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actual conditions(the types and the personal physical job related factors) of fashion model in Korea. Survey was done through questionnaire data, 194 fashion models were involved survey.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cluster analysis. The results o...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actual conditions(the types and the personal physical job related factors) of fashion model in Korea. Survey was done through questionnaire data, 194 fashion models were involved survey.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cluste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largest sample were as follows (about personal physical related factors) : unmarried, college graduate and undergraduate, resident in the Seoul, 2-24 yrs female with 175-177 cm, 52-54 kg, B-W-H (33-24-35 inch). 2) The largest sample (about job related factors) were as follows: getting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 1-2 yrs job experience, B grade, less than 600,000 won for salaries, 100,000-190,000 won at a stage, 5-6 yrs duration of model work, inexperience in the international fashion stage, take up a foreign language, fashion magazine for fashion source, image and look of individuality for a necessary condition. The motive for job was the concern in the job. Problems with a guarantee were pointed out for the betterment working conditions. 3) The types of fashion model were classified into 4 types : the type of lack of professionalism, the type of show off one's talents, the type of dissatisfaction with working condition, the type of maturity of professionalism.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actual conditions(the types and the personal physical job related factors) of fashion model in Korea. Survey was done through questionnaire data, 194 fashion models were involved survey.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cluste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largest sample were as follows (about personal physical related factors) : unmarried, college graduate and undergraduate, resident in the Seoul, 2-24 yrs female with 175-177 cm, 52-54 kg, B-W-H (33-24-35 inch). 2) The largest sample (about job related factors) were as follows: getting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 1-2 yrs job experience, B grade, less than 600,000 won for salaries, 100,000-190,000 won at a stage, 5-6 yrs duration of model work, inexperience in the international fashion stage, take up a foreign language, fashion magazine for fashion source, image and look of individuality for a necessary condition. The motive for job was the concern in the job. Problems with a guarantee were pointed out for the betterment working conditions. 3) The types of fashion model were classified into 4 types : the type of lack of professionalism, the type of show off one's talents, the type of dissatisfaction with working condition, the type of maturity of professionalism.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부재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패션모델에 대한 개인 . 신체 .
패션모델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전환 . 패션모델의 질적 향상 및 활성화를 위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안 방법
신체 . 직무관련 특성을 밝혀 패션모델에 대한실태를 파악하고 패션모델을 몇 가지의 유형으로 분류하여 분류된 유형의 특성을 밝힘으로써 패션모델에 대한 효율적인 인적관리 운영.패션모델 자신의 직업의식 고양.
1) 패션모델에 대한 인구통계적 관련 특성 및 신체특성을 분석한다.
2) 패션모델에 대한 직무관련 특성을 분석한다.
3) 패션모델 유형을 분석한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를 만들기 위해 2000년 10월 15일~20일사이에 모델 20명과 연구자가 1:1로 직접 심충 인터뷰하여 분석된 내용을 바탕으로 1차 예비설문지를 만들었으며, 이 설문지의 문제점과 이해정도, 옹답상황에 대한 문제점을 수정 . 보완한 내용을 토대로 최종 설문지를 완성하여 본 연구의 도구로사용하였다.
보완한 내용을 토대로 최종 설문지를 완성하여 본 연구의 도구로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00년 10월 15일~20일 사이에 모델 20 명과 일대일로 심층 인터뷰하여 예비조사를 하였으며, 그 결과를 수정 보완하여 본 연구용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설문지 배부는 2000년 11월 5일~2001년 2월 22일 사이에 모델에이전시(모델센터, 모델라인, 비데오 꼬 셀렉트, 패션 프로덕션 둥)와 패션쇼 행사장을 직접 방문하여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불성실하게 웅답한 자료 36부를 제외한 총 194 부를 통계분석을 위한 자료로 사용하였다.
대상 데이터
현재 국내에서 활동 중인 모델은 1천명 정도로 추산되는데, 전국의 패션모델시장 중 가장 활성화되어 있는 서울, 대구, 부산지역을 대상으로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30부가 회수되었다.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불성실하게 웅답한 자료 36부를 제외한 총 194 부를 통계분석을 위한 자료로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인 국내 패션모델의 패션 정보원으로는 패션잡지 115명(59.3%), 패션쇼 28명(14.4%), 인터넷 13명(6.7%), 케이블 TV 12명 (6.2%)순으로 나타나 패션쇼 무대에 자주 서는모델에게 있어 조차 패션쇼가. 1위의 정보원으로 나타나지 않아 패션정보원으로써의 패션쇼의 가치를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사료된다.
