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 및 과학기술자를 소재로 TV에서 방영된 드라마 카이스트'를 비정규 과학학습의 관점에서 평가하기 위해 드라마 '카이스트'가 학생들에게 미친 영향과 이에 대한 교사들의 평가를 조사하였다. 드라마 '카이스트'는 컴퓨터, 로봇축구, 우리별과 같은 소재를 이용하여 과학기술과 과학기술자들의 생활을 묘사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켰으며, 과학기술자에 대해 학생들이 평소에 생각하던 것과 다른 이미지를 제시했고, 특히 과학기술자 과학기술 전반, 과학기술의 사회성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켜 비정규 과학학습의 소재로서 대체로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교사들은 드라마 '카이스트'가 과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였지만, 비현실적인 내용을 다루거나 과학자의 천재성을 부각하는 것은 잠재적으로 부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흥미위주에서 탈피하여 실패와 좌절을 겪는 평범한 과학자의 모습을 제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평가하였다.
과학기술 및 과학기술자를 소재로 TV에서 방영된 드라마 카이스트'를 비정규 과학학습의 관점에서 평가하기 위해 드라마 '카이스트'가 학생들에게 미친 영향과 이에 대한 교사들의 평가를 조사하였다. 드라마 '카이스트'는 컴퓨터, 로봇축구, 우리별과 같은 소재를 이용하여 과학기술과 과학기술자들의 생활을 묘사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켰으며, 과학기술자에 대해 학생들이 평소에 생각하던 것과 다른 이미지를 제시했고, 특히 과학기술자 과학기술 전반, 과학기술의 사회성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켜 비정규 과학학습의 소재로서 대체로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교사들은 드라마 '카이스트'가 과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였지만, 비현실적인 내용을 다루거나 과학자의 천재성을 부각하는 것은 잠재적으로 부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흥미위주에서 탈피하여 실패와 좌절을 겪는 평범한 과학자의 모습을 제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평가하였다.
KAIST' is the TV drama which has portrayed modem science & technology and the life of scientists & engineers for about one and half ye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raise the drama 'KAIST' as an informal science learning. Using the interesting materials such as soccer robots, computer system...
KAIST' is the TV drama which has portrayed modem science & technology and the life of scientists & engineers for about one and half ye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raise the drama 'KAIST' as an informal science learning. Using the interesting materials such as soccer robots, computer systems and satellites, the drama arouse students' interest and frequent watching. In general, the drama 'KAIST', as a source for informal science learning, played a positive role: it showed the image of scientists who have humane and sociable character being different from the students' image of real scientists, and changed positively the students' science-technology related attitudes, especially the attitudes towards scientists/engineers, science/technology, and the social nature of science/technology. Teachers commented that the drama 'KAIST' might arose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but the made-up contents and the genius-like characters could cause negative educational effects.
KAIST' is the TV drama which has portrayed modem science & technology and the life of scientists & engineers for about one and half ye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raise the drama 'KAIST' as an informal science learning. Using the interesting materials such as soccer robots, computer systems and satellites, the drama arouse students' interest and frequent watching. In general, the drama 'KAIST', as a source for informal science learning, played a positive role: it showed the image of scientists who have humane and sociable character being different from the students' image of real scientists, and changed positively the students' science-technology related attitudes, especially the attitudes towards scientists/engineers, science/technology, and the social nature of science/technology. Teachers commented that the drama 'KAIST' might arose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but the made-up contents and the genius-like characters could cause negative educational effect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과학기술 및 과학기술자를 소재로 TV에서 방영된 드라마 '카이스트 를 비정규 과학학습의 관점에서 평가하기 위해 드라마 '카이스트'가 학생들에게 미친 영향과 이에 대한 교사들의 평가를 조사하였다. 드라마 '카이스트'는 컴퓨터, 로봇축구, 우리별과 같은 소재를 이용하여 과학기술과 과학기술자들의 생활을 묘사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켰으며, 과학기술자에 대해 학생들이 평소에 생각하던 것과 다른 이미지를 제시했고 특히 과학기술자, 과학기술 전반, 과학기술의 사회성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 시켜 비정규 과학학습의 소재로서 대체로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를 위해 드라마 '카이스트'가 학생에게 미친 영향과 이에 대한 교사의 평가를 분석하였다. 드라마 '카이스트'가 학생에게 준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학생들의 시청 실태와 이유가 무엇이고, 드라마가 보여주는 과학기술과 과학기술자에 대해 학생들은 어떤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지, 학생들의 과학기술 관련 태도 변화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조사하고. 교사가 과학교육 측면에서 드라마 '카이스트'의 장단점을 어떻게 평가하는지 조사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기술과 과학기술자의생활을 소재로 한 드라마 '카이스트 를 비정규 과학학습의 관점에서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드라마 '카이스트'가 학생에게 미친 영향과 이에 대한 교사의 평가를 분석하였다.
