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dot$가을 멸치액젓의 숙성 중 성분변화의 차이
Difference of Component Changes in Salt-Fermented Spring and Autumn Anchovy, Engraulis japonicus Sauce during Fermentation 원문보기

한국수산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34 no.1, 2001년, pp.7 - 12  

임영선 (부경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 ,  박희열 (전 국립수산물검사소) ,  최영준 (경상대학교 해양생물이용) ,  조영제 (부경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재래식 방법으로 봄$\cdot$가을 멸치액젓의 숙성 중의 성분변화의 차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동부산수협의 숙성탱크로부터 $1.5\~3$개월 간격으로 액젓 원액만을 직접 채취하여 성분변화를 조사하였다. 봄$\cdot$가을 멸치액젓 모두 총질소 및 아미노산성질소 함량이 숙성기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봄 멸치액젓이 가을 멸치액젓 보다 각각 숙성 15.7개월과 17.4개월 전까지는 함량이 높았다가 그 이후에는 함량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ATP 관련물질총량도 숙성초기에 봄 멸치액젓이 가을 멸치액젓보다 높았으며, 숙성기간중에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HxR+Hx 함량과 요산량의 교차지점 (봄 멸치액젓 숙성 10.6개월, 가을멸치액젓 숙성 11.5개월)은 가용화율이 $77.0\%$$74.7\%$로 높은 분해율을 보이는 지점이었고, 관능적인 맛과 냄새면에서도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봄 멸치액젓의 교차지점이 가을 멸치액젓보다 약 1개월 정도 빠른 것은 숙성온도의 차이 때문으로 판단된다. 원료육의 총 아미노산함량은 봄 멸치가 22,238mg/100g로 가을 멸치의 23,330mg/100g보다 약간 적은 반면, 18개월간 숙성시킨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9,983.3mg/100mL로 가을 멸치액젓의 9,070.2mg/100mL보다 약간 높았다. 유리아미노산중 glutamic acid는 숙성기간에 따라서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하여 18개월 후에는 봄 멸치액젓에서 2,100.3 mg/100mL ($21.0\%$), 가을 멸치액젓에서 1,857.8mg/100mL ($20.5\%$)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봄 멸치액젓에서는 alanine ($12.6\%$), aspartic acid ($11.9\%$), valine ($6.3\%$), lysine ($6.2\%$) 순이었고, 가을 멸치액젓에서는 leucine ($14.2\%$), alanine ($14.0\%$), lysine ($12.2\%$), isoleucine ($8.0\%$)등의 순으로 주요 아미노산의 종류와 조성비가 달랐다. 그리고, 봄$\cdot$가을 멸치액젓 모두 숙성기간에 따라서 색도는 일정하치 증가하였으며, 봄 멸치액젓이 가을 멸치액젓보다 숙성기간을 통하여 그 값이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difference of component changes in salt-fermented spring (SAS) and autumn (AAS) anchovy, Engraulis japonicus sauce during fermentation, various chemical properties were examined at $1.5\sim3$ months intervals during 18 months fermentation, The contents of total and amino 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멸치는 연중 어획되며 일반적으로 봄멸치와 가을멸치로 나누고, 봄·가을 멸치 모두 액젓의 원료어로 사용되고 있지만, 봄멸치와 가을멸치를 재래식 방법으로 장기간 숙성시키면서 숙성 중의 성 분변화의 차이를 조사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래식 방법으로 봄·가을 멸치액젓을 18개월 동안 숙 성시키면서 1.5~3개월 간격으로 성분변화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 재래식 방법으로 봄·가을 멸치액젓의 숙성 중의 성분변화의 차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동부산수협의 숙성탱크로 부터 1.5~3개 월 간격으로 액젓 원액만을 직접 채취하여 성분변화를 조사하였다. 봄·가을 멸치액젓 모두 총질소 및 아미노산성질소 함량이 숙 성기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봄 멸치액젓이 가을 멸치액젓보다 각각 숙성 15.

대상 데이터

  • 5~3개월 간 격으로 액화된 원액을 직접 채취하여 감압여과 (buchner funnel ©110mm; pore size l*m)하여 -20t 이하의 동결고에 보관하면 서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ATP 관련물질과 유리아미노산 표 품은 미국 Sigma사 제품, 효소법에 사용된 ATP 관련물질의 각종 분해효소는 독일 Boehringer사 제품을 사용하였다.
  • 본 실험에 사용된 멸치액젓은 부산광역시 기장군에 소재하는 동부산수협의 숙성탱크(330WX286LX280Hcm)에 멸치, Engraulis japonicus를 원료중량에 대하여 25% (w/w)의 천일염을 첨 가하고 잘 혼합하여 봄 멸치액젓은 1998년 3월, 가을 멸치액젓은 1997년 11월부터 전통적인 방법으로 숙성시키면서 1.5~3개월 간 격으로 액화된 원액을 직접 채취하여 감압여과 (buchner funnel ©110mm; pore size l*m)하여 -20t 이하의 동결고에 보관하면 서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ATP 관련물질과 유리아미노산 표 품은 미국 Sigma사 제품, 효소법에 사용된 ATP 관련물질의 각종 분해효소는 독일 Boehringer사 제품을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 1999b)와 같은 방법으로 행하였다. 그리고, 모든 실험결과의 통계처리는 Duncan's multiple range test (Duncan, 1955)로 평균간의 유의성, 회귀분석을 SPSS program (SPSS Inc., 1997)을 사용하여 검정하였다.

이론/모형

  • 수분은 상압가열법(AOAC, 1990), 회분은 건식회화법(AOAC, 1990), 조지방은 Soxhlet 추출법 (AOAC, 1990), 조단백질과 총질 소함량은 semi-micro Kjeldahl법(AOAC, 1990), 아미노산성질소 함량은 동염법 (Spies and Chamber, 1951), VBN 함량은 Conway unit를 이용하는 미량확산법 (日本厚生省, I960)으로 각각 측정하였다. ATP 관련물질은 Iwamoto et al. (1987)의 방법에 따라서 추출하여 멸치육은 HPLC법 (Park, 1995)으로, 액젓은 효소법 (Cho et al., 1999a)으로 분석하였고, pH는 pH meter (Orion model 410A,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색도와 유리아미노산은 각각 전보 (Im et al.
  • 수분은 상압가열법(AOAC, 1990), 회분은 건식회화법(AOAC, 1990), 조지방은 Soxhlet 추출법 (AOAC, 1990), 조단백질과 총질 소함량은 semi-micro Kjeldahl법(AOAC, 1990), 아미노산성질소 함량은 동염법 (Spies and Chamber, 1951), VBN 함량은 Conway unit를 이용하는 미량확산법 (日本厚生省, I960)으로 각각 측정하였다. ATP 관련물질은 Iwamoto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