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초에서 시기에 따라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주요성분은 hexanal, (E)-2-hexenal, ${\alpha}-pinene$, myrcene, (Z)-ocimene+limonene, $(E)-{\beta}-ocimene$, linalool, citronellal, estragole 이었으며, 특히 estragole은 모든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초피에서 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성분은 hexanal, (Z)-3-hexenol, n-hexanol, ${\alpha}-pinene$, limonene, 1,8-cineole, citronellal, estragole, citronellol 이었으며, 이중 (Z)-3-hexenol ${\alpha}-pinene$, limonene, citronellal이 모든 지역에서 공통으로 나타났다. 수목원에서 월별 변화를 보이는 성분을 관찰한 결과. 산초는 ${\alpha}-pinene$, myrcene, (Z)-3-hexenyl acetate, ${\alpha}-phellandrene$, (Z)-ocimene+limonene, ${\beta}-phellandrene$, linalool, geranyl acetate 이였으며, 초피는 hexanal, (Z)-3-hexenol, (E)-2-hexenal, n-hexanol, ${\alpha}-pinene$, (Z)-ocimene, limonene, citronellal, geranyl acetate, ${\beta}-caryophyllene$ 이였다. 그러나 지역별 채집한 개체에 나타났던 estragole이 수목원에 식재된 산초나무 잎에서 미량으로만 존재한 이유는 열매를 맺지 못할 정도의 어린나무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어 estragole 성분은 열매를 맺는 시기에 증가되는 성분이라 사료되었다.
산초에서 시기에 따라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주요성분은 hexanal, (E)-2-hexenal, ${\alpha}-pinene$, myrcene, (Z)-ocimene+limonene, $(E)-{\beta}-ocimene$, linalool, citronellal, estragole 이었으며, 특히 estragole은 모든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초피에서 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성분은 hexanal, (Z)-3-hexenol, n-hexanol, ${\alpha}-pinene$, limonene, 1,8-cineole, citronellal, estragole, citronellol 이었으며, 이중 (Z)-3-hexenol ${\alpha}-pinene$, limonene, citronellal이 모든 지역에서 공통으로 나타났다. 수목원에서 월별 변화를 보이는 성분을 관찰한 결과. 산초는 ${\alpha}-pinene$, myrcene, (Z)-3-hexenyl acetate, ${\alpha}-phellandrene$, (Z)-ocimene+limonene, ${\beta}-phellandrene$, linalool, geranyl acetate 이였으며, 초피는 hexanal, (Z)-3-hexenol, (E)-2-hexenal, n-hexanol, ${\alpha}-pinene$, (Z)-ocimene, limonene, citronellal, geranyl acetate, ${\beta}-caryophyllene$ 이였다. 그러나 지역별 채집한 개체에 나타났던 estragole이 수목원에 식재된 산초나무 잎에서 미량으로만 존재한 이유는 열매를 맺지 못할 정도의 어린나무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어 estragole 성분은 열매를 맺는 시기에 증가되는 성분이라 사료되었다.
(Z)-ocimene+limonene, $(E)-{\beta}-ocimene$ and citronellal showed seasonal variation in the leaves of Z. schinifolium. Especially estragole was detected at fruiting stage regardless of collection sites. Common variation components in the leaves of Z. piperitum at all collection sites wer...
(Z)-ocimene+limonene, $(E)-{\beta}-ocimene$ and citronellal showed seasonal variation in the leaves of Z. schinifolium. Especially estragole was detected at fruiting stage regardless of collection sites. Common variation components in the leaves of Z. piperitum at all collection sites were (Z)-3-hexenol, ${\alpha}-pinene$, limonene and citronellal. The compositions with monthly variation in Z. schinifolium at arboretum were ${\alpha}-pinene$, myrcene, (Z)-3-hexenyl acetate, ${\alpha}-phellandrene$, (Z)-ocimene+limonene, ${\beta}-phellandrene$, linalool, geranyl acetate while in Z. piperitum were hexanal, (Z)-3-hexenol, (E)-2-hexenal, hexanol, ${\alpha}-pinene$, (Z)-ocimene, limonene, citronellal, geranyl acetate, ${\beta}-caryophyllene$. Estragole was not detected in Z. schinifolium leaves at arboretum due to too young tree to bearing fruit on it.
