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쟁이 덩굴 추출물로부터 항암예방제로서의 물질을 탐색코자 항산화 비효소활성 및 효소활성을 조사해 본 결과, 부위별 항산화력 및 효소활성들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부위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잎에서 DPPH 소거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서 잎, 줄기, 뿔리에서 각각 7.06, 6.99, 12.39($\mu\textrm{g}/m\ell$)이었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활성이 가장 높은 분획을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로 분리 정제한 결과 잎, 줄기 그리고 뿔리에서 각각 5.5, 6.11, 5.29 ($\mu\textrm{g}/m\ell$)의 DPPH 활성이 높은 분획을 얻었다. Sephadex LH-20에 의해 활성이 가장 높은 분획을 GC/MS로 분석한 결과, Benzoic acid(Gallic acid), 1,2,3-Benzenetriol, 4-amino-Benzenemethanol과 같은 페놀화합물의 항산화물질들이 동정되었다. 줄기와 뿌리에서 POD활서은 잎에서 보다 활성이 높았고, SOD 활성은 잎, 줄기 그리고 뿌리 순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잎은 뿌리보다 2배 이상의 높은 활성을 보였다.
담쟁이 덩굴 추출물로부터 항암예방제로서의 물질을 탐색코자 항산화 비효소활성 및 효소활성을 조사해 본 결과, 부위별 항산화력 및 효소활성들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부위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잎에서 DPPH 소거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서 잎, 줄기, 뿔리에서 각각 7.06, 6.99, 12.39($\mu\textrm{g}/m\ell$)이었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활성이 가장 높은 분획을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로 분리 정제한 결과 잎, 줄기 그리고 뿔리에서 각각 5.5, 6.11, 5.29 ($\mu\textrm{g}/m\ell$)의 DPPH 활성이 높은 분획을 얻었다. Sephadex LH-20에 의해 활성이 가장 높은 분획을 GC/MS로 분석한 결과, Benzoic acid(Gallic acid), 1,2,3-Benzenetriol, 4-amino-Benzenemethanol과 같은 페놀화합물의 항산화물질들이 동정되었다. 줄기와 뿌리에서 POD활서은 잎에서 보다 활성이 높았고, SOD 활성은 잎, 줄기 그리고 뿌리 순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잎은 뿌리보다 2배 이상의 높은 활성을 보였다.
The non-enzymatic antioxidants and antioxidant enzyme from the extracts of Parthenocissus tricuspidata PLANCH. were examined in order to utilize natural product for cerchemopreventive agents. The antioxidant potential and enzyme activities on plant positions in the extracts of Parthenocisuss tricusp...
The non-enzymatic antioxidants and antioxidant enzyme from the extracts of Parthenocissus tricuspidata PLANCH. were examined in order to utilize natural product for cerchemopreventive agents. The antioxidant potential and enzyme activities on plant positions in the extracts of Parthenocisuss tricuspidata PLANCH. showed considerable difference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leaf extracts by Ethyl acetate fractions of Parthenocisuss tricuspidata PLANCH. was the highest among three positions ($7.57\mu\textrm{g}/m\ell$). The highest activities showed in S-5 (in leaf), S-4 (in stem) and S-3 (in root) fraction by Silicagel column chromatography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showed, in purified extract of each positions, $7.06\mu\textrm{g}/m\ell$ (in leaf), $6.99\mu\textrm{g}/m\ell$ (in stem) and $12.39\mu\textrm{g}/m\ell$ (in root) respectively. The activities of DPPH by LH-20 column chromatography revealed much higher than those by silica-gel column chromatography. These were identified as the phenolic compounds known as antioxidant compounds such as Benzoic acid(Gallic acid), 1-methyl-3-(2-phenylethen) benzene, phloroglucinol and 1,2-dihydroxy-4-(1-propyl)benzene by GC/MS. POD activities in the stem and root were higher than in the leaf. SOD activity was highest in the leaf, stem and root activity was comparatively low. Especially, SOD activity in leaf was over 2 times higher than root.
