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사회적 담론의 형성, 발전, 변화 과정을 공간적 모델의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상이한 담론들 간 상호적으로 작용하는 권력관계의 복합성과 유연성, 역동성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적 담론 공간은 내부/외부라는 차별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개별담론이 사회적으로 지각, 인지, 통용되기 위해 공간 내부에 진입해야 하며, 권력 획득 정도에 따라 사회적 담론공간 내에 중심부/주변부라는 불균등한 위치성을 갖는다. 따라서 사회적 담론공간 에서는 다차원적인 권력관계가 다방향적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후기 자본주의의 실제 정치과정에서 신자유주의적 정치권력과 신보수주의적 문화권력이 대두하면서, 사회적 담론공간이 개인주의적 소비주의나 획일적인 집단주의로 동질화되고 양분되는 경향을 보여왔다. 더불어 선택적이고 차별적인 문화적 시민권이 사회적 담론공간을 규제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미시권력과 거대권력 혹은 보수주의와 자유주의가 충돌하는 권력의 중첩지점, 즉 지배권력 대한 타자적 위치가 저항적인 개별담론들이 성장할 수 있는 대안적 공간으로서 고려되어야 한다. 나아가 타자의 담론이 사회적으로 생산되고 전달될 수 있는 민주적인 담론공간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사회적 담론의 형성, 발전, 변화 과정을 공간적 모델의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상이한 담론들 간 상호적으로 작용하는 권력관계의 복합성과 유연성, 역동성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적 담론 공간은 내부/외부라는 차별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개별담론이 사회적으로 지각, 인지, 통용되기 위해 공간 내부에 진입해야 하며, 권력 획득 정도에 따라 사회적 담론공간 내에 중심부/주변부라는 불균등한 위치성을 갖는다. 따라서 사회적 담론공간 에서는 다차원적인 권력관계가 다방향적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후기 자본주의의 실제 정치과정에서 신자유주의적 정치권력과 신보수주의적 문화권력이 대두하면서, 사회적 담론공간이 개인주의적 소비주의나 획일적인 집단주의로 동질화되고 양분되는 경향을 보여왔다. 더불어 선택적이고 차별적인 문화적 시민권이 사회적 담론공간을 규제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미시권력과 거대권력 혹은 보수주의와 자유주의가 충돌하는 권력의 중첩지점, 즉 지배권력 대한 타자적 위치가 저항적인 개별담론들이 성장할 수 있는 대안적 공간으로서 고려되어야 한다. 나아가 타자의 담론이 사회적으로 생산되고 전달될 수 있는 민주적인 담론공간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analysing complexity, flexibility and dynamism of social discoursive spac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social discourse is analogous to that of a spatial structure of social discourse. Post-capitalist society has seen New-Liberalism and New-Conservatism have become dom...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analysing complexity, flexibility and dynamism of social discoursive spac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social discourse is analogous to that of a spatial structure of social discourse. Post-capitalist society has seen New-Liberalism and New-Conservatism have become dominant, resulting in the deterioration of the cultural politics of citizenship. It is argued that the position of otherness, in which those binary structures (inside/outside or centre/margin) collide and collapse, is where subversive discourse can emerge to dominant discursive power.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democratize social discursive space, through which the Other becomes able to. participate in the social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social discourse.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analysing complexity, flexibility and dynamism of social discoursive spac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social discourse is analogous to that of a spatial structure of social discourse. Post-capitalist society has seen New-Liberalism and New-Conservatism have become dominant, resulting in the deterioration of the cultural politics of citizenship. It is argued that the position of otherness, in which those binary structures (inside/outside or centre/margin) collide and collapse, is where subversive discourse can emerge to dominant discursive power.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democratize social discursive space, through which the Other becomes able to. participate in the social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social discours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