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9년 3월부터 12월에 걸쳐 대구지방에서 피부사상균증에 이완된 개 110두에서 57주(51.8%)의 Microsporum canis를 분리하여 표준균주 1주와 함께 육안적, 현미경적 및 생물학적 성상을 조사하고 고찰하였다. M canis 57주는 집락의 성상 및 현미경적 소견에 따라 4가지(A~D)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A형(white-yellow type)은 73%(42주)이며 표준주(ATCC 18615)의 전형적인 집락과 동일한 형이며, B형(fluffy type)은 21.1%(12주)이고, C형(flat type)은 3.5%(2주)이며, D형(radial groove type)은 1.7%(1주)이었으며, 이들 형은 전형적인 대분생자의 수적 차이가 인정되었다. 한편 계대가 진행됨에 따라 3가지 변이형(E~G)이 출현하였다. E형은 B형 12균주 중 25%(3주)가 변이한 균주로 갈색색소를 산생하고 비전형적인 대분생자가 관찰되며, G형은 B형의 변이주로 색소 및 대분생자가 소실된 형으로 25%(3주) 이었고, F형은 A형 42균주 중 7.1%(3주)가 변이한 균주로 섬유다발 모양의 성상과 뒷면의 색소 소실 및 비전형의 대분생자, 아령 모양의 균사가 관찰되었다. M canis 58주(표준주 포함)의 urease test, rice medium test, 모발천공시험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었지만 전 균주가 양성이었다.
1999년 3월부터 12월에 걸쳐 대구지방에서 피부사상균증에 이완된 개 110두에서 57주(51.8%)의 Microsporum canis를 분리하여 표준균주 1주와 함께 육안적, 현미경적 및 생물학적 성상을 조사하고 고찰하였다. M canis 57주는 집락의 성상 및 현미경적 소견에 따라 4가지(A~D)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A형(white-yellow type)은 73%(42주)이며 표준주(ATCC 18615)의 전형적인 집락과 동일한 형이며, B형(fluffy type)은 21.1%(12주)이고, C형(flat type)은 3.5%(2주)이며, D형(radial groove type)은 1.7%(1주)이었으며, 이들 형은 전형적인 대분생자의 수적 차이가 인정되었다. 한편 계대가 진행됨에 따라 3가지 변이형(E~G)이 출현하였다. E형은 B형 12균주 중 25%(3주)가 변이한 균주로 갈색색소를 산생하고 비전형적인 대분생자가 관찰되며, G형은 B형의 변이주로 색소 및 대분생자가 소실된 형으로 25%(3주) 이었고, F형은 A형 42균주 중 7.1%(3주)가 변이한 균주로 섬유다발 모양의 성상과 뒷면의 색소 소실 및 비전형의 대분생자, 아령 모양의 균사가 관찰되었다. M canis 58주(표준주 포함)의 urease test, rice medium test, 모발천공시험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었지만 전 균주가 양성이었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morphological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57 strains of Microsporum canis isolated from 110 dogs with dermatophytosis in Taegu, 1999. Isolated strains of M canis were classified into 4 types(A: white-yellow type, B: fluffy type, C: flat type, D: radia...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morphological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57 strains of Microsporum canis isolated from 110 dogs with dermatophytosis in Taegu, 1999. Isolated strains of M canis were classified into 4 types(A: white-yellow type, B: fluffy type, C: flat type, D: radial groove type) according to their pigmentation and morphology of colonies with typical conidia and hyphae. Some strains of A and B type happened variation by subculture for 6~8 months. The variation strains were classified into 3 types(E, F, G), E type had aberrant macroconidia with typical macroconidia, F type had aberrant hyphae(like dumb-bell) and macroconidia, and G type had no conidia and racket hyphae. All strains showed positive urease test, rice medium growth test and hair perforation test.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morphological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57 strains of Microsporum canis isolated from 110 dogs with dermatophytosis in Taegu, 1999. Isolated strains of M canis were classified into 4 types(A: white-yellow type, B: fluffy type, C: flat type, D: radial groove type) according to their pigmentation and morphology of colonies with typical conidia and hyphae. Some strains of A and B type happened variation by subculture for 6~8 months. The variation strains were classified into 3 types(E, F, G), E type had aberrant macroconidia with typical macroconidia, F type had aberrant hyphae(like dumb-bell) and macroconidia, and G type had no conidia and racket hyphae. All strains showed positive urease test, rice medium growth test and hair perforation test.