제안 방법
관점에서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드라마 '카이스트'가 학생에게 미친 영향과 이에 대한 교사의 평가를 분석하였다. 드라마 '카이스트'가 학생에게 준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학생들의 시청 실태와 이유가 무엇이고, 드라마가 보여주는 과학기술과 과학기술자에 대해 학생들은 어떤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지, 학생들의 과학기술 관련 태도 변화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조사하고.
드라마 '카이스트'가 학생에게 준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학생들의 시청 실태와 이유가 무엇이고, 드라마가 보여주는 과학기술과 과학기술자에 대해 학생들은 어떤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지, 학생들의 과학기술 관련 태도 변화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조사하고. 교사가 과학교육 측면에서 드라마 '카이스트'의 장단점을 어떻게 평가하는지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지역, 학교급, 성별을 고려한 다단계유층군집표집법을 통해 34개 초 . 중 .
본 연구에 사용된 학생용과 교사용 설문지는 연구진이 개발한 것으로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전문가의 안면타당도를 구하고 예비 검사를 실시하여 수정 보완하였다.
되어있다. 첫째, 시청 실태는 시청빈도와 자주 시청하는 이유를 조사하였고, 이 중 자주 시청하는 이유는 예비 검사를 통해 정리된 11가지 예를 제시하고 3가지를 중복 선택하게 하였다. 둘째, 드라마에 나오는 과학기술 및 과학기술자에 대한 이미지와 실제 과학기술 및 기술자에 대한 이미지를 조사하기 위해 대비적 서술어를 제시하는 5점 척도의 의미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첫째, 시청 실태는 시청빈도와 자주 시청하는 이유를 조사하였고, 이 중 자주 시청하는 이유는 예비 검사를 통해 정리된 11가지 예를 제시하고 3가지를 중복 선택하게 하였다. 둘째, 드라마에 나오는 과학기술 및 과학기술자에 대한 이미지와 실제 과학기술 및 기술자에 대한 이미지를 조사하기 위해 대비적 서술어를 제시하는 5점 척도의 의미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셋째, 드라마를 시청한 학생들이 과학기술 관련 태도에 변화가 있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태도 변화 여부를 학생들에게 직접 질문하였다.
둘째, 드라마에 나오는 과학기술 및 과학기술자에 대한 이미지와 실제 과학기술 및 기술자에 대한 이미지를 조사하기 위해 대비적 서술어를 제시하는 5점 척도의 의미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셋째, 드라마를 시청한 학생들이 과학기술 관련 태도에 변화가 있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태도 변화 여부를 학생들에게 직접 질문하였다. 이는 본연구의 특성상 사전, 사후를 비교하는 것이 불가능하였기 때문이다.
성별(남/여). 과학 성적(상/중/하), 장래 회망(과학 관련 많음/적음), 부모의 학력(중졸/고졸/대졸), 부모의 직업(과학과 관련 많음/적음)을 조사하였다.
교사용 설문은 주관식 4항목을 포함하여 총 20항목으로 그 내용은 드라마 '카이스트 의 시청 실태와 수업 활용 실태, 드라마 '카이스트'가 학생들에게 줄 영향, 드라마 '카이스트'에 대한 과학교육자로서 평가이다 교사의 배경 변인으로는 성별, 거주지, 교직경력, 재직학교, 전공을 조사하였다.
드라마 '카이스트'를 자주 시청하는 것으로 분류된학생 698명의 응답지를 분석하여 드라마에 나타난과학기술과 실제의 과학기술에 대해 이미지를 조사하였다. 각 항목별 평균값은 [Table 5]와 같다(1점이가장 부정적이고 5점이 가장 긍정적이며, 3점은 중립을 나타낸다).
