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국 23개 식품위생검사기관을 대상으로 $1999{\sim}2000$년도의 2년간 소르빈산 분석검사결과를 수집한 후 연도별, 식품유형별 사용실태를 조사하고 국민영양조사자료에 근거하여 사용대상식품의 유형과 연령에 따른 소르빈산의 실제 섭취량을 산출하였다. 총검사수는 14,129건으로 2,561건(총검사수의 18.13%)의 소르빈산이 검출되었으며 소르빈산의 대상식품별 일일추정섭취량을 산출한 결과, 어육가공품에서 가장 높았다. 소르빈산의 일일추정섭취량은 $3.42{\sim}9.25\;mg/person/day$이었으며 $30{\sim}49$세대가 가장 소르빈산을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영양조사표에 식품별 1인1일당 섭취량과 소르빈산의 평균검출농도로부터 일일추정섭취량을 산출한 결과, 20.40 mg/person/day로 소르빈산의 ADI를 국민평균체중 55 kg으로 환산한 1,375 mg/person/day와 비교하였을 때 매우 낮았다. 이 결과는 FAO/WHO에서 평가된 일일허용섭취량(ADI)의 1.48%이었으며, 사용가능대상식품의 이론적 최대섭취량(TMDI)의 33.03% 수준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an concentration and daily intake of sorbic acid were estimated through the analysis of food samples obtained from Korea FDA and food sanitation inspection agency during $1999{\sim}2000$. Total number of samples were 14,129, among which the number of detected samples were 2,561 (detec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1999~2000년의 2년간 식품위생검사기관의 검사결과중 사용빈도와 사용량이 많은 보존료인 소르빈산에 대해 식품별, 지역별, 연령별 사용실태 조사 및 국민영양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국민의 보존료 실제 섭취량을 추정하고 FAO/WHO의 JECFA에서 설정한 일일허용섭취량 (Acceptable Daily Intake: ADI)(22)과 비교검토함으로써 실제 섭취량의 안전수준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Food Sanitation Law (2000) 

  2. Yoshio, I. Actual daily intake of food additives in Japan. Food Sanitation Res. 33: 55-73 (1983) 

  3. Sumiko, T., Chikako, Y., Tadashi, S., Kenji, I., Mieko, K., Motohiro, N., Hiromichi, H., Yoshinobu, F., Hiroyoki, K., Munehiko, G., Yoshio, S., Kiyoshi, S., Kakuyuki, O., Yasuko, M., Zensho, O., Hiroshi, M., Hisanoh, U., Teruo, S. and Yoshio, I. Daily intake of naturally occurhng cheinically synthesized food addditives in Japan. J. Food Hyg. Soc. Japan 36: 428-441 (1995) 

  4. Yoshio, I. Studies on actual daily intake of food additives in Japan. Food Sanitation Res. 38: 41-79 (1988) 

  5. Yoshi, I. Daily intakes of food additives in Japan detennination of food additives in food. Food Sanitation Res. 45: 17-67 (1995) 

  6. Ishiwata, H. and Yamada T. Estimation of food additive concentrations in foods and their daily intake based on official inspection in fiscal year 1996. J. Food Hyg. Soc. Japan 50: 7-34 (2000) 

  7. Ishiwata, H., Sugita, T., Kawasaki, Y., Takeda, Y., Yamada, T., Nishijima, M. and Fukasawa, Y. Estimation of preservative concentrations in food and their daily intake based on official inspection results in Japan in fiscal year 1996. J. Food Hyg. Soc. Japan 40: 246-258 (1999) 

  8. Ishiwata, H., Nishijima, H., Nishijima, M., Fukasawa, Y., Ito, Y. and Yamada, T. Evaluation of preservatives contents in foods and the daily intake deduced from the results of the official inspection in japan in fiscal year 1994. J. Food Hyg. Soc. Japan 38: 145 154(1997) 

  9. Shigeru, T., Sumiko, O., Akio, Y., Shigeru, M. and Tsutomu, N. Safety evalution of the estimated daily intake of food additives. J Food Hyg. Soc. Japan 23: 1-20 (1982) 

  10. Gibney, M. J. Dietary intake methods for estimating food additive intake, Regulatory Toxicol. Pharmacol. 30: 31-33 (1999) 

  11. Ministry of Agriculture, Fisheries and Food, UK. Dietary Intake of Food Additives in the UK Initial Surveillance. Pood Surveillance, 3, Her Majesty's Stationary Office, London, UK (1993) 

  12. Dokkum, W.V., Vos, R.H.D., Muys, T. and Wesstra, J.A. Minemal and trace elements in total diets in Netherlands. Br. J. Nutr. 61: 7-15 (1989) 

  13. Monica, C.R., Camargo, M., Ceilica, F.T. and Hafiz, G.F. Caffeine daily in take from dietary source in Brazil. Food Addit. Contam. 16: 79-87 (1987) 

  14. Massey, R.C. Estimation of daily intake of food preservatives. Food Chem. 60: 177-185 (1997) 

  15. Wulf, B. and Jorma, K. Contnent of essential and toxic minernal elements in Swedish market-basket diets in 1987. Br. J. Nutr. 66: 151-160(1991) 

  16.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Method Development of Scientific Justification and Intemational Harmonization on Use Levels for Food Additives (1998) 

  17. Lee, C.W., Lee, T.S. and Moon, B.S. A Study on intake of some food additives by Korean. Korean J. Food Hygiene 4: 1-20 (1989) 

  18. Kim, K.S., Lee, C.W., Lee, T.S., Lee, T.S., Yoo, S.Y., Kim, Y.K., Lee, J.D., Moon, B.S. and Shin, M.K. Study on intakes of food additives by Korean (I) (On DHA, BHA and BHT). Report of NIH Korea 22: 443-454 (1985) 

  19. Kim, K.S., Lee, C.W., Lee, T.S., Lee, Y.J., Yoo, S.Y., Kim, Y.K., Kim, K.Y., Hong, K.H., Kim, H.J. and Moon, B.S. Study on intakes of food additives by Korean (II). (On BA, Sor. A. and POB-Esters). Report of NIH Korea 23 : 631-642 (1986) 

  20. Kim, K.S., Lee, C.W., Lee, T.S., Lee, Y.J., Yoo, S.Y., Kim, Y.K., Kim, K.Y, Hong, K.H., Kim, H.J. and Moon, B.S. Study on intakes of food additives by Korean (III) (On Propionic Acid, Nitrite and Sulfites). Report of NIH Korea 24: 719-732 (1987) 

  21. Yoon, H.J., Lee, M.G., Lee, C.H., Lee, J.O. and Lee, C.W. Assessment of maxiumn use level and estimation of theoretical maximum daily intake for 9 food additives in Korea by the budget method. J. Food Hyg. Safety 14: 186-194 (1999) 

  22. FAO, IPCS Summary of evaluations performed by the Joint FAO/ WHO Expert Committee Food Additives (JECFA) (1994) 

  23. Korea Food and Drug Adminstration. Korea Food Additives Code (2001) 

  2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999) 

  25. Yoon, H.J., Cho, Y.H., Park, T.Y., Lee, C.H., Park, S.K., Cho, Y.J., Han, K.W., Lee, J.O. and Lee, C.W. Assessmet of estimated daily in takes of sorbaes for average and high consumer in Korea. J. Food Hyg. Safety 16: 178-187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