Christensen urease broth에 균을 접종하고 25°C에서 배양하면서 1주부터 2주까지 검사하여 orange 색에서 pink 일 때 의양성, purple 일 때 양성으로 판정하였다I
Petri-dish에 멸균 증류수를 25 ml을 넣은 다음 여과멸 균 한 10% yeast extract를 2~3방울 떨어뜨리고 여기에 약 1cm로 자른 멸균된 어린이 머리카락을 10~20개를 넣고, 균을 접종한 후 25℃에서 배양하여 1주부터 2주까지 검사를 하였다K
시험관에 tap water 3 m;와 백미 20 낱알을 넣고 121°C, 15분간 멸균한 다음 균을 접종하고 25℃에서 배양하여 균의 성장여부와 색소산생여부를 관찰하였다I
1999년 3월부터 12월에 걸쳐 대구지방에서 피부사상 균증에 이완된 개 110두에서 57주(51.8%)의 Micmsporum canisi: 분리하여 표준균주 1주와 함께 육안적, 현미경적 및 생물학적 성상을 조사하고 고찰하였다.
대상 데이터
1999년 3월부터 12월까지 대구시내 동물병원에 피부병으로 내원한 개 90마리와 애완동물 판매점의 피부 병견 20마리 등 총 110두의 피부병변부의 피모 및 가피 재료를 채취하였다.
이론/모형
진균 재료의 채취는 Mackenzie의 방법'2에 따라 칫솔을 이용하여 피부병변부의 피모와 가피를 취하여 멸균된 은박지로 싸서 실험실로 이송하였다.
성능/효과
개 110마리의 피부병변은 크고 작은 원형의 탈모, 많은 인설, 가피의 탈락 및 염증 등이 관찰되었고, wood lamp 양성인 병변부 재료를 10% KOH 처리 후 현미경 검사에서 털주위에서 많은 포자(2~3nm)가 관찰되었다 (Fig 10). MBA 배지에 배양한 집락의 육안적 및 현미경적 검사 결과 57주(51.
1 cm 이였고, 뒷면은 진황색이며 방사상구가 관찰되었 다(Fig 1). 현미경 소견은 배양 4일째부터 전형적인 대 분생자가 관찰되기 시작하여 12일째는 5시야 중 평균 6 개가 관찰되었다(Fig 12).
D형(radial groove type)은 1주(1.7%)이며, 집락의 육안적 소견은 배양 2일째부터 자라며 12일째 직경이 3.2cm 이었고 짧은 융모상이고 진황색을 띠며 집락 주위 배지에 색소가 확산되었으며 (Fig 4), 뒷면은 진한 주황색이었고 방사상구가 형성되었다. 현미경적 소견은 배양 4 일째부터 대분생자가 관찰되기 시작하여 12일째에는 5시야 평균 8개 이었다.
뒷면은 색소가 전혀 산생되지 않았으며, 방사상구가 형성되었다. 현미경적 소견은 끝이 완만한 비전형인 대분생자가 5시야 평균 1개였으며, 아령 모양, 복합분지성 및 역분지 균사가 관찰되었다(Fig 9).
A~G형에서 후막포자와 racket 균사가 관찰되었고, urease test와 모발천공성은 모든 형에서 7일째에 양성이었으며 , SDA + thiamine 배지에 배양시에는 성상의 변화가 인정되지 않았다. Rice medium에서 A~G형은 5일 째 증식이 확인되었으며, A 및 D형은 황색 색소산 생성이었으나 B, C, E, F 및 G형은 색소를 산생하지 않았다.
