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적자유와 도서관 장서검열 문제의 현장 인식과 과제
A Field Perception and Agenda of Intellectual Freedom and Censorship Issues in Library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6 no.2, 2022년, pp.277 - 294  

배경재 (동덕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본 연구는 최근 발생하고 있는 도서관 장서검열 문제 사례를 유형화하여 분석하고, 도서관 장서검열 주제에 대한 도서관계의 현장 인식을 분석하여 갈등상황을 조정하기 위한 과제를 찾기 위해 수행되었다. 따라서 최근의 장서검열 문제 사례를 정치적 이슈, 법률적 이슈, 선정성 이슈, 성범죄 이슈의 4가지 범주로 유형화하였으며 이에 대한 도서관계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성범죄 관련 장서 열람 제한 조치가 장서검열이 아니라고 답하거나, 판단하기 어렵다고 답한 응답자의 비율이 총 44.5%로 해당 이슈를 장서검열로 쉽게 결정을 내릴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는 인식을 보여주었다. 한편 사서 대상 설문조사 결과, 도서관 현장에서 다양한 이유로 수서제한 또는 열람제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었으며, 결국 일체의 검열에 반대한다는 도서관 윤리선언과의 괴리를 나타내어 향후 이와 같은 갈등을 조정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a task to adjust the conflict situation by categorizing and analyzing the recent cases of library book censorship and analyzing the field perception on the subject of library book censorship. Therefore, recent cases of book censorship were categorized into four categ...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18)

  1. Kim, Seon-Ho (2020). Librarianship's political neutrality: inaction and critique. Kore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28(3), 1-22.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821139 

  2. Park, Jeong-hoon (2020.11.25.). The reason why 'I am Ji-eun Kim' were rejected by the public library. Ohmynews, Available: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696604&CMPT_CDP0010&utm_sourcenaver&utm_mediumnewsearch&utm_campaignnaver_news 

  3. Park, Juhyeon (2014). Problem of Agenda in Internet Journalism. Seoul: Communicationbooks. 

  4. Park, Hyeseon & Kim, Giyeong (2016).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self-censorship in selection in elementary school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3(3), 239-262. https://doi.org/10.3743/KOSIM.2016.33.3.239 

  5. Seoul Metropolitan Library (2021. 04. 12.). Seoul Metropolitan Library's response to citizens' opinions on reading The birth of a tragedy(written by Son, Byeonggwan). Available: https://lib.seoul.go.kr/bbs/content/1_50835 

  6. Seongbuk Public Library (2021.02.17.). Seongbuk Public Library restricts access to all books that Ye-chan Han participated in. Available: https://www.sblib.seoul.kr/library/20001/bbsArticleDetail.do?bbsArticleIdx209239 

  7.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n.d.]. Children's book education and culture project that seeks out the self. Available: http://www.mogef.go.kr/sp/geq/sp_geq_f015.do 

  8. Lee, Myeong-Hee (2004). Libraries' efforts to preserve intellectual freedom and baned book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5(1), 193-216.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138350 

  9. Lee, Seohyeon (2017). A study on PR activities of banned books week of the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focusing on challenged books. Studies of Korean Science, 43(4), 187-230. 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Detail.laf?barcode4010026114832 

  10. Chang, Durk Hyun (2011). Intellectual freedom issues in library collection development.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1), 165-182. https://www.kci.go.kr/kciportal/landing/article.kci?arti_idART001539915 

  11. Jeon, Gwangjun (2020.09.12.). "Sensational, homosexual bias"?...'Nadaum Children's Books' Became Library Banned. Hankyoreh, Available: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961864.html 

  12. Joung, Hyun-Tae (2000). A study on the intellectual freedom in Korea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4(1), 243-264.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0030360542142.page 

  13.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2007, May 29). Intellectual Freedom and Censorship Q & A.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Available: https://www.ala.org/advocacy/intfreedom/censorship/faq#ifpoint1 

  14. Asheim, Lester (1953). Not Censorship But Selection. Wilson Library Bulletin, 28 (September 1953), 63-67. 

  15. A City (2018.12.31.). Specific audit of lifelong education center Revealing the results. Available: https://www.anyang.go.kr/main/selectBbsNttView.do?key219&bbsNo44&nttNo13570&searchCtgry&searchKrwd&pageIndex5&integrDeptCode 

  16. BBC. (2020). Hong Kong Security Law: Pro-Democracy Books Pulled from Libraries. (2020, July 5). BBC, Available: https://www.bbc.com/news/world-asia-china-53296810 

  17. Child molestation charges, fairy tale writer's second trial, suspended. (2021. 05. 26.). JTBC, Available: https://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2007075 

  18. Moreillon, (2020). Judi. Censorship versus Selection and Alternatives to American Dirt. (2020, February 24). Available: http://www.schoollibrarianleadership.com/2020/02/24/censorship-versus-selection-and-alternatives-to-american-dirt/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