(Z)-ocimene+limonene, $(E)-{\beta}-ocimene$ and citronellal showed seasonal variation in the leaves of Z. schinifolium. Especially estragole was detected at fruiting stage regardless of collection sites. Common variation components in the leaves of Z. piperitum at all collection sites were (Z)-3-hexenol, ${\alpha}-pinene$, limonene and citronellal. The compositions with monthly variation in Z. schinifolium at arboretum were ${\alpha}-pinene$, myrcene, (Z)-3-hexenyl acetate, ${\alpha}-phellandrene$, (Z)-ocimene+limonene, ${\beta}-phellandrene$, linalool, geranyl acetate while in Z. piperitum were hexanal, (Z)-3-hexenol, (E)-2-hexenal, hexanol, ${\alpha}-pinene$, (Z)-ocimene, limonene, citronellal, geranyl acetate, ${\beta}-caryophyllene$. Estragole was not detected in Z. schinifolium leaves at arboretum due to too young tree to bearing fruit on it.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2001)에 의하면 8월부터 채집 한산초나무에서 그 전에는 없던 estragole 성분이 검출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산초와 초피나무에서 열매가 맺히면서 잎성분에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제안 방법
지역간 차이를 알기 위하여 산초는 전남 순천 조계산 선암사와 송광사, 경남 양산 통도사, 초피는 경북 문경 김룡사, 경남 양산 통도사에서 잎만 무성한 6월과 열매가 익어가는 9월, 두 차례에 걸쳐 잎을 수집, 분석하였다. 또한 보다 정확한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매 월 같은 날에 서울대학교부 속 수목원에 식재된 산초와 초피나무잎을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보다 정확한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매 월 같은 날에 서울대학교부 속 수목원에 식재된 산초와 초피나무잎을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산초와 초피나무는 서울대학교 부속 수목원 표본실에서 동정 및 표본 제작하였다.
또한 보다 정확한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매 월 같은 날에 서울대학교부 속 수목원에 식재된 산초와 초피나무잎을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산초와 초피나무는 서울대학교 부속 수목원 표본실에서 동정 및 표본 제작하였다.
대상 데이터
산초는 개체가 4개 이상되는 3개 지역에서 Headspace SPME법에 의해 얻어진 총 62개, 초피는 2개 지역에서 총 53개 정유 조성 성분 중 평균 1% 이상 되는 성분을 선별하였다. 이 중 각 지역별로 시기별 차이를 보이는 성분을 찾기 위해 5% 유의수준에서 SAS(SAS Institute 1999)의 PROC GLM(General Linear Mode Is) 을 이용하여 유효성이 인정되는 정유성분을 선별하였다.
데이터처리
성분을 선별하였다. 이 중 각 지역별로 시기별 차이를 보이는 성분을 찾기 위해 5% 유의수준에서 SAS(SAS Institute 1999)의 PROC GLM(General Linear Mode Is) 을 이용하여 유효성이 인정되는 정유성분을 선별하였다.
성능/효과
이였다. 1% 유의수준에서 시기별 차이를 보이는 성분은 선암사에서 hexanal, (E)-2-hexenal, α-pinene, (Z)-ocimene+ limonene, (E)-β-ocimene, citronellal, estragole 이였으며, 송광사에서는 (E)-β-ocimene, estragole, 통도사에서는 myrcene, (Z)-ocimene+limonene, linalool, citronellal, estragole 이었다. 3개 지역에서 시기별 차이를 보이는 성분이 다르긴 하지만 가장 공통된 성분은 estragole 이었다.
초피는 전체적으로 53개 향기 성분이 동정되었으며, 이중 평균 1% 이상되는 성분은 김룡사는 14개,통도사 는 13개 였다. 1% 유의수준에서 시기별 차이를 보이는 성분은 김룡사에서는 hexanal, (Z)-3-hexenol, a-pinene, limonene, citronellal, estragole, citronellol 이였으며, 통도사에서는 (Z)-3-hexenol, n-hexanol, a-pinene, limonene, 1,8-cineole, citronellal 이였다.
식재된 산초와 초피나무의 잎을 분석한 결과(Table 3), 1% 유의수준에서 월별 차이를 보이는 성분은 산초 의 경우 a-pinene, myrcene, (Z)-3Tiexenyl acetate, aphellandrene, (Z)-ocimene+limonene, β-phellandrene, linalool, geranyl acetate 였다. 표 1 에서는 aphellandrene 성분의 시기별 변화가 없었으나, 표 3에서 는 월별 변화가 1% 유의수준에서 인정되었다.
하지만 표 4에서 1% 유의수준에서 차이를 보인 (E)-2-hexenal 성분과 5% 유의수준에서 차이를 보인 myrcene과 A-phellandrene 성분의 차이는 표 2에서 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표 2의 통도사 지역에서 1% 유의수준에서 차이를 보인 1,8-cineole 성분과 김룡사 지역의 5% 유의수준에서 차이를 보인 citronellyl acetate 성분의 변화가 없었으며, 1% 유의수준에서 시기 별 차이를 보인 estragole 성분은 검출되지 않았다 (Table 4). 수목원의 초피나무의 경우 형태적으로 1.