데이터처리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사대상자의 인구 통계적 특성및 신체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평균, 비율 둥을 사용하였고, 패션모델의 유형분석을 위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성능/효과
이상에서 알아본 패션쇼(Fashion Show)의 정의를 다시 한번 종합해 보면, 새로운 시즌에 앞서서 패션경향을 전달하는 복장 및 그 밖의 제품을 패션모델이 착용하고, 무대와 조명, 음악과 쇼적인 요소를 가미한 쇼 형식으로 진행되며, 구매 욕구를 자극하는 판매 촉진의 수단으로 소비자인 관객에게 패션 상품을 모델들이 생동감 있게 걸어다니면서, 재미있고 친밀하게유행의 경향을 보여 주고 상품을 소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조사대상자의 학력은 대학교 재학 중인 대상자가 69명 (35.5%)로 가장 많았는데, 그 중에서 2년제가 47명, 4년제가 22명이었으며, 2년제 47명중에서 31명, 4년제 재학 중인 경우 22명중 3명이 패션관련학과 재학 중인 것으로 나타나 패션모델이 전문적인 인력으로 양성되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한편 조사대상 패션 모델의 학력은 대학졸업한 경우 56명(28.
모델로서 가장 적당한 외모유형으로는 102명(52.5%)이 개성을 최우선으로 꼽았으며, 다음으로 서구적인 신체조건과 동양적인 외모를 60명(30.9%)이, 모든 스타일을 소화할 수 있는 모델을 23명(11.8%)이 웅답해, 예전의 획일적인 모델 이미지가개성 중심의 모델 이미지로 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첫째, 국내 패션모델의 가장 대표적인 특성은 20-24세의 대졸 및 재학 중인, 서울지역 거주자로 신장 175-177 cm, 몸무게 52-54 kg, 가슴-허리-엉덩이 둘레가 33(66명, 40.2%)- 24(100명, 61.0%)-35(74명, 45.1%)inch를 가진 미흔 여성으로나타났다.
둘째, 국내 패션모델의 직무와 관련된 특성을 분석해 본 결과, 모델을 하기 위해 받은 교육기관은 모델라인과 같은 정규교육기관이 아닌 사설 모델양성 교육기관을 수료한 경우가 대부분(175명, 90.2%)이었으며, 모델 경력은 1~2년 정도가 89명 (45.8%), 모델등급은 B급이 79명(40.7%), 월수입의 경우 60만원 이하가 73명(37.6%), 패션쇼의 회당 개런티는 10~19만원정도를 받는 경우가 63명(32.5%)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2%)을 차지하고 있었다. 한편, 모델이 되지 않았다면 어떤 직업을 택했을까하는 질문에 대해서는 63명(32.2%)이 패션 관련 직종 특히 디자이너를 가장선호하는 직업임을 알 수 있었으며, 패션모델들은 평소 패션잡지를 통해서 가장 많은 패션정보를 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션모델의 필요 조건으로 이미지 및 개성표현, 모델의 가장적당한 외모유형은 개성적인 외모, 모델을 하게 된 이유는 모델에 대한 관심, 모델업계의 개선점으로는 현실적인 개런티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셋째, 국내 패션모델은 프로정신 부족 및 미성숙형, 신체 미집착 및 프로정신 성숙형, 근무여건 불만족형, 과시형의 4가지유형으로 나타났는데 그중 가장 많은 유형은 프로정신 부족 및미성숙형으로 업무 외적인 사항 특히 인간관계, 자신의 의복스타일, 속옷 미착용에 대해 불만과 모델업의 불안정성과 장래성이 없다고 느끼고 있는 유형이었으며, 다음으로 모델의 외모는그다지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성형수술의 경험도 없으며, 노출이 심한 의상의 착용에도 불만이 없는 진정한 프로정신이 있는성숙형이었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