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미자는 유기산 함량이 5~7%로써 대단히 높기 때문에 기호성이 우수한 과일주를 제조하려면 희석이 불가피하다. 본 연구에서는 오미자를 희석하는데 향기와 총산 함량이 적고 당분이 풍부한 배를 이용하였는데, 오미자와 배를 1:9~1:15로 희석할 경우, 일반 과일주의 총산 농도인 0.6~0.7%와 비슷하게 되었다. 오미자 배 혼합 발효주의 경우 오미자의 붉은색이 엷어지는데, 이러한 적색을 보정하기 위하여 복분자와 개량머루 발효주를 적용한 결과, 복분자 발효주의 색상이 오미자 색상과 비슷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오미자 배혼합 발효주의 적색도 보정용으로 복분자 발효액을 첨가할 경우, 무게 비율로 3~5% 첨가시 오미자의 붉은색 이미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미자 배 혼합 발효주의 쓴맛을 완화시키면서 단맛을 부여하며 효모에 의한 2차 발효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비발효성 당인 자일리톨을 첨가한 결과, 오미자 배 혼합 발효주에 대하여 자일리톨을 2~5% 첨가한 것이 기호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mija contains high organic acid content (5~7%) that must be reduced in order to produce high quality wine for consumption. In this study, we used pear, which has low total acid but plenty of sugar, to relieve the sourness of Omija material. Our group mixed Omija and pear at a ratio of 1:9 to 1:15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오미자의 신맛과 쓴맛을 완화하기 위하여 신맛과 쓴맛이 거의 없는 배를 이용하였으며, 오미자와 배를 혼합한 오미자 · 배 혼합 발효주 제조 방법에 대한 연구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미자는 어떤 맛이 나는가? 오미자는 단맛, 신맛, 매운맛, 쓴맛, 짠맛의 다섯 가지 맛이 나며, 오미자의 명칭도 이러한 특색에 의해서 유래되었다(Lee et al 1989). 한방에서는 진정, 진해, 해열 등의 중추억제 작용과 간 보호 및 혈압 강하 작용, 알코올에 대한 해독 작용 및 항산화 효과 등으로 오미자가 사용되고 있다.
한방에서 오미자는 어디에 사용되고 있는가? 오미자는 단맛, 신맛, 매운맛, 쓴맛, 짠맛의 다섯 가지 맛이 나며, 오미자의 명칭도 이러한 특색에 의해서 유래되었다(Lee et al 1989). 한방에서는 진정, 진해, 해열 등의 중추억제 작용과 간 보호 및 혈압 강하 작용, 알코올에 대한 해독 작용 및 항산화 효과 등으로 오미자가 사용되고 있다.(Kim et al 1973, Oh et al, 1990, Kim et al 1992).
오미자 · 배 혼합 발효주의 제조공정은 어떻게 되는가? 또한 당도가 높아 최소량의 가당만으로 과실주를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먼저 오미자는 동결된 것을 녹인 후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아황산염(메타중아황산칼륨, K2S2O5)을 무게비로 200 mg/kg 농도로 처리하였다. 배도 파쇄기로 으깬 다음 갈변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황산염을 오미자와 동일하게 200 mg/kg 처리하였다. 으깬 두 시료의 적정 혼합 비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오미자와 배를 1:0에서 1:15까지 단계적으로 혼합한 후 발효 특성을 조사하였다. 발효액에서 오미자 색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복분자와 개량머루 발효액을 이용하였다. 발효액 제조 시 원료를 으깰 때 아황산염을 200 mg/kg 농도로 처리하였으며, 당도를 22 °Brix 되게 조정한 다음 25℃에서 10일간 발효 후 압착한 것을 색도 보정용 발효액으로 이용하였다. 오미자 · 배 혼합 발효주의 색도 보정은 복분자와 개량머루 발효액을 무처리에서 15%까지 단계별로 첨가하였으며, 각 처리별 술의 품질과 기호성을 평가하였다. 최종적으로 오미자 · 배 혼합 발효주의 맛을 부드럽게 하면서 2차 발효를 억제하기 위하여 비발효성 당인 자일리톨을 무게 비율로 무처리에서 10%까지 단계적으로 처리하여 기호성을 평가함으로써 자일리톨의 최적 첨가 비율을 규명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oulton RB, Singleton VL, Bisson LF, Kunkee RE (1996) Principles and practices of winemaking. Chapman & Hall, New York, pp 153-167. 