이 실험에서 M cam's의 A(white-yellow type), B(fluffy type), C(flat type), D(radial groove type)형 중 A형은 전형적인 황색집락과 대분생자를 가진 균주들이며, B, C, D형은 전형적인 대분생자를 가지면서, 집락의 성상, 발육속도 및 색소 산생성 등의 차이에 따라 나눌 수 있었다. M twiis의 분리시에는 황색색소 산생능이 미약하며, 대분생자가 관찰되지 않는 경우, 비전형적인 대분생자가 관찰되는 경우, 균사의 변형이 인정되는 경우 등9,10,18 또한 방사상구를 가진 집락과 후막포자의 변형이 인정되는 것20을 변이주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B, C, D형은 색소산생능과 집락 성상의 차이는 인정되지만 현미경적 형태의 성상은 선인들의 소견과는 달리 전형적인 대분생자, 소분생자 및 균사를 가지고 있으므로 정상적인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 사료되며, A형 및 B형이 93%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 실험에서 M cam's의 A(white-yellow type), B(fluffy type), C(flat type), D(radial groove type)형 중 A형은 전형적인 황색집락과 대분생자를 가진 균주들이며, B, C, D형은 전형적인 대분생자를 가지면서, 집락의 성상, 발육속도 및 색소 산생성 등의 차이에 따라 나눌 수 있었다. M twiis의 분리시에는 황색색소 산생능이 미약하며, 대분생자가 관찰되지 않는 경우, 비전형적인 대분생자가 관찰되는 경우, 균사의 변형이 인정되는 경우 등9,10,18 또한 방사상구를 가진 집락과 후막포자의 변형이 인정되는 것20을 변이주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B, C, D형은 색소산생능과 집락 성상의 차이는 인정되지만 현미경적 형태의 성상은 선인들의 소견과는 달리 전형적인 대분생자, 소분생자 및 균사를 가지고 있으므로 정상적인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 사료되며, A형 및 B형이 93%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한편 계대함에 따라 A 및 B형에서 변이형이 출현하였으며, A형 유래 변이주(F형)는 공중균사가 거의 없고, 섬유다발 모양으로 성장하는 집락변이, 끝이 완만한 대분생자, 복합분지 및 역분지균사가 관찰되고, B 형 유 래 변이주(E, G형) 중 E형은 갈색색소를 산생하며 뒤틀린 모양의 대분생자 산생과 역분지균사가 인정되고, G 형은 분생자 및 색소산생능 소실주로써 선인들의 보고9,10,18 유사한 소견이었으나 계대에 의한 변이현상인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 실험에서는 균분리시에 선인들이 주장하는 변이균주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 실험에서 균사의 변이형은 E형 및 F형에서 관찰되었으며, E형은 역분지균사, F형은 아령형, 역분지 및 복합 분지 균사가 관찰되어 English', 의 변이균사와는 유사하였으나 계대함에 따라서 복귀되지 않았다.
M cam's의 urease 산생성 및 모발천공성은 Aho17 및 최 등'3이 1주에 대한 검사에서 양성이었다는 보고와 동일하게 이 실험에서도 58주 전체가 양성이었으며, 모발 천공성은 A~F형 둥의 순서로 강하였고 G형이 가장 약한 천공성을 나타내어 변이가 일어나면서 천공성도 약해짐이 관찰되었다. 한편 A~G형 전 균주는 모발천공성 이고, rice medium에서 증식성이어서, 형태학적으로 유사한 M equium은 모발천공성 음성이고17, M audounii는 rice medium에서 발육되지 않으므로 M canis와 감별에 이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후속연구
이상에서와 같이 비전형적 균주에 대하여는 urease test, rice medium test, 모발천공시험 등을 통한 신중한 동정이 요구되어지며, 더 나아가 M canis의 DNA 분석7에 의한 확정 진단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