과학기술 관련 태도 변화 측정을 위해 여섯 개의범주별로 2~4개의 문항을 개발하였다. 범주별로 하나씩 예를 들면, 과학기술 전반에 대한 태도 범주 (C1)로 '드라마 카이스트를 시청하면서(이하 생략) 과학기술이 우리 생활에 도움이 되는 학문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학교 과학학습에 대한 태도 범주(C6)로 '학교에서 배운 과학 내용에 흥미가 생겼다 등이다. 그리고, 각 문항별로 변화정도를 5단계 리커트 척도(매우 아니다/아니다/보통이다/그렇다/매우 그렇다)로 응답하게 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긍정적 태도변화가 있었음을 나타낸다.
대상 데이터
중 . 고등학교를 선정하고 학생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했다. 설문은 2000년 7월에 실시되었고, 학생 1, 192명과교사 114명으로부터 응답지를 회수할 수 있었다.
고등학교를 선정하고 학생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했다. 설문은 2000년 7월에 실시되었고, 학생 1, 192명과교사 114명으로부터 응답지를 회수할 수 있었다. 이학생들의 학년별, 성별 분포는 [Table 1]과 같다.
같다. 매주 시청한다고 응답한 학생의 비율이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2학년,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으로 갈수록 감소하였고, 초둥학생의 시청률이 두드러지게 높았다 또한 과학 고등학교 학생들이 매주시청하는 비율이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들보다 높았다.
중 . 고등학교 학생 1192명과 교사 1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다. 설문에 응한 학생들 59%가 한 달에 한두 번 이상 드라마 '카이스트'를 시청 하였고.
데이터처리
연구 결과는 SPSS/PC+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고, 서술형 항목은 응답을 범주화하여 부호화한 뒤 같은 프로그램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성능/효과
이는 본연구의 특성상 사전, 사후를 비교하는 것이 불가능하였기 때문이다. 넷째, 과학기술 관련 태도는 여섯 개의 범주로 조사하였는데 각각 과학기술 전반에 대한 태도(C1), 과학기술자에 대한 태도(C2), 과학기술자의 특수성에 대한 태도(C3), 과학기술 관련 진로에 대한 태도(C4), 과학기술의 사회성에 대한 태도(C5), 학교 과학학습에 대한 태도(C6)이다. 학생의 배경 변인으로는 학년(초/중/일반고/과학고).
과학성적 상위권 학생들은 드라마에 나오는 장치나, 카이스트 대학, 과학에 대한 흥미와 같이 과학 관련 요인에 의해 더 영향을 받는 반면, 과학성적 하위권 학생들은 대학생들의 생활, 출연하는 배우와 같이 과학 비관련 요인에 더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과학 성적의 차이에 관계없이 그리고 장래 회망의 차이에 관계없이 '드라마에 나오는 장치에관심이 있어서' 항목이 공통적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나타내어 컴퓨터나 로봇 축구와 같은 과학기술관련소재가 많은 관심 대상임을 알 수 있었다.
학생들이 드라마의 과학기술과 실제의 과학기술에 대해 지닌 이미지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는데, [Fig. 1]과 [Table 5]에서 보듯이 4번 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O5). 학생들은 드라마에서 보여주는 과학기술이 실제 과학기술에 비해 좀더 이해하기 쉽고 여러 사람의 노력이 필요하지만.
01). 전체적으로 보면 학생들은 드라마에 보여주는 과학기술자가 실제 과학기술자에 비해 좀더 이해심이 많고, 주위사람들과 잘 어울리고, 인간적이지만, 실제 과학기술자보다 덜 꼼꼼하고. 고생하지 않2, 사회발전에 기여하지 않는다고 생각하였다 두드러진 차이를 보면 드라마 '카이스트는 평소 학생들이 과학기술자에 대해 가졌던 이미지에 비해 덤벙거리고(1번).
점수가 높을수록 긍정적 태도변화가 있었음을 나타낸다. 각 범주별로 문항의 내적 합치도인크론바하 알파계수를 구한 결과 각각 0.74, 0.61, 0.58, 0.66, 0.77, 0.73으로 나와 대체로 만족할만한 값을 나타났다
하위(L)로 나누어 과학기술 관련 태도변화 분석한 결과 상위권 학생이 전 범주에 걸쳐 긍정적 태도변화가 컸다. 장래 회망을 과학기술과 관련이 많은 직업(SR)과 관련이 적은 직업(WR)으로 나누었을 때, 과학기술자의 특수성에 대한 태도를 제외한 전 범주에 걸쳐 과학기술 관련 직업 장래회망을가진 학생이 긍정적 태도 변화가 컸다.
