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의 소르빈산 및 안식향산 섭취수준 평가
Assessment of Estimated Daily Intake of Sorbic Acid and Benzoic Acid in the Korean Popul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28 no.4, 2013년, pp.293 - 298  

이광현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김애영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최성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임호수 (식품의약품안전처) ,  최재천 (식품의약품안전처) ,  김미혜 (식품의약품안전처) ,  김소희 (식품의약품안전처) ,  하상도 (중앙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식품첨가물의 안전관리확보를 위해 국내 식품 중 사용빈도가 높은 소르빈산류 및 안식향산류를 대상으로 모니터링을 한 후 일일추정섭취량을 평가하였다. 일일추정섭취량은 식품 중 보존료의 농도와 국민건강 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국민평균, 성별 연령별 상위섭취자($95^{th}$) 그룹으로 분류하여 산출하였고, 이를 JECFA에서 제시한 ADI와 비교하여 국민의 섭취 수준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분석된 보존료의 국민평균 일일추정섭취량은 소르빈산류 $221.60{\mu}g/kg{\cdot}bw/day$, 안식향산류 $27.30{\mu}g/kg{\cdot}bw/day$로 산출되었으며, ADI 대비 각각 0.89, 0.55% 로 섭취수준은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위섭취자($95^{th}$)의 소르빈산류 일일추정섭취량은 $1140.27{\mu}g/kg{\cdot}bw/day$로 ADI 대비 4.56%, 안식향산류 일일추정섭취량은 $194.95{\mu}g/kg{\cdot}bw/day$로 ADI 대비 3.90% 수준으로 소르빈산류 및 안식향산류의 상위섭취자 섭취수준도 안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안식향산류의 경우 남자가 여자보다 조금 높았으나 소르빈산류는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령별 섭취수준은 소르빈산류 0.52~2.01%, 안식향산류 0.15~1.23% 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모든 그룹에서 소르빈산류 및 안식향산류의 섭취수준은 ADI를 초과하지 않아 안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sorbic acids and benzoic acids frequently used in foods retailed in Korea were monitored and their estimated daily intakes were assessed for a purpose to ensure food additives safety management. The estimated daily intakes were calculated by categorizing the assessment items into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식품첨가물 안전관리 확보를 위해 식품 중 사용빈도가 높은 소르빈산류 및 안식향산류를 대상으로 주요 식품 중 보존료 함량분석 및 노출량 평가를 통해 국민의 노출수준을 확인하여 보존료의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기준규격 관리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다양한 가공식품에서 소르빈산류 및 안식향산류의 EDI를 평가하였다. 식품 중 보존료의 농도와 국민 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국민평균, 성별·연령별 상위섭취자(95th)로 그룹을 분류하여 EDI를 산출하였고, 이를 ADI와 비교하여 안전성 여부를 평가하였다.
  • 본 연구는 식품첨가물의 안전관리확보를 위해 국내 식품 중 사용빈도가 높은 소르빈산류 및 안식향산류를 대상으로 모니터링을 한 후 일일추정섭취량을 평가하였다. 일일추정섭취량은 식품 중 보존료의 농도와 국민건강·영양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국민평균, 성별·연령별 상위섭취자(95th) 그룹으로 분류하여 산출하였고, 이를 JECFA에서 제시한 ADI와 비교하여 국민의 섭취 수준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인의 보존료 섭취수준이 안전하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연구결과는 무엇인가? 국민평균, 성별·연령별 EDI는 모두 ADI이하였으며, 상위섭취자(95th)의 EDI는 국민평균 보다 높았으나 역시 ADI 이하로 평가되었다. 모든 그룹에서 소르빈산류 및 안식향산류의 섭취수준은 ADI를 초과하지 않는 안전한 수준이지만 보존료 함유량이 많은 일부 식품들의 경우 섭취량이 많을수록 보존료의 섭취량을 초과할 수 있으므로 식품 선택 시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우리나라의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어떤 일을 하는가? 따라서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소비문화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식품첨가물에 대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위해분석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우리나라 식품의약품안전처(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는 식품첨가물에 대해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국제 FAO/WHO 합동 식품 첨가물 전문가 회의에서 정하는 일일섭취허용량(Acceptable Daily Intake, ADI)을 기초로 식품첨가물의 종류와 양을 관리하고 있다4).
사용이 허용된 식품첨가물들 중 보존료는 어떤 용도로 쓰이는가? 현재 사용이 허용된 식품첨가물들 중 보존료는 미생물의 오염으로 인한 식품의 부패와 변질을 예방하는데 널리 사용되며, 이 중 소르빈산류, 안식향산류 및 파라옥시안식향산류 등은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의 미생물 오염을 예방하는데 주로 사용된다7,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hoi, S.H.: Dietary intake of preservatives, antioxidants by Korean population.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orea (2011). 

