋트 (1셋트 통발간격 5m><20개), 연승 8광주리 (1광주리 아랫줄 간격 2mxllO개), 삼중자망 5폭 (1폭 높이 3mx완성길이 30m)을 사용하였다. 삼중자망의 어획 미수의 CPUE 단위는 미수/폭/조업시간으로 환산하고, 어획 중량에 대한 CPUE 단위는 중량/폭/조업시간으로 하였다. 삼중자망 이외의 어구에 대한 CPUE는 통발 및 광주리의 수량/조업시간으로 정하였다.
어류의 위집상태 조사는 1999년 4월부터 1999년 8월에 걸쳐서 어초 시설에서 잠수조사와 어획실험조사 를 하였다.
부착생물조사는 1998년 11월부터 1999년 8월말까지 방형구 (20x20 cm)를 이용하여 정량채집하고 잠수 조사시 육안으로 관찰하고, 촬영한 VTR자료 및 사진자료를 분석하여 조사하였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해역은 군산시 옥도면 어청도, 군산시 옥도면 말도, 부안군 위도면 대리해역에서 1994~1997년에 걸쳐 인공어초를 시설한 것을 대상으로 연구 조사하였다 (Fig.l).
연승, 삼중자망을 사용하였다. 어구별 사용량은 통발 5셋트 (1셋트 통발간격 5m><20개), 연승 8광주리 (1광주리 아랫줄 간격 2mxllO개), 삼중자망 5폭 (1폭 높이 3mx완성길이 30m)을 사용하였다. 삼중자망의 어획 미수의 CPUE 단위는 미수/폭/조업시간으로 환산하고, 어획 중량에 대한 CPUE 단위는 중량/폭/조업시간으로 하였다.
삼중자망 이외의 어구에 대한 CPUE는 통발 및 광주리의 수량/조업시간으로 정하였다. 비교구는 어초구로부터 약 1000m 떨어진 곳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연구해역의 인공어초의 시설상태는 전반적으로 양호한 편이나 부분적으로 하단 부분이 약간 매몰되었고, 조류에 의해 약간 해저가 패여 있었다.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어초로서의 기능을 유지하고 있다고 판단되었다.
1. 조사해역에서 20종의 어류가 어획되었고, 잠수조사 관찰종은 10종이었다.
2. 부착생물로서는 수산식물 5종과 수산동물 5종이 관찰되었다.
삼중자망 118 : 62를 보였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인공어초 시설구에서 비교구 보다 약 2배의 어획효과가 높았다.
인공어초 시설의 보존상태를 조사한 결과 어초의 종류는 사각형 어초형이었다. 어초의 보존상태는 완파되거나 반파된 어초는 발견되지 못했으나, 어초 투입시 투하하면서 어초 끼리 부딛쳐서, 모서리 부분이 약간 훼손된 것들이 발견되었다.
또한 해저의 매몰상태를 조사한 결과 저질이 연한 뻘이 많이 함유한 위도 대리해역내의 어초가 약간 매몰이 이루어졌고, 말도 부근과 어청도 부근 해역의 보존상태는 하단부 분이 약간 매몰된 상태였다. 어초의 하단부분 중 조류가 강하게 받는 부분은 해저가 패 여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나, 본 조사의 결과로 보아 그동안 투입되어 졌던 어초들은 보존상태가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어초로서 기능을 유지하는데 양호한 편으로 판단된다.
인공어초 시설해역에서 어획되거나, 수중 촬영한 VTR과 사진으로 관찰한 출현종은 Table 2와 같이 총 24종으로 나타났으며, 해역별로 출현한 어종은 어청도해역에서 총 20종으로 이 중 어획실험에서 출현한 20종, 잠수조사에서 나타난 어종은 10종이었으며, 어획실험과 잠수조사에서 모두 출현한 어종은 20종으로 쥐노래미, 조피볼락, 넙치, 붕장 어, 삼세기, 양태. 쏨팽이 소라.
말도해역에서는 총 16종으로 어획실험에서 출현한 어종은 16종이며, 잠수조사에서 출현한 어종은 8종으로 나타났다. 잠수조사와 어획실험에서 모두 출현한 어종은 총 16종으 로 조피볼락, 쥐노래미, 넙치.
위도 대리해역에서는 총 15종으로 어획실험에서만 출현한 어종은 15종, 잠수조사에서 나타난 어종은 7종이었으며, 잠수조사와 어획실험에서 모두 나타난 어종은 14종으로 쥐 노래미, 조피볼락, 쥐치, 홍어, 아귀, 삼세기, 돔, 돌가자미, 배도라치, 보구치 양태, 쏨 팽이, 가오리, 갯장어 등이었다.
조사기간 중 부착생물의 출현종은 Table 3에서와 같이 어청도해역에서 10종 중 수산 식물 4종, 수산동물 6종, 말도해역에서 10종 중 수산식물 5종, 수산동물 5종, 위도해역 에서 8종 중 수산식물 4종, 수산동물 4종이 나타났다.
따라서 3개 해역에서 모두 식물류 중에서 홍조류가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동물류에서는 극피동물이 많이 출현하였으며, 해역별로 보면 전체 총 출현종을 본다면 어청도와 말 도에서 10종이 출현되었으나, 위도에서는 8종으로 가장 적게 출현되었다.
실험조사 기간 중 통발에 의해 어획된 어획물의 종조성은 어청도해역의 시설구에서 121개체이고, 비교구에서 기개체로 시설구에서 1.7배가 많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생각해 볼 때 본 조사에서는 전라북도 연안의 인공어초 시설해역에 효과조사를 하기 위하여 인공어초 시설해역의 해양 환경조사, 어획조사, 잠수조사를 통하여 부착생물 서식, 인공어초의 보존 및 매몰상태 등에 대한 효과분석을 한 결과 인공 어초로서의 기능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단위 노력당 어획량은 시설구와 비교구를 비교하면 통발 2.12 : 1.41, 연승 10.23 : 5.43, 삼중자망 4.93 : 2.86를 보였다.
4. 어구별 종조성은 시설구와 비교구를 비교하면 통발 94 : 58, 연승 85 : 37. 삼중자망 118 : 62를 보였다.
또한 해저의 매몰상태를 조사한 결과 저질이 연한 뻘이 많이 함유한 위도 대리해역내의 어초가 약간 매몰이 이루어졌고, 말도 부근과 어청도 부근 해역의 보존상태는 하단부 분이 약간 매몰된 상태였다. 어초의 하단부분 중 조류가 강하게 받는 부분은 해저가 패 여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나, 본 조사의 결과로 보아 그동안 투입되어 졌던 어초들은 보존상태가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어초로서 기능을 유지하는데 양호한 편으로 판단된다.
후속연구
인공어초를 투입한 후 즉시 투입효과가 나타나는 것이 아니고 어느정도 서식 환경이 조성되어야 그 효과가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인공어초 사업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투입 이후에 효과가 발휘될 수 있도록 일정한 기간에 해양의 기초분야와 어초의 보 존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또한 효과적인 인공어초 어장 조성사업을 위해서는 종합적이고 입체적인 연안의 목장화가 조성되어야 하겠고, 서식 대상물의 생태적 특성과 해양물리, 화학, 지질, 생물학적 요소들이 상호간의 유기적인 작용을 하여 새로운 해양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향후 전라북도 연안에 시설된 인공어초의 이용과 보존상태, 인공어초의 효과와 사후관리를 합리적인 방안을 수립하고, 지속적으로 적정한 장소를 선택하여 투입과 관리 를 하므로서 연안어장의 목장화를 이루어져서 어업인의 소득증대에 이바지 할 것으로 본 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