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스트레스인자지각 척도인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GARS) Scale의 한국판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평가하고자 하는데 있다. 방법 : 이 척도에 대한 요인분석은 스트레스인자 8문항에 대한 maximum-likelihood factor analysis후 사각회전(oblique rotation)을 시행하였다. 이 자료들을 요인분석한 결과 1개의 하위요인만이 추출되었다. 상기 척도의 신뢰도는 정상인 69명에게 2주 간격으로 검사-재검사를 시행, 분석한 결과 두 기간간의 8개 스트레스인자 점수의 상관계수가 .85~.95로 모두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한편 내적 일치도는 전체적인 스트레스접수를 제외한 7개 문항의 내적 일치도를 산출한 결과 Cronbach's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validity and reliab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GARS) Scale developed for assessing the severity of current perceived stressors, and then to use the scale in clinical practice. Methods : The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15 healthy subjects. A comparison was made regarding the perception of stressors among 242 patients(71 with anxiety disorder, 73 with depressive disorder, 47 with somatoform disorder, and 51 with psychosomatic disorder) and 215 healthy subjects. Factor analysis was done using oblique rotation after maximum-likelihood factor analysis. Results : Factor analysis yielded 1 subscale. Reliability was computed by administering the GARS Scale to 69 healthy subjects during a 2-week interval. Test-retest reliability for 8 items and the total score was significantly high, ranging between 0.85-.95. Internal consistency was significant(Cronbach's a for 7 items : .86). Convergent validity was computed by correlating the 8 items and the total score with the total score of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SRI), the perceived stress questionnaire(PSQ), and the somatization, anxiety, depression, hostility subscales and general indices of the symptom checklist-90-revised(SCL-90-R). The correlations were all at significant levels. Discriminant validity was computed by comparing the 8 item scores of the patient and control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rea relevant to sickness or illness and the overill global area. The patients with anxiety disorder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rea relevant to sickness or illness than the healthy group, whereas the patients with depressive disord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verall global score than healthy group. The depressive disorder group was the highest in overall global score of the GARS scale among 4 patient groups, and showed a significant higher scor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overall global area than the psychosomatic disorder group.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GARS scale is highly reliable and valid, and that it can be utilized as an effective measure of perceived stressors for research in stress-related fields. It is suggested that depressive disorder patients are more likely to perceive recent stressors than psychosomatic disorder patient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최근 국내에서 스트레스 반응 척도가 개발되었으나 스트레스인자에 대한 지각에 관한 평가도구도 정신신체의학분야의 연구에서 필요로 하기 때문에 GARS 척도의 한국판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조사하고 이것을 임상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