  2. Kim, H.K. and Kim, J.H.: Comparison of Awareness and Practice on Well-being Life and Related Behaviors According to Generations. J. Community Nutrition, 12, 426-439 (2007). 

  3. Choi, C.W., Park, H.S., Lee, H.M.: Acceptable daily intake assessment based on toxicological date of food additive. J. Food science and industry, 42, 1-7 (2009). 

  4. Lee, Y.M., Na, B.J., Lee, Y.S., Kim, S.C., Lee, D.H., Seo, I.W., Choi, S.H., Ha, S.D.: Monitoring of tar color content in childern's snack and its exposure assessment. J. Fd Hyg. Safety, 26, 57-63 (2011). 

  5. Seo, K.W., Yang, Y.S., Cho, B.S., Gang, G.I., Kim, J.P., Kim, E.S., Park, J.T.: The survey on food additives in frequently consumed food. J. Fd. Hyg. Safety, 23, 142-148 (2008). 

  6. 최성희, 이만술, 김애영, 김운성, 이지연, 김우선, 김용수, 박선오, 박인숙, 박은영, 김정원, 조양희, 박은정, 권대희, 김경희, 양상희 : 식품첨가물 섭취 안전성 평가 연구 - 아황산, 아질산염류, 식품의약품안전청연구보고서 (2009). 

  7. Li X.Q., Zhang F., Sun Y.Y., Yong W, Chu X.G., Fang Y.Y., Zweigenbaum J.: Accurate screening for synthetic preservatives in beverage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time-off light mass spectrometry. Anal. Chim. Acta, 608, 165-177 (2008). 

  8. Lee MR, Lin CY, Li ZG, Tsai TF.: Simultaneous analysis of antioxidants and preservatives in cosmetics by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combined with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J. Chromatogr. A, 1120, 224-251 (2006). 

  9. IPCS INCHEM. JECFA monographs. Available from: http://inchem.org/pages/jecfa.html. Accessed Oct. 01, (2007). 

  10. Kim, S.D.: Risk assessment of nutrients and food additives in non-alcoholic beverag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Dankook Univ of Food nutrition (2011). 

  11.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Daily dietary intake of food additive by Korean population. Seoul, Korea (2004). 

  12.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orean Food Additives Code. Seoul, Korea. 155-595 (2007). 

  13.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orean Food Code. Chungcheongbuk-do, Korea (2011). 

  14. Choi, S.H.: Dietary intake of food additive by Korean population-Preservative, Antioxidant.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orea (2007). 

  15.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National Food & Nutrition Statistics: based on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hungcheongbuk-do, Korea (2011). 

  16. Choi, S.H., Lee, J.Y., Park, E.Y., Won, J., Hong, K.Y., Moon, G.I., Kim, M.S. and Hong, J.H.: Assessment of Estimated Daily Intakes of Preservatives in the Korean Popul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503-509 (2008). 

  17. Yoon, H.J., Cho, Y.H., Park, J.Y., Lee, C.H., Park, S.K., Cho, Y.J., Han, K.W., Lee, J.O. and Lee, C.W.: Assessment of Esitmated Daily Intakes of Sorbates for Average and High Consumers in Korea. J. Fd. Hyg. Safety, 16, 178-187 (2001). 

  18. Kim, M.G., Yoon, M.H., Jeong, I.H., Kim, Y.H., Jeong, J.A.: A study on the sodium saccharin, sodium benzoate and potassium sorbate used in foods. J. Fd Hyg. Safety, 14, 244-248 (1999). 

  19. World Health Organization. Evaluation of Certain Food Additives (51st Report of the Joint FAO/WHO Expert Committe on food Additives). WHO Technical Report Series No.891. Geneva, Switzerland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