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서관에서의 지적자유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저해하는 사례 연구 - 미국의 경우를 중심으로 -
A Preliminary Study on Intellectual Freedom in American Libraries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 = The journa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12 no.2, 2001년, pp.141 - 162  

이명희 (상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도서관의 철학적 기초를 이루고 있는 지적자유의 근간이 되는 표현의 자유에 관한 서구의 제이론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표현의 자유가 어떻게 규제되는지를 음란물의 판단 기준에 대한 미국 대법원의 판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판례가 도서관에서의 지적자유와 어떤 관계에 있는지를 살펴보고, 도서관에서의 지적자유를 지키기 위한 노력과 또한 상충되는 판례를 살펴보았다. 특히 인터넷에서의 음란물의 규정과 이를 규제하기 위한 검열기능인 PICS의 배경과 이를 뒷받침하는 통신품위법II 등에 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s on“Intellectual Freedom”based on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library user services in Western countries. Particularly, this paper pursues to the philosophical foundations of“the freedom of expression”. It also studies how“the freedom of expression”was restrained by pursuing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러한 시도는 한편으로 국민의 정당한 정보접 근권에 대한 침해와 권력적 개입에 의한 통신상의 검열이라는 역기능적 측면이 부각되지만 긍정적인 면도 없지 않아서 정보이용에 대한 윤리적 지침을 확인할 수 있는 과정으로서 도서관 정보봉사의 진로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사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통신 품위법을 비롯한 인터넷 정보에 대한 검열입법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도서관 봉사의 이론적 근간을 이루고 있는 지적자유의 철학적 근거들을 미국을 중 심으로 한 표현의 자유에 대한 이론과 이들이 제한되는 경우의 법이론을 살펴보았다. 또한 표현의 자유와 상충되는 음란물의 규정에 대한 미국 연방대법원의 판례와 도서관에서의 검열에 대한 지적자유를 고양하기 위한 노력과 유해음란물로부터의 청소년을 보호하기 위한 대처방 안 등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도서관 본래의 목적과 기능에 대한 철학적 기반을 명확히 함으로써 도서관 활동과 관련하여 직면하는 개별문제에 대한 올바른 대처능력을 배양하고 이후의 도서관 활동에 대한 구체적인 실천지침을 구하는데 연구의 필요성 및 의미를 두고자 한다.
  • 연구의 내용으로는 미국을 중심으로 한 표현의 자유에 대한 이론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표현의 자유가 어떤 경우에 제한되었는지를 미국의 다양한 법 이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표현의 자유와 상충되는 음란물의 규정이 시대의 변천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지를 미국 연방대법원의 판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런 시대적 상황에 따라 도서관에서는 검열로부터 지적자유를 고양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였으며, 유해음란물로부터 청소년을 보호하기 위해 어떻게 대처하여 왔는지, 특히 인터 넷이 범람하는 현대 사회에서 음란물로부터 아동들을 보호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모색해보았다.
  • 본 연구는 도서관 봉사의 이론적 근간을 이루고 있는 지적자유의 철학적 근거들을 미국을 중 심으로 한 표현의 자유에 대한 이론과 이들이 제한되는 경우의 법이론을 살펴보았다. 또한 표현의 자유와 상충되는 음란물의 규정에 대한 미국 연방대법원의 판례와 도서관에서의 검열에 대한 지적자유를 고양하기 위한 노력과 유해음란물로부터의 청소년을 보호하기 위한 대처방 안 등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 본 연구는 도서관 봉사의 이론적 근간을 이루고 있는 지적자유의 철학적 근거들을 살펴보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내용으로는 미국을 중심으로 한 표현의 자유에 대한 이론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표현의 자유가 어떤 경우에 제한되었는지를 미국의 다양한 법 이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 이런 시대적 상황에 따라 도서관에서는 검열로부터 지적자유를 고양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였으며, 유해음란물로부터 청소년을 보호하기 위해 어떻게 대처하여 왔는지, 특히 인터 넷이 범람하는 현대 사회에서 음란물로부터 아동들을 보호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모색해보았다. 뿐만 아니라 실제 도서관에서의 지 적자유가 상충된 사례를 대법원의 판례를 중심 으로 보여주고, 특히 유해음란물 필터링 여과장치인 PICS에 대한 도서관의 입장과 통신품위법 (CDAll)에 대한 도서관의 견해도 살펴보았다.
  • 또한 표현의 자유와 상충되는 음란물의 규정이 시대의 변천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지를 미국 연방대법원의 판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런 시대적 상황에 따라 도서관에서는 검열로부터 지적자유를 고양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였으며, 유해음란물로부터 청소년을 보호하기 위해 어떻게 대처하여 왔는지, 특히 인터 넷이 범람하는 현대 사회에서 음란물로부터 아동들을 보호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모색해보았다. 뿐만 아니라 실제 도서관에서의 지 적자유가 상충된 사례를 대법원의 판례를 중심 으로 보여주고, 특히 유해음란물 필터링 여과장치인 PICS에 대한 도서관의 입장과 통신품위법 (CDAll)에 대한 도서관의 견해도 살펴보았다.
  • 또한 표현의 자유와 상충되는 음란물의 규정에 대한 미국 연방대법원의 판례와 도서관에서의 검열에 대한 지적자유를 고양하기 위한 노력과 유해음란물로부터의 청소년을 보호하기 위한 대처방 안 등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도서관 본래의 목적과 기능에 대한 철학적 기반을 명확히 함으로써 도서관 활동과 관련하여 직면하는 개별문제에 대한 올바른 대처능력을 배양하고 이후의 도서관 활동에 대한 구체적인 실천지침을 구하는데 연구의 필요성 및 의미를 두고자 한다. 특히 지적자유원리의 고양을 통해서 도서 관 봉사이념의 기반원리를 명확히 함으로써 도서관 문화의 탄탄한 지적 토양의 배양에 작은 도움이 되고자 하는 시도에서 이 연구를 수행하 였다.
  • 이를 통해 도서관 본래의 목적과 기능에 대한 철학적 기반을 명확히 함으로써 도서관 활동과 관련하여 직면하는 개별문제에 대한 올바른 대처능력을 배양하고 이후의 도서관 활동에 대한 구체적인 실천지침을 구하는데 연구의 필요성 및 의미를 두고자 한다. 특히 지적자유원리의 고양을 통해서 도서 관 봉사이념의 기반원리를 명확히 함으로써 도서관 문화의 탄탄한 지적 토양의 배양에 작은 도움이 되고자 하는 시도에서 이 연구를 수행하 였다.

가설 설정

  • 대법관의 판결문 요지는 3가지로 나뉘어진다. 1) 작품이나 자료의 지배적인 테마가 현재사회의 평균적인 보통 사람들에게 색욕적인 흥미를 자극할 때, 2) 현재사회의 기준을 명백히 침해하는 성적자극물이 어야 한다. 3) 음란으로 판정되는 성적자극물은 “보상할만한 사회적인 가치가 전혀 없는 것, 이어야 한다.
  •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미국과 구소련을 중심으로 한 냉전시대와 1950년대 한국전쟁과 메카시 논쟁 등이 불을 붙었던 50년대는 이러한 이념논쟁 이 절정에 달했던 시기이고, 도서관에서의 검열도 극해 달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종교적인 이른바 이단서적이다. 특히 미국의 남부지방에서 강했던 기독교의 교파 중 근본주의를 표방했 던 남침례교를 중심으로 종교적 탄압이 극심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