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멸치, 어묵, 다시마 및 무 조리 후 국물의 영양성분 분석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sition in Boiled Broth using Anchovy, Fish Paste, Sea Tangle and Radish 원문보기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v.24 no.3, 2013년, pp.277 - 287  

김소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능성식품과) ,  권상희 (질병관리본부 건강영양조사과) ,  김세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능성식품과) ,  김정봉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능성식품과) ,  박홍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능성식품과) ,  김행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능성식품과) ,  조영숙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능성식품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change of major nutrient components in boiled broth of anchovy, fish paste, sea tangle, and radish subjected to the boiling processing. The crude protein, fat, ash, and carbohydrates in anchovy boiled broth were 0.1%, 0.04%, 0.1%, and 0% respectively as aga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 식생활에서 많이 섭취하고 있는 탕 및 국류는 대부분 다양한 식품 재료를 가지고 만든 국물을 사용해 만드는데, 영양사들이 음식 재료 일부로 육수를 레시피에 넣고자 할 때 영양성분 함량정보가 없어, 국물의 경우 물로 대신하여 대략적으로 영양평가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본 연구에서는 4종 식품에 대하여 조리 후 나온 국물 속에 함유된 성분 정보를 제공하여 식품학적 가치를 평가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토록 제안하고자 원재료와 그 국물의 일반성분과 영양성분을 조사하였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멸치, 다시마, 어묵 및 무 등 주로 국물소스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4종 식품을 끓는 물속에서 습식 조리한 후 용출된 국물에 함유되어 있는 일반성분, 무기성분, 콜레스테롤, 비타민 등 영양 성분을 분석하였고, 실제 어묵국 레시피에 적용하여 원재료와 국물 데이터 간의 차이를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이와 같이 기초 데이터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조미용 국물들의 실측값을 반영하여 정확한 영양학적 가치를 평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 2)Values with all common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 2)Values with all common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p<0.05).
  • 3)It is present at a level below 0.1 mg, the level of ascorbic acid is expressed as ‘tr’.
  • 4)Values with all common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공계수란? (가공계수란) 조리 및 식품 제조 시에 생기는 증가 또는 감소의 양을 나타내는 용어로서 시료의 조리 전ㆍ후의 중량 또는 부피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식에 넣어 산출한다(Kim et al. 2010).
학교 및 단체 급식에서 영양사들이 현장에서 직접 국물을 제조하여 이용하는 곳이 늘고있는 이유는? 그러나 국물소스의 품질 개선 및 간단 편이용 제품에 관한 소비자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반면에 소비자들이 식품첨가제에 대해 갖는 불안감은 높아졌고 성장기 어린이들의 식단은 가능한 천연소재를 이용 하는 것이 옳다고 여기는 소비자 인식이 확대되면서 학교 및 단체 급식 식단을 담당하는 영양사들은 현장에서 직접 국물을 제조하여 이용하는 곳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식생활 변화로 인한 비만, 고혈압 등과 같은 질병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면서(Kang et al.
어묵, 무, 멸치, 다시마에 대한 조리 전후 부피와 중량을 측정하여 부피가공계수를 관찰한 결과는? 4개 식품(어묵, 무, 멸치, 다시마)에 대한 조리 전후의 부피와 중량을 측정하여 부피가공계수를 Table 2에 나타내었다. 사용한 물 부피 2,000 mL 를 넣고 10분간 조리한 결과 물 부피는 모든 시료에서 감소하였는데, 어묵의 경우 끓였을 때 1,435 mL 잔존하여 71.8%의 가공계수를 나타내었고, 수분이 많은 채소류인 무의 경우 조리 후 1,595 mL 잔존하여 가공계수는 79.8%로 4개 시료 중에서 가장 변화가 적었다. 이 외 멸치 육수와 다시마 육수의 경우 조리 후 1,490 mL과 1495 mL이 잔존하였고, 가공계수는 각각 74.5%와 74.8%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4개 원료 대비 조리 후 물 부피는 평균 75% 정도로 약 25%가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hn MS (1999) A study on the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egetables by Korean traditional cooking methods. Korean J Dietary Culture 14(2), 177-188 

