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세기 초와 20세기 말의 전통한복 착용 비교
Comparative Analysis of Traditional Korean Costume Hanbok Worn in the Early and Late 20th Century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39 no.4, 2001년, pp.1 - 18  

김찬주 (인천대학교 의생활학과) ,  홍나영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직물학과) ,  유혜경 (인천대학교 의생활학과) ,  이주현 (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 huts been dramatically changed during the last century in many aspect of society, with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ulture in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the changes in our traditional culture shown by costume as well as examining the aspects of the chang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변화가 극심하였던 20세기라는 1세기 동안 우리의 전통복식은 과연 얼마나 변화하였으며, 또 얼마나 유지되고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를 통해 앞으로의 전통한복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조선시대 말로서 아직 서구 문화의 유입이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기 전인 20세기초와, 서구 문화가 충분히 전이되었고 오히려 전통문화의 중요성이 재인식되고 있는 20세기말의 두 시대를 선정하고.
  • 조효순(1997)은 개화기 복식이 어떤 국가적 사회적 변천요인에 의하여 우리에게 수용되고 변화 발전해 왔는가를 사회 . 문화적 배경과 관련시켜 관찰해보고자 했다. 연구의 대상은 새로운 가치관의 대두, 민중의 사회개혁.
  • 본 연구에서는 전통 한복을 착용한 사례의 사진자료들을 대상으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전통한복의 과거와 현재를 비교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걸친 당시 여성의 한복착용모습이 사용되었다.
  • 양 시대의 전통 한복의 특성을 사진자료분석을 통해 비교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양 시대의 전통한복을 비교하고 상세히 기술함으로써. 시대변화에 따른 전통복식의 변화 양상을 고찰할 뿐만 아니라 복식을 통하여 우리 전통 문화의 변화를 깊이 있게 이해하는 데에 있다.
  • 지역에 국한되기는 하나 민족학지에 의한 연구들은 상당히 심도있게 특정 지역이나 민족들의 삶의 외적 표현으로서의 의복의 본질을 묘사하고 나아가 사회체제의 변화에 반응하는 개인적 삶의 변화와 다양성이 의복의 선택에 반영되고. 이것이 곧 전통복식 변화로 나타나는 과정을 세밀하게 묘사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현장연구의 중요성을 확인시켜 준다. 그러나 Hunt와 Sibleyio) (1994)의 연구와 같이 반드시 민족학지적인 방법을 적용하지 않더라도 사진자료를 이용해 특정 시기의 전체적인 의복변화와 개인별 다양성을 함께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은 가능하다.
  • 여성의 근대 교육론의 대두로 분류하고 집단복식의 도입으로 인한 일반 여성 복식. 전도부인의 복식, 여학생 복식, 간호원 복식, sports wear등으로 선택하여 이에 따른 복식 개량의식이 일반 여성복식에 어떠한 변천요인이 되었는가를 연구하였다. 특히 이화학당을 비롯한 여학생들의 복식이 일반 여성복식의 변화에 미친 영향이 크다는 사실들이 보고되었다.
  • 15해방을 기준으로 하여 1945년부터 1980년까지의 복식변천을 정기 간행물과 사진, 실물 등을 고찰하여 결과를 정리하였고 10년 단위로 대표적인 양식변천을 그림으로 제시하였다. 특히 해방이후의 의생활 변화양상을 하나의 흐름으로 이해시키고자 하였다. 이송희3)는 1876년-1910년 한일합방 전후를 중심으로 남녀 복식의 양식변화를 살펴보고, 그 배경이 되는 사회개혁의 동태를 알아봄으로서 복식변천의 요인을 찾고자 했다.

가설 설정

  • 1. 한복의 전통성을 비교적 잘 유지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