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손바닥 선인장 열매를 이용한 전통주 개발 - I. 전통주 제조기법을 이용한 발효주 및 증류주의 특성 -
The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Wine Using the Fruits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 I. Characteristics of Mashes and Sojues - 원문보기

한국농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Chemistry and Biotechnology, v.45 no.1, 2002년, pp.11 - 17  

배인영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윤은주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우정민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주신 ((주)풀무원 기술연구소) ,  양차범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현규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도 손바닥 선인장 열매주를 제조함에 있어 질소원의 첨가에 따른 발효 중 성분 변화를 조사하고, 이를 증류시 품질 및 기호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질소원을 첨가한 2단 담금부터 발효 종료일까지 성분 변화는 질소원 첨가 유무에 따라 각각 pH $3.7{\sim}3.8$, $3.6{\sim}3.7$, 산도 $4.2{\sim}6.5$, $1.2{\sim}1.5$, 당도 $10.0{\sim}10.8$, $5.6{\sim}6.0$ $^{\circ}Brix$, 환원당 $3.50{\sim}3.83$, $6.43{\sim}6.73$ mg/ml, 알코올 $8.1{\sim}9.8$, $8.0{\sim}9.1%$로 산도, 당도, 알코올은 증가하고, pH와 환원당은 감소하였다. 질소원을 첨가한 발효주가 첨가하지 않은 발효주에 비해 pH, 산도, 당도는 높았고 환원당은 낮았다. 발효과정에서 yeast의 생육도는 증가, bacteria는 감소하였으며 질소원을 첨가함으로써 그 경향은 더욱 증가하였다. 발효주를 증류한 후 각각 후류와 증류수로 희석하여 알코올 농도를 22%로 조정한 증류주의 pH는 $3.7{\sim}4.0$, 산도는 $0.02{\sim}0.10$, 당도는 $5.4{\sim}6.1\;^{\circ}Brix$였다. 향기성분으로는 acetaldehyde, acetyl acetone, acetic acid ethyl ester, ethyl alcohol, 2-propyl alcohol, acetone, n-propyl alcohol, butanoic acid methyl ester, 2-phenyl ethanol, thymol, acetic acid phenyl ester, vanillic aldehyde 등이 공통으로 검출되었고, 그 밖의 향기성분은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다. 또한 이들의 관능검사 결과, 색과 향에서는 유의적인(p<0.05) 차이를 보였으나,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는 시료간 유의적인(p<0.05) 차이가 없었다. 전체적으로 질소원을 첨가하지 않은 술덧을 증류하여 증류수로 희석한 증류주가 높은 pH와 당도, 낮은 산도를 보였으며 기호도에서도 가장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with/without nitrogen source and quality of the fruit distillate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Korean traditional liquor. As the fermentation period increased, acidity, brix degree, and alcohol concentra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손바닥 선인장 열매를 이용한 발효주 제조를 위해서는 점질 물을 분해하여 발효에 참여시키기 위한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고압멸균기를 이용하여 점질물이 최대로 분해되는 조건설정(당도 및 환원당 함량 측정)과 이를 최대로 당화시킬 수 있는 누룩을 선정하고자 예비실험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선인장 열매와 2배량의 물을 첨가하여 121℃, 15 psi에서 2시간 동안 autoclave함으로써 점질물의 분해가 가장 잘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손바닥 선인장 열매주의 개발과 산업화의 기초연구로서 우리나라의 전통방법에 따라 제조한 발효주 및 증류주의 특성을 보고하고자 한다. 즉 손바닥 선인장 열매주를 제조함에 있어 질소원의 첨가특성과 발효과정 중성 분의 변화 등을 조사하고, 증류에 따른 품질 및 기호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 및 증류주의 특성을 보고하고자 한다. 즉 손바닥 선인장 열매주를 제조함에 있어 질소원의 첨가특성과 발효과정 중성 분의 변화 등을 조사하고, 증류에 따른 품질 및 기호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Yu, T. J. (1984) The development method of Korean traditional liquors. Liquor Industry 4, 7-10 

  2. Jang, J. H. (1987) The Korean tradidonal Yakju. Liqwr Indus-try 1, 6-16 

  3. Sung, G. 0. (1989) Production and marketing of Takju and Yakju. Korean J. Dietary Cutture 4, 287-292 

  4. Min, Y. K. and Lee, M. K. (1997) The changes of the quality of jujube wine during its manufacturing operations, food Enei-neerins Progress 1, 81-86 