부모 배경 변인으로 아버지, 어머니 직업의 과학기술 관련 여부 아버지, 어머니 학력 수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아버지와 어머니 학력이 과학기술 전반에 대한 태도, 과학기술 관련 진로에 대한 태도 학교 과학학습 태도에 대한 태도 변화에 차이를 준 것으로 나타났다
배경 변인별로 살펴보면 학년. 성별, 과학성적, 장래희망의 과학기술 관련성은 드라마 카이스트 시청 후 거의 모든 범주에 걸쳐 과학기술 관련 태도 변화에 의미 있는 차이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생보다는 초등학생이,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중하위권 학생보다는 상위권 학생들이 보다 긍정적인 태도 변화를 보였다.
성별, 과학성적, 장래희망의 과학기술 관련성은 드라마 카이스트 시청 후 거의 모든 범주에 걸쳐 과학기술 관련 태도 변화에 의미 있는 차이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생보다는 초등학생이,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중하위권 학생보다는 상위권 학생들이 보다 긍정적인 태도 변화를 보였다. 또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과학기술 전반에 대한 태도 과학기술 관련 진로에 대한 태도 학교 과학학습에 대한 태도 변화가 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생보다는 초등학생이,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중하위권 학생보다는 상위권 학생들이 보다 긍정적인 태도 변화를 보였다. 또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과학기술 전반에 대한 태도 과학기술 관련 진로에 대한 태도 학교 과학학습에 대한 태도 변화가 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에 응한 교사 114명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한 달에 한두 번 이상 시청하는 교사가 39%이고 전혀 보지 않는 경우도 29%나 되어, 학생들에 비해 시청 빈도가 매우 낮았다. 시청 방식은 응답자의 3분의 1 정도가 처음부터 끝까지 시청하는 반면, 3분의 1 정도는 부분적으로 시 청 하였다.
설문에 응한 학생들 59%가 한 달에 한두 번 이상 드라마 '카이스트'를 시청 하였고. 중등 학생보다는 초등학생이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장래희망이 과학과 관련이 많을수록, 어머니의 직업이 과학과 관련이 있을수록 자주 시청하는 빈도가 높았다. 드라마 '카이스트'를 자주 시청하는 이유 중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드라마에 나오는 장치에 관심이 있어서'였다.
실제 과학기술에 대한 이미지도 이와 비숫하여 드라마 '카이스트'는 학생들이 평소 과학기술에 대해 지니고 있던 이미지와 비슷한 이미지를 제시했음을 알 수 있었다. 과학기술자에 대해서는 드라마에 나오는 과학기술자가 대체로 '주위 사람들과 잘 어울리고(3.7)', '사회발전에 기여한다(3.6)'고생각하고, 실제의 과학기술자는 '꼼꼼하고(4.2)', '사회발전에 기여하며(4.0)', '고생스럽게 일한다(3.9)' 고 생각하였다 특히 드라마 속의 과학기술자가 실제 과학기술자에 비해 덤벙거리고, 사람들과 잘 어울리고, 인간적이라고 생각하는 점이 두드러져 드라마 '카이스트'가 과학기술자에 대한 학생들의 평소 생각과 다른 이미지를 제시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드라마 '카이스트'는 컴퓨터, 로봇축구. 우리별과 같은 소재를 이용하여 과학기술과 과학기술자들의 생활을 묘사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켰으며, 과학기술자에 대해 학생들이 평소에 생각하던 것과 다른 이미지를 제시했고 특히 과학기술자, 과학기술 전반, 과학기술의 사회성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켜 비정규 과학학습의 소재로서 대체로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과학자들에 대해서도 그들이 과학 발달에 기여한 업적만을 배울 뿐, 과학자들의 인간적인 모습을 접할 기회는 그리 많지 않다. 본 연구의 결과는 드라마 '카이스트'와 같은 TV 프로그램이 정규교육에서 왜곡하거나 충분히 전달하기 어려운 과학기술과 과학기술자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와 태도를 형성하는데 도움 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나 교사들이 우려하듯이 TV 프로그램이 묘사하는 비현실성과 과장된 인물묘사는 또 하나의 잘못된 이미지를 형성할 수도 있으므로 과학 관련 TV 프로그램을 과학학습의 측면에서 검토하려는 노력을 계속해야 할 것이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