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광 및 광 강도별 맥문동의 광합성속도, 기공전도도 및 증산작용과 그 관련형질간의 상호연관성을 구명하였던 바는 다음과 같다. 맥문동의 광합성속도는 광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PAR$700-1000{\mu}mol/m^2/s$에서 최고치를 나타내었으며 차광에 의해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기공전도도는 광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되었고, 광합성속도, 증산작용 및 기공전도도의 일변화는 비슷한 경향의 양상을 띄었다. 광합성속도와 기공전도도와의 관계는 1차직선회귀관계로 고도의 정(正)의 상관이 인정되었으나 대조구와 차광구가 각각 다른 1차회귀직선을 보여 동일한 기공전도도에서 차광구의 광합성속도가 대조구보다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증산작용과 기공전도도 및 광합성속도와 증산작용의 관계는 양자간에 모두 1차회귀식의 정(正)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차광 및 광 강도별 맥문동의 광합성속도, 기공전도도 및 증산작용과 그 관련형질간의 상호연관성을 구명하였던 바는 다음과 같다. 맥문동의 광합성속도는 광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PAR $700-1000{\mu}mol/m^2/s$에서 최고치를 나타내었으며 차광에 의해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기공전도도는 광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되었고, 광합성속도, 증산작용 및 기공전도도의 일변화는 비슷한 경향의 양상을 띄었다. 광합성속도와 기공전도도와의 관계는 1차직선회귀관계로 고도의 정(正)의 상관이 인정되었으나 대조구와 차광구가 각각 다른 1차회귀직선을 보여 동일한 기공전도도에서 차광구의 광합성속도가 대조구보다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증산작용과 기공전도도 및 광합성속도와 증산작용의 관계는 양자간에 모두 1차회귀식의 정(正)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hading treatment on the photosynthetic rate, transpiration rate, stomatal conductance and its any correlations in Liriope platyphylla $W_{ANG}\;et\;T_{ANG}$. Followings were achieved as a conclusion. The net photosynthetic rate wa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hading treatment on the photosynthetic rate, transpiration rate, stomatal conductance and its any correlations in Liriope platyphylla $W_{ANG}\;et\;T_{ANG}$. Followings were achieved as a conclusion. The net photosynthetic rate was increased as the PAR was increased and reached maximum at the $700-1000{\mu}mol/m^2/s$ of PAR in all of leaves, also this treatment caused a higher net photosynthetic rate in comparison with control. It shows the tendency of increasing stomatal conductance caused by the increment of PAR. The diurnal changes of photosynthesis, transpiration rate and stomatal conductance were increased as the PAR was increased in the morning, but they indicated a decreased tendency in broad day. The relationship between net photosynthetic rate and stomatal conductance is well fit by the first regression linear equation. However, the values obtained from the linear equation have the different, respectively, and have highly significance. From the above results, net photosynthetic rate of shading treatment is higher than control in the same stomatal conductance. Different first regression linear equation were obtained between the transpiration rate and stomatal conductance, photosynthesis and stomatal conductance in during the control and shading treatment, to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hading treatment on the photosynthetic rate, transpiration rate, stomatal conductance and its any correlations in Liriope platyphylla $W_{ANG}\;et\;T_{ANG}$. Followings were achieved as a conclusion. The net photosynthetic rate was increased as the PAR was increased and reached maximum at the $700-1000{\mu}mol/m^2/s$ of PAR in all of leaves, also this treatment caused a higher net photosynthetic rate in comparison with control. It shows the tendency of increasing stomatal conductance caused by the increment of PAR. The diurnal changes of photosynthesis, transpiration rate and stomatal conductance were increased as the PAR was increased in the morning, but they indicated a decreased tendency in broad day. The relationship between net photosynthetic rate and stomatal conductance is well fit by the first regression linear equation. However, the values obtained from the linear equation have the different, respectively, and have highly significance. From the above results, net photosynthetic rate of shading treatment is higher than control in the same stomatal conductance. Different first regression linear equation were obtained between the transpiration rate and stomatal conductance, photosynthesis and stomatal conductance in during the control and shading treatment, too.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맥문동은 특히 광이 차단된 공간에서 조경용으로도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는 바, 노지와 차광처리에 따른 맥문동의 광합성능력의 변화와 약광조건에서 생육한 맥문동의 광 강도별 광합성속도, 증산작용 및 기공전도도 등을 조사하여 맥문동의 재배 및 관리에 기초자료로 삼고 자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제안 방법
차광처리구는 이식기(생육초기)와 개화기(생육중기)에 각각 차광처리를 실시하였는데, 차광처리방법은 하우스형 파이프를 이용하여 가로 6m, 세로 2.3m, 높이 2. 5m의 소형하우스를 제작한 후, 시판되고 있는 흑색 PE 차광막을 하우스에 덮어 차광율이 50%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3m, 높이 2. 5m의 소형하우스를 제작한 후, 시판되고 있는 흑색 PE 차광막을 하우스에 덮어 차광율이 50%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차광처리후 일정한 간격으로 광합성속도와 증산작용을 측정하였고, 광합성속도의 측정이 종료되면 엽록소 함량, 비엽면적(SLA) 등을 조사하였다.