  5. Min, Y. K., Lee, M. K. and Jeong, H. S. (1997)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jujube alcoholic beverage from different addi-tional level of jujube fruit. Korean Agric. Chem. Soc. 40, 433-437 

  6. Woo, K. L. and Lee, S. H. (1994) A study on wine - making with dried persimmon produced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204-212 

  7. Yu, T. J. and Han, B. R. (1988)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Chaenomeles sinensis wine. Thesis collection of Agricvlture & Forestry 211-224 

  8. Jang, E. J. (1985)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omija wine, M.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9. Ahn, M. O. (1984)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Acanthopana-cis Cortex fruit wine, M.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10. Choi, S. H., Lee, M. H., Shin, C. S., Sung, C., Oh, M. J. and Kim, C. J. (1996) Effect of stomge condition on the quality of the wine and Yakju made by Lycium chinense Miller. Korean Agric. Chem. Soc. 39, 338-342 

  11. The Small House (1985) The Chinese Herb Dictionary. Shang-hai Science Technology Publishing Company, Tokyo, Japan 

  12. Lee, Y. C., Hwang, K. H., Han, D. H. and Kim, S. D. (1997) Composition of Opuntia ficus-indica. Korean J. Food Sci. Tech-not. 29, 847-853 

  13. Lee, H. J. (1997) A Study on Antiulcer effects of Ovuntia Dit-lenii Haw. on stomach ulcer induced by water-immersion stress in rats,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4. Kim, I. H., Kim, M. H., Kim, H. M. and Kim, Y. E. (1995) Effect of andoxidants on the thermostability of red pigment in prickly pear. Korean J. Food Sci. Technot. 27, 1013-1016 

  15. Chung, M. S. and Kim, K. H. (1996) Stability of betanine extracted from Opunda Ficus-Indica var. saboten. Korean J. Soc. Food Sci. 12, 506-510. 

  16. Chung, H. J. (2000)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Opuntia Fucus hidica var. saboten. Korean J. Soc. Food Sci. 16, 160-166 

  17. Miguel, C. C. (1995) Tequila production, Critical Reviews in Biotechnotosy 15, 1-11 

  18. The Textbook of Liquor manufacture (1997) National Tax Ser-vice Technology Institute, Seoul, Korea 

  19. Jang, K. J. and Yu, T. J. (1981) Studies on the components of Sokokju and commercial Y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13, 307-313 

  20. Shin, K. R., Kim, B. C., Yang, J. Y. and Kim, Y. D. (1999) Characteristic of Yakju prepared with yeasts from fmits 2.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kju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801-804. 

  21. Min, Y. K. and Cho, J. G. (1994)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some medicinal herb rice wine. Korean Aeric. Chem. Soc. 37, 175-181 

  22. Jung, J. H. (1992)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distillate (Jin-do hong-ju). The research reports of Miwon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food & Dietary Cutture 3, 63-81 

  23. Food Processing (2000) Korea Food & Drug Admimstration, Seoul, Korea 

  24. Hara, S. (1967) A view of Sake component; Alcohols. J. Soc. Brew. Japan 62, 1195-1205 

  25. Yuda, J. (1976) Brewing component; Beer (Fermented flavor component). J. Soc. Brew. Japan 71, 819-830 

  26. Nismya, T. (1977) Brewing component; Spiiits (Component). J. Soc. Brew. Japan 72, 415-432 

  27. Nunokau, T. (1967) A view of Sake component; Ester. J. Soc. Brew. Japan 62, 854-860 

  28. Owaki, K. (1967) A view of Sake component; Carbonyl. J. Soc. Brew. Japan 62, 1098-1105 

  29. Mordi, R. C. (1993) Carotenoids functions and degradation. Chem. Ind. 75, 79-83 

  30. Naf, R., Velluz, A. and Thommen, W. (1990) Isolation of a glucosidic precursor of damascenone from Lycium halimifo-lium Mil. Tetrahedmn Lett. 31, 6521-6522 

  31. Scot, M. B and Terry, L. P. (1996) Characterization of tequila flavor by mstrumetal and sensory analysis. J. Agric. Food Chem. 44, 557-5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