The non-enzymatic antioxidants and antioxidant enzyme from the extracts of Parthenocissus tricuspidata PLANCH. were examined in order to utilize natural product for cerchemopreventive agents. The antioxidant potential and enzyme activities on plant positions in the extracts of Parthenocisuss tricuspidata PLANCH. showed considerable difference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leaf extracts by Ethyl acetate fractions of Parthenocisuss tricuspidata PLANCH. was the highest among three positions ($7.57\mu\textrm{g}/m\ell$). The highest activities showed in S-5 (in leaf), S-4 (in stem) and S-3 (in root) fraction by Silicagel column chromatography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showed, in purified extract of each positions, $7.06\mu\textrm{g}/m\ell$ (in leaf), $6.99\mu\textrm{g}/m\ell$ (in stem) and $12.39\mu\textrm{g}/m\ell$ (in root) respectively. The activities of DPPH by LH-20 column chromatography revealed much higher than those by silica-gel column chromatography. These were identified as the phenolic compounds known as antioxidant compounds such as Benzoic acid(Gallic acid), 1-methyl-3-(2-phenylethen) benzene, phloroglucinol and 1,2-dihydroxy-4-(1-propyl)benzene by GC/MS. POD activities in the stem and root were higher than in the leaf. SOD activity was highest in the leaf, stem and root activity was comparatively low. Especially, SOD activity in leaf was over 2 times higher than root.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는 담쟁이 덩 굴로부터 항산화제로서 의 가치 유무를 판단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담쟁이 덩굴의 부위별 비효소적 항산화 방어계 및 효소적 항산화 방어계 및 효 소적 항산화 방어 계 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제안 방법
음건 세절한 시료 2.0 kg에 메탄올 2000 M을 가하여 7일간 침지시킨 후 여과 농축한 메탄올 추출물을 Fig. 1과 같은 방법으로 분획하였다. 각 부위별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 유효성분을 검색할 목적으로 silica-gel column (0 3.
1과 같은 방법으로 분획하였다. 각 부위별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 유효성분을 검색할 목적으로 silica-gel column (0 3.5cm x 50cm, 70~230 mesh, Merck)에서 클로로포름 : 메탄올( 8 : 2 v/v)을 이동상으로 사용하여 50 ul씩 분취하고 마지막으로 메탄올 로 용출시킨 것을 TLC 전개를 통해 여러 개의 subfraction_2- 로 나누었다 . Silica-gel column chromatography에서 부위별 로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분획들을 정제하기 위해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에서 메탄올을 이동상 으로 사용하여 5 ml씩 분취하여 TLC 전개를 통해 여러 개의 분획을 얻었다.
5cm x 50cm, 70~230 mesh, Merck)에서 클로로포름 : 메탄올( 8 : 2 v/v)을 이동상으로 사용하여 50 ul씩 분취하고 마지막으로 메탄올 로 용출시킨 것을 TLC 전개를 통해 여러 개의 subfraction_2- 로 나누었다 . Silica-gel column chromatography에서 부위별 로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분획들을 정제하기 위해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에서 메탄올을 이동상 으로 사용하여 5 ml씩 분취하여 TLC 전개를 통해 여러 개의 분획을 얻었다.
항산화물질의 동정을 위하여 GC/MS (Hewlett Packard 6890/5973)을 이용하였으며 , columne Ultra- 2 (Crosslinked 5% PH ME Siloxane), oven 조건은 80 에서 시작하여 분당 5Q씩 250P까지 승온하였으며, 25013에서 10분간 유지하였다. 운반체는 He 가스를 사용하였으며, 유속은 0.
POD 활성은 pyrogallol (Sig ma, Co# P-0381)을 기질로 사용하고, 0.1 ml 조효소액에 2.9 ml assay buffer 를 첨가하여 420 mn에서 20초간 상온에서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각 부위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실리카겔 컬 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잎, 줄기, 뿌리에서 각각 5개, 4개, 3개의 분획을 얻은 후 각 분획별 항산화 활 성 을 측정한 결 과( Table 2), 각 부위 의 분획 별 항산화 활성은 차이를 보였다. 잎은 S - 5에서 7.
대상 데이터
본 실험에서 비효소적 항산화 방어계 를 조사하고자 사용한 담쟁이 덩 굴(Parthenocisuss tricuspidata PLANCH.)은 경 북 안동시 송천동에서 자생한 것을 2000년 8월 에 채 취 하여 각 부위별로 세척한 다음 세절하여 60P에서 열풍 건조하여 사용하였고, 항산화 효소계 측정을 위해서는 부위별 생체시료를 사용하였다.
항산화물질의 동정을 위하여 GC/MS (Hewlett Packard 6890/5973)을 이용하였으며 , columne Ultra- 2 (Crosslinked 5% PH ME Siloxane), oven 조건은 80 에서 시작하여 분당 5Q씩 250P까지 승온하였으며, 25013에서 10분간 유지하였다. 운반체는 He 가스를 사용하였으며, 유속은 0.8 ml/min로 분석하였다.
이론/모형
SOD 활성은 McCord와 Fridovich(1969)의 방법에 따라 xanthine/xanthine oxydase system을 superoxide radicals의 공급원으로 이용하여 superoxide radicals 에 의한 cytochrome c의 환원 속도를 550 m에서 의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SOD 활성 1 unit는 25에서 반응을 시작하여 150초간 550 rnn에서 흡광도 변화를 조사하여 xanthine oxidase 활성이 50% 억제 되는것으로 정의하였다.