  2. Chang EH, Jeong ST, Park KS, Yun HK, Roh JH, Jang HI, Choi JU (2008a)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nd imported red wines. Korean J Food Preserv 15: 203-208. 

  3. Chang EH, Jeong ST, Roh JH, Yun HK, Park KS, Choi JU, (2008b) Effect on wine quality of pre-treatment of grapes prier to alcohol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15: 824-831. 

  4. Hyun KH, Kim HJ, Jeong HC (2002) A study on determining chemical compositions of Schizandra chinensis. Korean J Plant Res 15: 1-7. 

  5. Jeong AS, Ahn SY (2006) A study on marketing strategy of max-imowiczia Chinensis in Jangsu-gun.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0: 41-49. 

  6. Jeong PH, Kim YS, Shin DH (2006a) Changes of physicochemical haracteristics of Schizandra chinensis during postharvest ripening at various temperatur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469-474. 

  7. Jeong ST, Goto-Yamamoto N, Hashizume K, Esaka M (2006b) Expression of the flavonoid 3'-hydroxylase and flavonoid 3',5'-hydroxylase genes and flavonoid composition in grape (Vitis vinifera). Plant Science 170: 61-69. 

  8. Jeong TS, Jeong EJ, Lee SH (2008) Effect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l-kimchi with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water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301-1306. 

  9. Jung GT, Ju IO, Choi JS, Hong JS (2000) Preparation and shelf-life of soybean curd coagulated by fruit juice of Schizandra chinensis Ruprecht (Omija) and Prunus mume (maesil).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087-1092. 

  10. Kang KC, Park, JH, Baek SB, Jhin HS, Rhee KS (1992) Optimization of beverage preparation from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by response surface methodlogy.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74-81. 

  11. Kim JH, Lee SY, Kim KB, Song EJ, Kim AR, Kim MJ, Ji KW, Ahn IS, Ahn DH (2007a) Effect of Glycyrrhiza uralensis, Menthae herba, Schizandra chinensis and chitosan on the shelf-life and quality of Takju.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436-1443. 

  12. Kim HL, Jung BN, Sohn BK (2007b) Production of weak acid by anaerobic fermentation of soil and antifungal effect. J Microbiol 17: 691-694. 

  13. Kim KI, Nam JH, Kwon TW (1973) On the proximate composition, organic acids and anthocyanin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Korean J Food Sci Technol 5: 178-182. 

  14. Kim TC, Lee GD, Yoon HS (1992)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methanol extract in Galla rhois. Korean J Food Hygiene 7: 107-112. 

  15. Kim YS, Park YS, Lim MH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Prunus mume and Schizandra chinensis H-20 extracts and their effects on quality of functional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893-897. 

  16. Lee JS, Lee MG, Lee SW (1989) A study on the general components and minerals in parts of Omija(Schizandra chinensis Baillon). Korean J Dietary Culture 4: 173-176. 

  17. Lee SH, Kim MH (2009)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an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Omija wines made by different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82-187. 

  18. Lim YS, Sil IW (2004) Isolation of a baterial strain for fermentation of Omija vinega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4: 508-512. 

  19. Moon SW, Jang MS (2000) Effect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on the sensory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Nabak Kimchi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822-831. 

  20. Oh SL, Kim SS, Min BY, Chung DH (1990) Composition of free sugars, free amino acids, non-volatile organic acids and tannins in the extracts of L. chinensis M., A. acutiloba K., S. chinensis B. and A. sessiliglorum S..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76-8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