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하천(都市河川)을 이용(利用)한 도시림간(都市林間) 생태통로(生態通路) 조성(造成) 기본계획(基本計劃)
Eco-corridor Master Plan Connecting Urban Forests via the Urban Stream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4 no.4, 2001년, pp.36 - 45  

강병선 (성균관대 대학원 조경학과) ,  이규석 (성균관대 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atural disturbances and human development can cause habitat fragmentation. Plant and wildlife can become isolated, and habitat fragmentation and shrinkage have been recognized as a key issue facing the conservation of biological diversity. However, eco-corridors can alleviate the problem by provi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넷째, 하천에 설치된 수중보는 하류의 형태를 변하게 하며 하천의 온도, 탁도 그리고 용존가스와 중금속 및 광물농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이로 인하여 식물 및 동물의 이동을 저해하여 결국 생물종 다양성을 감소하게 한다(강호정 등, 2001). 따라서 대상지내에 설치된 탄동천의 수중보 또한 하천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되어 이를 제거하고 하천생태계의 다양성을 도모하여 목표종의 이동 및 서식이 활발하도록 한다.
  • 1999), 하천의 이러한 장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도시하천의 자연성을 회복하고 주위환경을 관리하면 많은 예산 없이 생태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상지내 환경을 파악한 후 도시하천을 이용한 도시림간의 생태통로를 적은 비용으로 조성하여 도시림간 단절된 녹지를 연결함으로써 도시녹지공간 및 야생동물의 서식지를 확대하며 도시환경의 자연성 회복에 기여하는 데 있다.
  • 본 연구는 문헌조사 후 대상지의 환경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목표 종을 선정하고 생태통로를 조성할 대상지의 범위를 결정하여 대안설정 및 기본계획을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발견된 포유동물 중 상위종인 너구리를 목표종으로 하여 생태통로를 조성하였다. 너구리는 매봉산 및 탄동천에서 답사도중육안으로 목격되어 대상지에 서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지조사기간중 숲가꾸기 사업으로 인한 영향은 무엇인가? 0ha이다. 성두산은 1993년 조사 시 77과 178속 194종 45변종 2품종으로 조사되었으나(정지곤, 1993) 현지조사기간중 숲가꾸기 사업으로 참나무류의 관목층이 많이 벌채되 생태계의 천이를 교란한 결과가 되어 그 당시보다 종 다양성은 낮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대상 지역은 도시림이 비교적 잘 보전되고 있으며 현지 답사시 중형포유류가 서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성두산과 매봉산에 동물들의 식수가 없고 탄동천에서 야생동물의 발자국이 계속 관찰되 탄동천이 이들 동물들의 식수원으로 사용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성두산의 지리적 정보들은 무엇이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지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연구단지내의 도시림인 성두산근린공원, 매봉산근린공원과 그 사이를 흐르는 탄동천이다. 성두산은 유성구 구성동 20번지에 위치하고 면적은 24.1ha이며 매봉산은 유성구 가정동에 위치하며 면적은 42.0ha이다. 성두산은 1993년 조사 시 77과 178속 194종 45변종 2품종으로 조사되었으나(정지곤, 1993) 현지조사기간중 숲가꾸기 사업으로 참나무류의 관목층이 많이 벌채되 생태계의 천이를 교란한 결과가 되어 그 당시보다 종 다양성은 낮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성두산과 매봉산의 식생을 조사한 결과는 무엇인가? 성두산과 매봉산의 식생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현지조사하여 보완하였고 탄동천의 식생은 대상지내 탄동천 전체를 답사하면서 동정하였다. 성두산과 매봉산은 총 19개 군락과 공원,과수원, 무입목지, 초지, 묘지, 조경식재화단으로 구분되었는데, 조림수종이 교목 상층수관부에서는 우점종이나 아교목과 관목층에 졸참나무, 굴참나무, 갈참나무 등이 분포된 것으로 볼 때 향후 이곳 식생은 외부의 교란이 없으면 참나무(Quercus) 우점종의 2차림으로 천이될 것으로 판단된다(허승녕 등, 2001). 탄동천의 호안블록 및 하상에서 출현한 식생은 27과 71종이었으며 이중 귀화식물은 개밀, 선포아풀, 미국개기장, 미국자리공, 쇠별꽃, 별꽃, 다닥냉이, 양버즘나무, 아까시나무, 붉은토끼풀, 토끼풀, 달맞이꽃, 큰달맞이꽃, 까마중, 질경이, 돼지풀, 도꼬마리, 개망초, 코스모스의 19종이었고, 자생식물은 다년초로 적당한 습기가 있는 낙엽수의 하부에서 주로 자라는 돌나물(Sedum sarmentosum)이(이종찬, 2000) 1종 발견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