성능/효과
담쟁이덩굴의 각 부위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을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방법에 의한 활성을 측정한 결과( Table 1), 잎과 뿌리의 활성은 각각 7.57,7.38 (mg/kg)로 줄기 의 19.7 (mg/kg)에 비해 약 2.5배 이상 높았다.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법은 많은 식물 추출물들의 항산화력의 측정에 이용되는데 항 산화제가 안정한 l, l-diphenyl-2-picrylhydrazine (Cotelle 등, 1996; Smith 등, 1987)으로 변환되는 반응 을 이용한 것이다 .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항산화 활성 이 가장 높은 분획을 GC/MS로 분석한 결과( Table 3), Benzoic acid(Gallic acid), benzene, phloroglucinol, 1, 2-dihydroxy-4-( 1 -propyl)benzene 등의 페놀성 화합 물을 분리 동정 하였다.잎의 S-4 분획에는 Xanthosine, Pentanoic acid, 1H-Indole 그리고 N, N'- Dicyclohexylformamidine0] 존재하였고 줄기의 S - 4 분획에서 Benzene, 뿌리의 S-3 분획에서는 2- butenoic acid, pyrazinecarboxamide, propylamine의 물질이 각 분획간에 존재하여 부위간 물질의 차이를 보였다.
잎의 S-4 분획에는 Xanthosine, Pentanoic acid, 1H-Indole 그리고 N, N'- Dicyclohexylformamidine0] 존재하였고 줄기의 S - 4 분획에서 Benzene, 뿌리의 S-3 분획에서는 2- butenoic acid, pyrazinecarboxamide, propylamine의 물질이 각 분획간에 존재하여 부위간 물질의 차이를 보였다. phloroolucinol과 1, 2-Dihydroxy-4-( 1 -propyl) benzenee 전부위에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가장 활성이 높은 분획을 SephadexTM LH-20 column chroma- tography로 정제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해본 결과 ( Table 4), 잎, 줄기 그리고 뿌리에서 매우 활성이 높은 분획을 얻었으며 특히, 뿌리에서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분획의 12.39 mg/kg보다 2.3배 높은 활성 분획을 얻었다.
부위별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분획을 GC/MS로 분석하여 성분을 분리 동정한 결과( Table 5). 주요 구성물질로 각 부위의 분획별 2~3개의 성분이 분리되었으며 조사된 전부위에서 Benzoic acid 가 분리 동정 되었다. 잎과 줄기에서 4-amino-Benzenemethanol과 123-Benzenetrio이 각각 존재하였으며 뿌리에서는 두 물질 모두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요 구성물질로 각 부위의 분획별 2~3개의 성분이 분리되었으며 조사된 전부위에서 Benzoic acid 가 분리 동정 되었다. 잎과 줄기에서 4-amino-Benzenemethanol과 123-Benzenetrio이 각각 존재하였으며 뿌리에서는 두 물질 모두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페놀성 화합물은 과일이나 채소의 분해시와 녹차, 홍차 및 wine에서 보통 발견되는 화합물로서 항세균, 항알레르기, 항종양 그리고 항암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Vijaya 등, 1995; Ohmori 등, 1995) 특히, 퇴행성 질병의 발병 빈도를 저하시키고(Goldbohm 등, 1996: Hertog, 1996) 실험적 증거에 의하여 인간의 건강증 진을 위하여 천연생리 화학적 항산화 물질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Halliwell, 1996; Serafini 등, 1996; Sadzuka 등, 1996; Stoner와 Mykhtar, 1995).
Benzoic acid(gallic acid), BHA, BHT, ascorbic acid와 flavonoids들과 같은 항산화물질은 강력한 free radical scavenging 활성을 나타내 며 , Benzoic acid, ascorbic acid와 페놀계 화합물인 flavonoids는 천연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항산화물질이다. 따라서 본 결과에서 검출된 페놀계 화합물인 Benzoic acid, 1, 2, 3-Benzenetriol 그리고 4-amino- Benzenemethano 담쟁이덩굴의 항산화 활성 정도 에 매우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각 부위별 물질들의 차이는 부위별 구성성분의 차이 및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의 spot위치 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되며 endogenous 비효소적 항산 화제들은 extracellular와 intracellular 활성 산소종에 대해 주요 방어를 할 것으로 유추되어진다.
식물 생체시 료로부터 POD, SOD 활성을 측정한 결과( Table 6), POD 활성은 뿌리와 줄기에서 약 0.85 unit mg/protein으로 비슷하였으나, 잎에서는 거의 활성 이 나타나지 않았다. SOD 활성은 잎, 줄기, 뿌리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잎은 뿌리보다 2배 이상의 높은 활성을 보였다.
85 unit mg/protein으로 비슷하였으나, 잎에서는 거의 활성 이 나타나지 않았다. SOD 활성은 잎, 줄기, 뿌리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잎은 뿌리보다 2배 이상의 높은 활성을 보였다.
각 부위에 대한 POD의 활성은 SOD의 활성에 비례 하지 않았으며 또한,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POD 그리고 SOD의 활성은 뿌리에서 만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와 POD이 활성이 가장 높았고 전체적으로 POD, SOD의 활성과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는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