5m 안팎의 관목이지만, 생육이 좋지않아 열매를 맺지 못하였다. 초피나무의 경우 산초나무와 다르게 미량이라 도 estragole 성분을 검출할 수 없었으며, Chae et al. (2001)이 보고한 5월부터 9월까지 지역별로 채집한 초피나무 잎의 성분에서도 estragolee 검출되지 않았다. 5월과 9월에 채집 분석한 운달산 지역은 a-pinene, (E)-β-pcimene, citronellol 성분의 변화가 있었고, azulene 성분이 새롭게 검출되었다.
(2001)이 보고한 5월부터 9월까지 지역별로 채집한 초피나무 잎의 성분에서도 estragolee 검출되지 않았다. 5월과 9월에 채집 분석한 운달산 지역은 a-pinene, (E)-β-pcimene, citronellol 성분의 변화가 있었고, azulene 성분이 새롭게 검출되었다. 하지만 이 운달산 지역은 표 2의 김룡사와 같은 지역이지만 estragole 성분이 검출되지 않았다.
산초에서 시기에 따라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주요성분은 hexanal, (E)-2-hexenal, a-pinene, myrcene, (Z)- ocimene+limonene, (E)-β-ocimene, linalool, citronellal, estragole 이었으며, 특히 estragolee 모든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초피에서 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성분은 hexanal, (Z)-3-hexenol, n-hexanol, a-pinene, limonene, 1,8-cineole, citronellal, estragole, citronellol 이었으며, 이 중 (Z)-3-hexenol, a-pinene, limonene, citronellal이 모든 지역에서 공통으로 나타났다.
초피에서 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성분은 hexanal, (Z)-3-hexenol, n-hexanol, a-pinene, limonene, 1,8-cineole, citronellal, estragole, citronellol 이었으며, 이 중 (Z)-3-hexenol, a-pinene, limonene, citronellal이 모든 지역에서 공통으로 나타났다. 수목원에서 월별 변화를 보이는 성분을 관찰한 결과 산초는 a-pinene, myrcene, (Z)-3-hexenyl acetate, phellandrene, (Z)-ocimene+1imonene, β-phellandrene, linalool, geranyl acetate 이였으며, 초피는 hexanal, (Z)-3-hexenol, (E)-2-hexenal, n-hexanol, a-pinene,(Z)-ocimene, limonene, citronellal, geranyl acetate,β-caryophyllene 이였다. 그러나 지역별 채집한 개체에 나타났던 estragole이 수목원에 식재된 산초나무 잎에서 미량으로만 존재한 이유는 열매를 맺지 못할 정도의 어린 나무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어 estragole 성분은 열매를 맺는 시기에 증가되는 성분이라 시료되었다.
참고문헌 (9)
Chae YA, Cho MG, Song JS (2001) Identification of chemotypes in traditional aromatic plant resources Z schinifolium Siebold etZucc. and Z. piperitum DC. Korean J. Breed. 33 : 126-132
Claudia D, Pedro B, Alfredo C, Norberto F, Marta P (1999) Essential oil of Lippia aff. juneliana grown in San Luis, Argentina. Effect of harvesting period on the essential oil composition. J. Essent. Oil Res.. 11 : 104-106
Hay R, Waterman P (1993) Volatile oil crops. Longman Scientific & Technical. U. K. pp. 63-92
Hiroshi K, Akira K, Kikue K, Akio K (1997) Aroma compounds in the leaves of japanese pepper (Z piperitum DC.) and their formation from glycosides. Biosci. Biotech. Biochem.. 61 : 491-494
Kim JH, Lee KS, Oh WT, Kim KR (1989) Flavor components of the fruit peel and leaf oil from Zanthoxylum piperitum DC. Korean J. FoodSci. Technol. 21 : 562-568
Kim YD, Kang SK, Choi OJ, Jung HS, Jang MJ, Seo JS, Ko MS (2001) Changes in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Chopi (Zanthoxylum piperitum DC.) according to varieties and picking date. J. Korean Soc. FoodSci. Nutr. 30 : 199-203
Ko YS, Han HJ (1996) Chemical constituents of Korean Chopi (Zanthoxylum piperitum) and Sancho(Zanthoxylum schinifolium).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 19-27
Lee SU (1978) History of foods in life before Korea dynasty. Hyangmoonsa. Seoul. pp. 523
Yu TJ (1970) Food processing and preservation. Moonwoondang. Seoul. pp. 215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