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suitable types and measures of Wildlife Crossing Structures (WCS) for mammals of Korea were analyzed to suggest basic information for design guidelines of WCS. In order to find the types and measures, we conducted field surveys on 79 WCS and literature reviews on 159 WCS. The resul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과거 2003년도에 발표된 환경부의‘생태통로 설치 및 관리지침’을 2010년도에 국내의 환경에 맞게 전면 개정하는 데 활용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7년 12월 조성된 생태통로는 몇 개 인가? 우리나라 역시 도로와 같은 선형(線形) 구조물이 국가적 생태네트워크 구축에 가장 큰 위협요인으로 지적되고 있으며(환경부, 2002),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전국적으로 2007년 12월 현재 총 379개소의 생태통로를 조성하였다(환경부, 2008). 그러나 로드킬에 대한 우려와 생태통로에 대한 효율성 논란은 계속되고 있으며, 이는 생태통로의 설계, 시공 및 사후관리 미흡에 기인하고 있다(환경부, 2006).
국가차원의 3대 핵심생태축으로 설정된 곳은 어디인가? 한편 환경부는 백두대간, 비무장지대, 도서연안 지역을 국가차원의 3대 핵심생태축으로 설정하였으며, 이들 핵심생태축과 연결되는 광역생태축 및 도시생태축을 설정하여 국토 생태네트워크의 구축을 계획하고 있다(환경부, 2007a). 그러나 이들 생태축의 규모에 따라 서식지를 연결함에 있어서 적용해야 할 생태통로의 유형과 규격에 대해서는 연구가 극히 적은 실정이다.
통로의 Openness Index란 무엇인가? 생태통로의 규격은 육교형의 경우 통로의 너비를 파악하였으며, 터널형 통로의 경우 개방도 지수 (Openness Index)를 계산 하였다. 통로의 개방도지수는 터널형 통로의 입구면적을 통로의 길이로 나눈 것으로서 주로 사슴과(科) 동물처럼 개방감이큰 구조물을 선호하는 동물에게 적합한 터널형 생태통로의 규격을 제시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다 (Reed and Ward, 1985; Clevenger and Waltho, 2003; Gordon,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국립환경과학원, 2006,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시설 설치기법 연구: 백두대간 지역을 중심으로. 

  2. 최태영, 이용욱, 황기영, 김선명, 박문선, 박그림, 박종화, 이명우, 2006, 도로횡단구조물 상의 눈 위 발자국 조사를 이용한 야생동물의 도로 횡단 특성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3): 340-344. 

  3. 최태영, 2007, 포유류의 도로횡단 특성과 행동권분석을 통한 로드킬 저감방안.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최태영, 최현명, 2007, 야생동물 흔적도감. 돌베개. 

  5. 한국도로공사, 2003, 생태통로설계기준과 주변 부대시설 조성방안에 관한 연구. 

  6. 한국도로공사, 2006, 고속도로 동물사고 방지대책에 관한 연구. 

  7. 환경부, 2002, 생태네트워크 구축 추진 전략. 

  8. 환경부, 2003a, 야생동물 이동통로 설치 및 효율적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9. 환경부, 2003b, 자연생태계 복원을 위한 생태통로 설치 및 관리지침. 

  10. 환경부, 2006, 전국 생태통로 설치 기본계획 수립 방안 연구. 

  11. 환경부, 2007a, 광역생태축 구축을 위한 연구. 

  12. 환경부, 2007b, 도로의 야생동물 서식지 단절 정도의 분석과 road-kill의 원인분석에 따른 도로유형별.동물종별 관리기법 개발. 

  13. 환경부, 2008, 생태통로 설치현황. 환경부 환경행정정보 공개자료. 

  14. Clevenger A. P. and N. Waltho, 2003, Longterm, year-round monitoring of wildlife crossing structures and the importance of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in performance studies. IN: Proceedings of the 2003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cology and Transportation, Eds. Irwin CL, Garrett P, McDermott KP. Center for Transportation and the Environment,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Raleigh, NC: pp. 293-302. 

  15. Cramer, P. and J. Bissonette, 2006, Evaluation of the Use and Effectiveness of Wildlife Crossings: Second Interim Report. National Cooperative Highway Research Program,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and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6. Retrieved from: http://www.trb.org/NotesDocs/25-27_IR.pdf. 

  16. Forman, R. T. T., D. Sperling, J. A. Bissonette, A. P. Clevenger, C. D. Cutshall, V. H. Dale, L. Fahrig, R. France, C. R. Goldman, K. Heanue, J. A. Jones, F. J. Swanson, T. Turrentine, and T. C. Winter, 2003, Road Ecology: Science and Solutions. Island Press, Washington, D.C. 

  17. Gordon, M. K., 2003, Mule Deer Use Of Underpasses In Western And Southeastern Wyoming. Habitat Connectivity: Monitoring of Crossing Structures, ICOET 2003 Proceedings. pp 309-318. 

  18. Noss, R. F., 1993, Wildlife corridors. Pages 43-68 in: Smith, D.S., and P.C. Hellmond, editors. Ecology of greenways. Design and function of linear conservation area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Minneapolis, MN. 

  19. Reed, D. F. and A. L. Ward, 1985, Efficacy of methods advocated to reduce deervehicle accidents: research and rationale in the USA. Pages 285-293 in Routes et faune sauvage. Service d'Etudes Techniques de Routes et Autoroutes. Bagneaux, France. 

  20. Ruediger, B and M. DiGiorgio, 2007, Safe Passage: A User's Guide to Developing Effective Highway Crossings for Carnivores and Natural Environment Other Wildlife. http://www.carnivoresafepassage.org/ 

  21. Seiler, A., 2005, Predicting locations of moosevehicle collisions in Sweden. Journal of Applied Ecology 42: 371-382. 

  22. White P. A., 2007, Getting up to speed: A Conservationist's Guide To Wildlife and Highways. Defenders of Wildlif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