5m의 소형하우스를 제작한 후, 시판되고 있는 흑색 PE 차광막을 하우스에 덮어 차광율이 50%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차광처리후 일정한 간격으로 광합성속도와 증산작용을 측정하였고, 광합성속도의 측정이 종료되면 엽록소 함량, 비엽면적(SLA) 등을 조사하였다.
광합성속도, 기공전도도 및 증산작용은 LI-6400 휴대용 광합성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광도에 따른 광합성 속도의 변화는 LI 640002 LED의 인공광선을 이용하여 0, 100, 300, 500, 700, 1000, 1500, 2000pmol/㎡/s의 광을 인위적으로 조사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엽록소 함량의 측정은 미놀타 SPAD 502를 이용하였고, SLA (specific leaf area)은 잎을 채취하여 엽면적을 측정한 후 80 ℃ 건조기에서 24시간 건조시킨 후 건물중을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측정하였다. 또한 엽록소 함량의 측정은 미놀타 SPAD 502를 이용하였고, SLA (specific leaf area)은 잎을 채취하여 엽면적을 측정한 후 80 ℃ 건조기에서 24시간 건조시킨 후 건물중을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대상 데이터
본 실험은 영남농업시험장에서 육성하여 1992년 우량품종으로 결정된 맥문동 1호를 공시재료로, 밀양대학교 부속농장에서 조간 30cm, 주간 10cm로 하여 주당 5본씩 2000년 5월 12일에 이식하였고, 시비량은 10a당 N-P2O5-K2O=22-15-12Kg을 전량 기비로 시용하였다.
성능/효과
, 1985)가 있는데, 차광에 따른 맥문동의 기공전도도의 변화를 광 강도에 따라 측정한 결과는 그림 2에 나타난 바와 같다. 차광처리후 67일 (7월 18일), 102일(8월 22일), 117일(9월 6일에 측정한 기공전도도는 모든 잎에서 광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기공전도도도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PAR 700~ l000μmolm-2s-1에서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처리간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7월 18일의 기공전도도가 8월 22일과 9월 6일에 비하여 다소 높았는데 이는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잎의 노화현상에 의한 엽록소의 분해가 진행되어 기공전도도가 감소된것으로 사료된다.
PAR의 경우 대조구는 700-1800μmolm-2s-1범위에 있으나 차광구는 400-800μmolm-2s-1로 대조구보다 낮았다. 대조구의 광합성속도의 일변화를 보면 시간이 경과함에따라 증가하여 11시경부터 16시20분까지 거의 일정한 광합성을 유지하였는데, 차광구의 광합성속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여 12시경에 최고치를 나타내고 이후로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14시경까지는 무차광구과 거의 동일한 광합성속도를 나타내고 그후로는 대조구에 비하여 감소한 경향을 보였는데, 이와 같은 현상은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맥문동의 광합성속도가 700μmolm-2s-1이 광포화점인 관계로 차광조건에서도 광포화점이 지속되어 비슷한 광합성속도를 나타내었고 15시 이후의 뚜렷한 차이는 광포화점 이하의 광 강도로 저하한 것으로 사료된다.
14시경까지는 무차광구과 거의 동일한 광합성속도를 나타내고 그후로는 대조구에 비하여 감소한 경향을 보였는데, 이와 같은 현상은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맥문동의 광합성속도가 700μmolm-2s-1이 광포화점인 관계로 차광조건에서도 광포화점이 지속되어 비슷한 광합성속도를 나타내었고 15시 이후의 뚜렷한 차이는 광포화점 이하의 광 강도로 저하한 것으로 사료된다. 증산작용의 일변화는 대조 구에서는 오전이 높았고 오후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차광구는 오전과 오후 비교적 일정한 증산작용을 보였는데 이는 차광으로 인한 차광 내의 온도변화와 무관치 않으리라는 생각이 든다. 기공전도도의 일변화는 광합성속도와 비교적 유사한 경향을 보여 10시30분 경부터 16시20분까지는 일정한 경향을 보였고 광 강도가 낮은 늦은 오후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벼(Ishihara et al.
