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산 대나무 줄기와 잎의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Korean Bamboo Culms and Leave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4 no.6 = no.166, 2002년, pp.1073 - 1078  

백종원 (인제대학교 식품생명과학과) ,  정숙현 (동서대학교 식품공학과) ,  문갑순 (인제대학교 식품과학부 바이오헬스 소재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산 대나무(맹종죽, 왕대, 솜대, 조릿대, 오죽) 70%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천연 보존제로서의 특성 및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주요 식중독균 10종으로 시험하였는데, 모든 대나무 줄기 추출물은 각 균주에 대해 항균력을 보였으나, 잎 추출물은 줄기 추출물에 비해 약한 항균성을 보이거나 균주에 따라서는 전혀 항균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특히, Staphylococcus aureus와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하여 모든 추출물이 비교적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왕대줄기 추출물의 MIC(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는 이들 균주에 대해 각각 $10\;{\mu}L/disc,\;20\;{\mu}L/disc$ 이상의 농도에서 억제되었다. 왕대 줄기 추출물의 생육저해효과는 Staphylococcus aureus와 Streptococcus mutans의 성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들 균의 성장은 0.5% 농도일 때 억제되었고 1%일 때 완전히 억제되었다. $60,\;80,\;100^{\circ}C$에서 60분, $121^{\circ}C$에서 15분간 열처리한 후 이들 균주에 대해 생육 저해환을 측정한 결과 상기의 모든 열처리에 의해서도 무열처리군과 비교하여 볼 때 항균력의 차이가 없어 열에 매우 안정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보아 왕대줄기 70% 에탄올 추출물은 향후 천연보존제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timicrobial activities in 70% ethanol extracts of Korean bamboo trees were investigated. Among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ten major strains causing food poisening, Wangdae (Phyllostachys bambusoides S. et Z.) showed the strongest activity among five major bamboo trees cultivated in Kor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나무의 항균성에 관한 연구로는 이11), 김 등12), 김 등13), 정14) 등이 보고한 바 있으나 주로  김치의 젖산균에 대한 대나무의 항균효과에 치우쳐 있고, 김 등15)은 세 종류의 국내산 대나무의 항균효과를 보고했지만 대나무 열수추출물의 당 Brix에 대한 농도로 표시하여 대나무 종류별 정확한 항균 효과를 비교한 것으로 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대나무의 정확한 항균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맹종죽, 솜대, 왕대, 조릿대, 오죽 줄기와 잎을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동결 건조한 후 주요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력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나무를  이용한 천연식품 보존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Lee, S.H. and Lim, Y.S. Antimicrobial effects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on pathogenic microorganism.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239-243 (1998) 

  2. Baratta, M.T., Dorman, H.J.D., Deans, S.G., Figueiredo, A.C., Barroso, J.G. and Ruberto, G.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some commercial essential oils. Flavour Fragr. J. 13: 235-244 (1998) 

  3. Cruz, J.M., Dom $\'{i}$ nguez, J.M., Dom $\'{i}$ nguez, H. and Paraj $\'{o}$ , J.C.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extracts from hydroly sates of ligocellulosic materials. J. Aghc. Food Chem. 49: 2459-2464 (2001) 

  4. Jumaa, M. Furkert, F.H. and M $\ddot{u}$ ller, B.W. A new lipid emulsion formulsion formulation with high antimicrobial efficacy using chitosan. European J. Pharmaceutics Biopharmaceuties 53: 115-123 (2002) 

  5. Kim, K.H., Min, K.C., Lee, S.H. and Han, Y.S.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 from dandelion (Taraxacum playcarpum D.).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822-829 (1999) 

  6. Oh, D.H., Lee, M.K. and Park, B.K.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ommercially available tea on the harmful foodbome organis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00-106 (1999) 

  7. Kong, Y.J., Hong, G.R, Kwon, H.J., Hong, J.K., Park, B.K. and Oh, D.H. Antimicrobial activies of Quercus spp. leaf ethanol extract against foodbome disease microorganis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415-420 (2001) 

  8. Shin, D.H., Kim, M.S. and Han, J.S. Antimicrobial effect of ethanol extracts from some medicinal herbs and their fractionates against food-bom bacteria.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808-816(1997) 

  9. Oh, D.H., Ham, S.S., Park, B.K. Ahn, C. and Yu, J.Y. Antimicrobial activities of natural medicinal herbs on the food spoilage or foodbome disease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957-963 (1998) 

  10. Kong, Y.J. and Oh, D.H.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Quercus mongolica leaf as natural food preservativ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243-249 (2001) 

  11. Lee, S.K. Antimicrobial activity of bamboo (Phytlostachys bambusoides) essential oil. J. Food Hyg. Safety 15: 55-59 (2000) 

  12. Kim, M.J., Kown, O.J. and Jang, M.S.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bamboo (Pseudosasa japonica Makino) leaves extracts on lacticacid bacteria related to Donschi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741-746 (1996) 

  13. Kim, M.J., Byun, M.W. and Jang, M.S. Physiological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bamboo (Sasa coreana Nakai) leav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135-142 (1996) 

  14. Chung, D.K. and Yu, R.N. Antimicrobial activity of bamboo leaves extract on microoganisms related to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1035-1038 (1995) 

  15. Kim, N.K., Cho, S.H., Lee, S.D., Ryu, J.S. and Shin, K.H. Functional propertie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bamboo extract. Korean J. Postharvest Sci. Tectmol. 8: 475-480 (2001) 

  16. Bauer, A. W., Kibby, M. M., Sherria, J.C. and Turck, M.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ing by a standardized single disk method. Am. J. Clin. Pathol. 45: 493-496 (1966) 

  17. Chung, K.H, Lee, S.H., Lee, Y.C. and Kim, J.T. Antimicrobial activity of Omija (Schiwndra chinensis)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27-132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