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닐하우스 재배 딸기에서 점박이응애의 발생
Occurrences of Two-spotted Spider Mite on Strawberry in Commercial Vinyl Greenhouses

Korean journal of entomology = 한국곤충학회지, v.31 no.2, 2001년, pp.139 - 142  

김용헌 (농업과학기술원 농업해충과) ,  김정환 (농업과학기술원 농업해충과) ,  박상구 (논산시농업기술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딸기 주산지인 논산, 담양, 밀양의 시설 재배 농가 포장에서 점박이응애의 발생을 조사하였다. 점박이응애는 재배 초기인 10월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였으며, 겨울에도 밀도가 증가하였다. 각 지역 중 농약을 살포하면서 가장 밀도가 높았던 포장에서 점박이응애의 단엽 당 최고밀도는 논산지역이 1월 15일 19.0마리, 담양지역이 3월 19일 21.4마리, 밀양지역이 2월 24일 3.3마리였으며, 그리고 최고의 피해엽율은 논산지역이 2월 6일 96%, 담양지역이 3월 9일 33%, 밀양지역이 1998년 12월 29일 35%였다. 점박이응애는 초기 밀도가 높으면 농약을 살포할지라도 계속적으로 밀도가 높았으나 초기 밀도가 낮으면 3~5월의 수확시기까지 낮은 밀도를 유지했다. 약제방제 효과는 점박이응애의 밀도가 낮은 포장이 높은 포장에서 보다 효과가 있었으며 abamectin은 tebufenpyyad보다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pulation dynamics of Tetranychus urticae Koch studied on commercial strawberry at three locations; Nonsan, Damyang, and Milyang in Korea. The populations of T. urticae occurred from early developmental stage of strawberry (on October), and even in the winter season. The highest numbers of mobile T...

주제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