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서개발에 있어서 지적자유의 문제
Intellectual Freedom Issues in Library Collection Development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2 no.1, 2011년, pp.165 - 182  

장덕현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글은 장서문제를 중심으로 지적자유의 의의를 고찰하고 관련 사례를 일별하여 도서관 장서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 연구의 결과물이다. 최근 여러 사례를 통해 지적자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데 반하여 우리나라에서의 관련 논의는 많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정보서비스 현장에서 관찰되는 지적자유의 의의와 사례들을 바탕으로 지적자유를 보장하기 위한 노력의 다양한 측면들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자유 즉, 사상과 표현의 자유의 개념, 공권력에 의한 정보독점과 정보통제의 문제, 그리고 이에 대한 접근권을 요구하는 알권리의 개념 등 제도적 장치와 도서관계의 노력들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특히 현대 정보사회에 있어서 지적자유란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살펴보고 관련 문건과 정책문서 등을 통해 세계적 흐름에서 지적자유의 문제를 조망하고 우리 도서관계에 암시하는 바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ttempts to portray the issues of intellectual freedom that confront librarians in developing collections in libraries. It is observed that the issue has hardly been drawn attention in Korea while, from various cases, concerns about intellectual freedom have been increased in many countri...

주제어

참고문헌 (40)

  1. 장덕현, "지적자유와 도서관 : IFLA/FAIFE 활동을 중심으로," 도서관문화, 제42권, 제6호(2001. 12), pp.42-46. 

  2. G. Edward Evans and Margaret Z. Saponaro, Developing Library and Information Center Collections(Westport, CT. : Libraries Unlimited, 2005), p.410. 

  3. ALA, "Intellectual Freedom/Censorship," [cited 2011. 1. 5]. 

  4. 정현태,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지적자유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4권, 제1호(2000), p.244. 

  5. 정현태, 공공도서관의 지적자유(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2002), p.11. 

  6. Theo J. Bothma, 2010 IFLA World Report, [cited 2011. 1. 7]. 

  7. The Freedom to Read Statement, [cited 2011. 1. 19]. 

  8. IFLA. "Intellectual Freedom Statements", [cited 2011. 2. 20]. 

  9. ALIA Intellectual Freedom Statements, [cited 2011. 2. 20]. 

  10. 日本?書館協?, ?書館の自由に?する宣言, [cited 2011. 2. 20]. 

  11. EU International Right to Know Day, [cited 2011. 2. 11]. 

  12. Lester Asheim, "Not Censorship but Selection," Wilson Library Bulletin, Vol.28(1953), pp.63-67. 

  13. Francine Fialkoff, "Selection not Censorship," Library Journal(May 15, 2004), p.69. 

  14. 이명희, "도서관에서의 지적자유 수호를 위한 노력과 금서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15권, 제1호(2004), p.195. 

  15. 니컬러스 J. 캐롤리드스 등, 100권의 금서 : 금지된 책의 문화사, 손희승 역(서울 : 예담, 2006), pp.580-58. 

  16. 이명희, "도서관에서의 지적자유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저해하는 사례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12권, 제2호(2001), p.149. 

  17. Judith Krug, "ALA and Intellectual Freedom : A Historical Overview," Intellectual Freedom Manual, 7th ed, (Chicago : ALA, 2006), p.18. 

  18. 호주 기독교 대학, 해리포터 금지. YTN 2003. 7. 2. 

  19. 이명희, "도서관에서의 지적자유 수호를 위한 노력과 금서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15권, 제1호(2004), pp.206-207. 

  20. 한겨레신문, '다빈치코드 반대와 표현의 자유'(2006. 4. 11), [cited 2011. 2. 11]. 

  21. 니컬러스 J. 캐롤리드스 등, 100권의 금서 : 금지된 책의 문화사, 손희승 역(서울 : 예담, 2006), pp.592-596. 

  22. "Mom wants to ban, burn 'Bunny Suicides'," [cited 2011. 2. 10]. 

  23. "And Tango Makes Three," [cited 2011. 2. 11]. 

  24. Banned Books Week : Celebrating the Freedom to Read, [cited 2011. 2. 11]. 

  25. Top ten most frequently challenged books of 2009, [cited 2011. 1. 21]. 

  26. Number of Challenges by Year, Reason, Initiator & Institution(1990-2009), [cited 2011. 1. 22]. 

  27. CLA Advisory Committee on Intellectual Freedom. Annual survey of challenges to library resources and policies in Canada for 2009, [cited 2011. 1. 15]. 

  28. CPPA, COPA, CIPA : Which Is Which? [cited 2011. 1. 22]. 

  29. Why the Library of Congress Is Blocking Wikileaks, . 

  30. Blocking Access to Wikileaks May Harm CRS, Analysts Say, [cited 2011. 1. 6]. 

  31. 김영기,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장서형성의 사회사(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1999), p.118. 

  32. 김영기,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장서형성의 사회사(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1999), pp.105-111. 

  33. 이명희, "도서관에서의 지적자유 수호를 위한 노력과 금서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15권, 제1호(2004), pp.202-204. 

  34. 오마이뉴스(2004. 5. 24). 

  35. 한국일보(2010. 10. 29). 

  36. 정현태, 공공도서관의 지적자유(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2002), pp.62-63. 

  37. ALA. Intellectual Freedom Manual. 7th ed. (Chicago, ALA, 2006). 

  38. 국립중앙도서관 장서개발정책, [cited 2011. 2. 22]. 

  39. 윤희윤, 장덕현. "국가도서관장서개발정책 수립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1권, 제4호(2010), pp.107-122. 

  40. The Freedom to Read Statement, [cited 2011. 1. 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