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악성 성상세포종 및 교모세포종의 적정 방사선 조사 영역에 대한 고찰
Optimal Radiation Therapy Field for Malignant Astrocytoma and Glioblastoma Multiforme 원문보기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eity for therapeutic radiology and oncology, v.20 no.3, 2002년, pp.199 - 205  

조홍래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방사선종양학과) ,  최영민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방사선종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악성 성상세포종 및 교모세포종 환자들의 방사선 치료 시 가장 적절한 조사 영역을 알아 보고자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1월부터 2000년 3월까지 악성 성상세포종 및 교모세포종으로 진단되어 수술 및 방사선 치료를 받은 후 MRI로 추적관찰이 시행된 환자 중 재발이 확인된 21 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원발 병소 바깥 경계에서부터 처음 재발이 확인된 병소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그 외에 종양의 크기, 부종의 정도, 수술 절제의 범위, 감마나이프를 이용한 정위방사선수술, 다발성 병변 등이 재발 양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을 하였다. 결과 : 총 21명 중 18명$(86\%)$이 2 cm 이내에서 재발을 하였다. 이들 중 1 cm 이내가 12명, $1\~2\;cm$ 사이의 재발이 6명이었다. 나머지 3명의 재발은 3 cm, 4 cm, 5 cm, 떨어져서 각각 재발을 하였다. 2 cm 이상 떨어져 재발한 3명은 모두 다발성 병변이 있는 환자였다. 종양의 크기, 부종의 범위, 수술 절제의 범위, 감마나이프 시행 유무에 따른 재발의 양상에 차이가 없었다. 다만 다발성 병변일 경우 더 멀리서 재발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 악성 성상세포종 및 교모세포종에서 재발 양상은 원발 병소 준위의 2 cm 이내 재발이 주 재발 양상이었다. 방사선 조사영역의 넓이는 부종의 범위나, 병소의 크기, 감마 나이프 수술 등에 따라 더 넓힐 필요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다발성 병변의 경우에는 단일 병소보다 더 넓은 조사 범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was peformed to determine the optimal radiation therapy field for the treatment of malignant astrocytoma and glioblastoma multiforme. Materials and Methods : From Jan. 1994 to Mar. 2000, 21 patients with malignant astrocytoma and glioblastoma multiforme, confirmed as recurrent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악성 성상세포종 및 교모세포종에서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재발 양상을 MRI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가장 적절한 방사선 조사영역을 결정하는데 대한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hang CH, Horton J, Schoenfeld D, et al. Comparison of postoperative radiotherapy and combined postoperative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in the multidisciplinary management of malignant gliomas. A Joint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 and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study. Cancer 1983;53:999-1007 

  2. Kristianse K, Hagen S, Kollevold T, et al. Combined modality therapy of operated astrocytomas grade 3 and 4: A prospective multi-center trial of the Scandinavian Glioblastoma Study Group. Cancer 1981;47:649-652 

  3. McShan DL, Fraass BA, Lichter AS. Full integration of the beam's eye view concept into computerized treatment planning.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0;18:1485-1494 

  4. Walker MD, Strike TA, Sheline GE. An analysis of doseeffect relationship in the radiotherapy of malignant glioblastoma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79;5:1725-1731 

  5. Gutin PH, Prados MD, Philips TL. et al. External irradiation followed by and interstitial high activity iodine-125 implant 'boost' in the initial treatment of malignant gliomas; NCOG Study 6G-82-2 .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1;21:601-606 

  6. Concannon JP, Kramer S, Berry R. The extent of intracranial glioma at autopsy and its relationhip to techniques used in radiation therapy of brain tumors. Am J Roentgeol 1960;84:99-107 

  7. Salazar OM, Rubin P. The spread of glioblastoma multiforme as a determining factor in the radiation treated volume.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76;1:627-637 

  8. Hochberg FH, Pruitt A. Assumptions in the radiotherapy of glioblastoma. Neurology 1980;30:907-911 

  9. Bachir R, Hochberg F, Oot R. Regrowth patterns of glioblastoma multiforme related to planning of interstitial brachytherapy radiation fields. Neurosurgery 1988;23:27-30 

  10. Wallner KE, Galicich JH, Krol G, et al. Patterns of failure following treatment for glioblastoma multiforme and anaplastic astrocytoma.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89;16:1405-1409 

  11. Gaspar LE, Fisher BJ, Macdonald DR, et al. Supratentorial malignant glioma: patterns of recurrence and implications for external beam local treatment.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2;24:55-57 

  12. Garden AS, Maor MH Yung WKA, et al. Outcome and patterns of failure following limited-volume irradiation for malignant astrocytomas. Radiother Oncol 1991;20:99-110 

  13. Liang BC, Thornton AF, Sandler HM, et al. Malignant astrocytomas: Focal tumor recurrence after focal external beam radiation therpav. J Neurosurg 1991;75:559-563 

  14. Agbi CB, Bernstein M, Laperriere N, et al. Patterns of recurrence of malignant astrocytoma following stereotactic interstitial brachytherapy with iodine-125 implant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2;23:321-326 

  15. Bleehan NM, Stenning SP. A medical research council trial of two radiotherapy doses in the treatment of grades 3 and 4 astrocytoma. Br J Cancer 1991;64:769-774 

  16. Garden AS, Maor MH, Yung WKA, et al. Outcome and patterns of failure following limited volume irradiation for malignant astrocytomas. Radiother Oncol 1991;20:99-110 

  17. Seither RB, Jose B, Paris KJ, et al. Results of irradiation in patients with high grade gliomas evaluated by magnetic resonance imaging. Am J Clin Oncol 1995;18:297-299 

  18. Kelly PJ, Daumas-Duport C, Kispert DB. Imaging based stereotaxic serial biopsies in untreated intracranial glial neoplasms. J Neurosurgery 1987;66:865-874 

  19. Pirzkall A, McKnight TR, Graves EE, et al. MR-spectroscopy guided target delineation for high-grade gliomas.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1;50:915-928Burger PC, Heinz RE, Shibata T, et al 

  20. Halperin EC, Bentel G, Heinz ER, et al. Radiation therapy treatment planning in supratentorial glioblastoma multiforme: an analysis based on post mortem topographic anatomy with CT correlations. Int J Radiat Oncol Biolol Phys 1989; 17:1347-1350 

  21. Radany EH, Sandler HM, Haken T, et al. 3 D conformal radiotherapy for malignant astrocytomas: dose escalation to 90 Gy.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7;39:140 

  22. Lee SW, Fraass BA, Marsh LH et al. Patterns of failure following high-dose 3-D conformal radiotherapy for highgrade astrocytomas:a quantitative dosimetric study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9;43:79-88 

  23. Sneed PK, Guin PH, Larson DA, et al. Patterns of recurrence of Glioblastoma multiforme after external irradiation followed by implant boost. Int J Radlat Oncol Biol Phys 1994;29:719-727 

  24. Mehta MP, Masciopinto M, Rozental J, et al. Stereotactic radiosurgery for glioblastoma.multiforme : report of a prospective study evaluating prognostic factors and analyzing longterm survival advantage.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4;30:541-549 

  25. Nakagawa K, Yukimasa A, Fujimaki T, et al. High-dose conformal radiotherapy influenced the pattern of failure but did not improve survival in glioblastoma multiforme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1998;40:1141-1149 

  26. Kondziolka D, Lunsford LD, Claassen D. Radiobiology of radiosurgery: Part II. The rat C6 glioma model. Neurosurgery 1992;31:280-28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