  2.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pp777, 780, 788 

  3. Byun GI, Kim DJ, Choi SK (2008) Purchase accommodation attitude of commercial stock merchandise- focused on cuisiniers of deluxe hotels. Korean J Culinary Res 14(2), 115-127 

  4. Cho EZ (1984) Changes in fatty acid and cholesterol composition of Korean styled beef broths (Gom - Guk) during cooking. J Korean Soc Food Nutr 13, 363-371 

  5. Feeley RM, Criver PE, Watt BK (1972) Cholesterol content of foods. J Am Diet Assoc 61,134-149 

  6. Hur JY, Hwang IK (2002) The stability of watersoluble and fat-soluble vitamin in milk by heat treatment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487-494 

  7. Kang NJ, Shon YG, Rho IR, Cho YS (2002) Changes in carbohydrates cumulation and metabolic enzyme activity during fruit development and maturation in Cucurbitamaxima and Cucurbitapepo. J Korean Soc Hor Sci 43, 571-574 

  8. Kang TG, Choi SK, Yoon HH (2009)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fish stock by additions of white wine. Korean J Culinary Res 15, 213-224 

  9.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9) Food code, Chapter 10, Appendix 49-53 

  10. Kim HG, Lee KJ, Kim SM, Chung HJ (2010) Nutritional retention factor of 1(+) quality grade Hanwoo beef using different cooking methods. Korear J Food Sci Ani Res 30, 1024-1030 

  11. Kim MS (2006) The effect on the nutritional value of beef leg and rib bone soup by boiling time. J Korean Soc Food Culture 21, 161-165 

  12. Kim US, Choi IS, Koo SJ (2001)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recipe for Korean cold noodle stock. Korean J Food and Cookery Sci 17, 589-597 

  13. Krishnamoorthy RV, Venkatararniah A, Lakshmi GJ, Biesiot P (1979) Effects of cooking and of frozen storage on the cholesterol content f selected shellfish. J Food Sci 44, 314-315 

  14. Kritchevsky D, Tepper SA (1961) The free and ester sterol content of various foodstuffs. J Nutr 74, 441-444 

  15. Lee JJ, Choo MH, Lee MY (2007) Physicochemical compositions of pimpinella brachycarp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327-331 

  16. Lee SM, Lee HB, Lee JS (2005) Analysis of vitamin E in some commonly consumed foods in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064-1070 

  17. Lee YS, Joo EY, Kim NW (2008) Analysis on the components of the Vitex rotundifolia fruit and ste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84-189 

  18.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2011) Standard food composition table. 8th editi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19.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2012a) User friendly food composition tabl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pp263 

  20.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2012b) Cholesterol composition table. 1st editi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21.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2012c) Fat-soluble composition table. 1st editi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22. Park HJ, Lee SH, Back OH, Cho SM, Cho YS (2004) Component comparisons of the nutrient composition of lentinus edodes based of harvest period.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15, 107-112 

  23. SAS. 2000. SAS user's guide.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24. Shin EH (2009)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ueraria flo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139-1144 

  25. Standard Tables of Food Composition in Japan (2010) Research by Japan ministry of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in Japanese). pp145, 181 

  26.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Korea 

  27. Woo HM, Choi SK (2010)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cken stock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tomato. Culinary Res 16(5), 287-298 

  28. Yang KH, Ahn JH, Kim HJ, Lee JY, You BR, Song JE, Oh HL, Kim NY, Kim MR (2011) Properties of nutritional composition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corn crude starch by geographical origi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7), 928-934 

  29. Yun SJ, Kim NY, Jang MS (1994) Free sugars, amino acids, organic acids, and minerals of the fruits of paper mulberry (Broussonetia Kazinoki Siebold). J Korean Soc Food Nutr 23(6), 950-95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