같다. 양자간에는 높은 정(正)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어 기공전도도가 감소하게 되면 광합성율도 직선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대조구와 차광구 모두 1차 직선회귀식으로 나타났다. 동일한 기공전도도에서는 대조구보다 차광처리구의 광합성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자간에는 높은 정(正)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어 기공전도도가 감소하게 되면 광합성율도 직선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대조구와 차광구 모두 1차 직선회귀식으로 나타났다. 동일한 기공전도도에서는 대조구보다 차광처리구의 광합성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현상은 표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차광처리에 의한 잎의 엽록소 함량 증가로 엽내 CO2농도가 감소하여 대기중의 CO2농도와의 차를 확대시켜 결과적으로 광합성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타작물에서도 기공전도도와 광합성과의 직선 관계가 보고되어 있다(Leeetal, 1994 ; Sagawa, 1997).
증산작용과 기공전도도와의 관계는 그림 5에서 보는 바와 같은데, 기공전도도가 감소함에 따라 증산 작용도 직선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양자간에는 높은 정(正)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어 증산작용도 기공전도도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처리 간에는 서로 다른 직선회귀식으로 나타나 동일한 기공전도도에서 차광구에 비하여 대조구가 높은 증산작용을 나타내었다.
처리 간에는 서로 다른 직선회귀식으로 나타나 동일한 기공전도도에서 차광구에 비하여 대조구가 높은 증산작용을 나타내었다. 이는 높은 광량에 의하여 엽온이 상승되고 따라서엽내 수증기압이 높아져 대기 수증기압과의 차이가 나타난 데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림 6에 나타난 바와 같다. 양자간의 관계는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어 증산작용이 증가함에 따라 광합성 속도도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대조구와 차광구가 서로 다른 1차회귀식으로 나타나 동일한 증산작용에 있어서 대조구에 비하여 차광구의 광합성속도가 현저하게 높은 경향이었다.
양자간의 관계는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어 증산작용이 증가함에 따라 광합성 속도도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대조구와 차광구가 서로 다른 1차회귀식으로 나타나 동일한 증산작용에 있어서 대조구에 비하여 차광구의 광합성속도가 현저하게 높은 경향이었다.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다. 측정한 모든 잎에서 광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광합성속도도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 PAR (Photosynthetic active radiation) 700~ 1000μmolm-2s-1에서 최고치의 광합성속도를 나타내었고 그 이상의 광에서는 증가되는 경향을 보이지 않음으로서벼(秋田, 1980), 콩(Kumura, 1968) 등의 작물과 거의 동일한 경향의 결과를 보였다. 처리간에는 차광후 67일 (7월 18일)에서는 대조구에 비하여 차광처리구가 모든 광 강도에서 높은 광합성속도를 보였고, 이보다 생육이 진전된 8월 22일(차광후 102일에 측정한 결과도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7월 18에 비하여 모든 광 강도에서 저하된 경향이었다.
참고문헌 (19)
Beuerlein JF, Pendleton W (1971) Photosynthetic rate and light saturation curves of individual soybean leaves under field conditions. Crop Sci 11 : 217-219
Ishihara K, Ishida Y, Ogura T (1971)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behaviour of stomatal in the rice plant. II. On the diurnal movement of the stomata. Jpn J Crop Sci 40 : 497-505
Kumura A (1968) Studies on dry matter production of soybean plant. IV. Photosynthetic properties of leaf as subsequently affected by light condition. Jpn J Crop Sci 37 : 583-588
Lee CY, Tsuno Y, Nakano J, Yamaguchi T (1994) Ecophysiological studies on the drought resistance of soybean. I . Changes in photosynthesis, transpiration and root respiration with soil moisture deficit. Jpn J Crop Sci 63 : 215-222
Lee CY, Tsuno Y, Nakano J, Yamaguchi T (1995) Ecophysiological responses to weak light condition in soybean II.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changes of photosynthetic rate affected by shading treatment. Rep Chugoku Crop Sci Jpn 36 : 51-57
Sagawa S (1997) The effect of reflected light on the photosynthetic rate and lower leaves and seed yield in the soybean plant. Jpn J Crop Sci 66 : 571-577
Tsuno Y, Yamaguchi T (1989) Adaptive regulation of photosynthesis in rice plant to weak light condition and contribution of root activity to regulation mechanism. Jpn J Crop Sci 58: 74-83
Yamamoto M, Takeda G, Nakajima T (1985) Studies on the variability of stomatal density in soybean cultivars. II. Influence of restrictions of soil moisture and light intensity on stomatal density. Jpn J Crop Sci 54 : 127-133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